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체육지도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경험과 교육적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1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i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port club leaders in regards to coeducational sports club after school. The second, it analy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sport club in connection with sport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i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port club leaders in regards to coeducational sports club after school. The second, it analy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sport club in connection with sport for all. To accomplish such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with an inquiring process on the basis of a narrative approach targeting a sports club leader who didn`t have an on-site instructional experience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official & unofficial interviews, documents of the instructional process, on-site notes, and electronic mails. This study utilized Spradley(1980)`s taxonomic analysis method as a major analysis method. The results were roughly divided into 4 sorts of narrative.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 ``Shock`` of having to understand and accept his/her own gender stereotype. Second, they experienced sex discrimination and reverse discrimin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instructional process that is in pursui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u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ts subsequent ``Conflict.`` Thir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Challenge`` in which the leader compromised with him/herself using the instructional method of ``Mingling`` and ``Distinction.`` Fourt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overy`` of the instructional method, which was authentically gender-equal within the framework of students. Viewed from the pedagogical perspective, such experiences should work as a basis on which a sports club leader could improve his/her specialization that can connect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for a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호성, "혼성학급 체육수업에 대한 여중생의 인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1 (11): 245-259, 2004

      2 여정권, "혼성체육수업에서의 역차별 척도 개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91-103, 2009

      3 임현주, "혼성체육수업과 동성체육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경험" 한국체육학회 43 (43): 193-204, 2004

      4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33 (33): 347-364, 2008

      5 이용식, "학교스포츠클럽 정책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27-138, 2011

      6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7 김경숙,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개선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한국체육학회 47 (47): 119-132, 2008

      9 이희남, "학교스포츠클럽 비참가 중학생의 장애 요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유정애,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Ⅰ)-초등학교 사례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 서호성, "혼성학급 체육수업에 대한 여중생의 인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1 (11): 245-259, 2004

      2 여정권, "혼성체육수업에서의 역차별 척도 개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91-103, 2009

      3 임현주, "혼성체육수업과 동성체육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경험" 한국체육학회 43 (43): 193-204, 2004

      4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33 (33): 347-364, 2008

      5 이용식, "학교스포츠클럽 정책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27-138, 2011

      6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7 김경숙,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개선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한국체육학회 47 (47): 119-132, 2008

      9 이희남, "학교스포츠클럽 비참가 중학생의 장애 요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유정애,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Ⅰ)-초등학교 사례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1 배소심,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여학생과 남학생의 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12 (12): 115-138, 2005

      12 정경식, "초등학교 체육수업 중 교사의 성차별 유형과 원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05-121, 2008

      13 조한무,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 성 고정관념의 전이 및 재생산, 그리고 교사의 딜레마"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14, 2012

      14 김윤희, "초·중등학교 체육 교과서에 나타난 성 정형화 및 성 역할 실태 분석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 18 (18): 11-22, 2004

      15 김윤희, "체육수업에서의 양성평등에 관한 학생의 인식과 체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16 유정애, "체육수업비평" 무지개사 2003

      17 신재영,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18 박용규, "지역 리그제를 도입한 학교스포츠클럽의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김종호, "중학생들의 혼성학급 체육수업 경험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0 (10): 39-55, 2003

      20 김종호, "중학생들의 혼성학급 체육수업 경험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0 (10): 39-55, 2003

      21 곽은창,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주요사건 기록 연구" 5 (5): 57-70, 1998

      22 박은영, "중학교 혼성학급 체육수업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26 (26): 39-50, 2006

      23 여정권, "중학교 혼성체육수업에서 남학생들이 인식하는 역차별 사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 (20): 29-43, 2007

      24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체육수업시수 확대 추진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2

      25 이용식, "정부 주관의 스포츠클럽 시범사업 개선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7 (17): 100-110, 2006

      26 김종필, "유소년들의 스포츠클럽 참가가 스포츠참가인지 및 재미요인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193-203, 2010

      27 유정애, "왜 스포츠 문화 교육인가?" 한국체육학회 46 (46): 169-181, 2007

      28 김무영, "여학생이 경험하는 스포츠교육과 양성평등"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45-161, 2006

      29 임승엽,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교육대학교 남학생의 체육수업 역차별 경험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3-29, 2011

      30 유정애, "양성평등 체육교육의 한계, 현실 및 도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1-25, 2002

      31 배미해,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본 혼성 체육 수업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32 스포츠클럽연구회, "스포츠클럽의 이해와 운영" 문화체육관광부 2008

      33 김경원, "선진국 체육정책 특성과 정부의 역할 및 정책방향" 39-64, 2004

      34 양광희,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방과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참여제약 요인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37-145, 2011

      35 김옥태,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인식과 임파워먼트 및 직업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9 (49): 473-483, 2010

      36 윤상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스포츠 환경요인과 스포츠 가치 및 태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46 (46): 493-501, 2011

      37 김경원, "새로운 생활체육 실천 틀에 대한 소고 : 비교 문화적 관점"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4 (14): 65-78, 2003

      38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6

      39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40 Martin, S. B., "Youth coaching Preferences of Adolescent Athletes and Their Parents" 24 (24): 197-212, 2001

      41 Werner, O., "Systematic Fieldwork Foundation of Ethnography and Interviewing" Sage 1987

      42 전정선, "IPA 기법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 육성사업 추진정책 평가" 한국체육학회 51 (51): 215-225, 2012

      43 Lirgg, C. D., "Gender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in physical activity : A meta-analisis" 13 : 294-310, 1991

      44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체육교육혁신형창의경영학교 운영 매뉴얼" 대한체육회 2012

      45 교육과학기술부, "2011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1

      46 교육과학기술부, "2010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5 0.652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