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의 입지와 규모에 따른 고용 불안정성에 대한 산업 다양성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s Impact on Employment Instability by Location and Size of Urban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6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employment data by industrial sector for cities in Korea from 2008 to 2016, this study calculated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dex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This study then developed panel regression model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opulation size of c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dex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f the capital region and cities with populations over 300,000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However, the index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f the non-capital region and cities with populations under 300,000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different according to provincial lo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ulate the tailored local industrial policies to promote stable growth of reg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employment data by industrial sector for cities in Korea from 2008 to 2016, this study calculat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employment data by industrial sector for cities in Korea from 2008 to 2016, this study calculated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dex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This study then developed panel regression model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opulation size of c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dex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f the capital region and cities with populations over 300,000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However, the index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f the non-capital region and cities with populations under 300,000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instability index.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instability different according to provincial lo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ulate the tailored local industrial policies to promote stable growth of re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도시의 규모와 입지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75개 도시 지역들의 2008년에서 2016년까지의 산업별 종사자 수를 바탕으로 산업 다양성 지수와 고용불안정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시 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수도권의 권역, 그리고 인구규모별로 각각 분류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중도시 이상 규모의 도시 지역에서는 산업 다양성의 확보가 고용 불안정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수도권 지역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산업 다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권역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지역산업정책의 효과성과 능률성의 제고를 위해서는 각 도시의 특성과 입지를 고려한 복합적인 맞춤형 지역산업정책의 설계와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시의 규모와 입지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75개 도시 지역들의 2008년에서 2016년까지의 산업별 종사자 수를 바탕...

      본 연구는 도시의 규모와 입지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75개 도시 지역들의 2008년에서 2016년까지의 산업별 종사자 수를 바탕으로 산업 다양성 지수와 고용불안정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시 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수도권의 권역, 그리고 인구규모별로 각각 분류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중도시 이상 규모의 도시 지역에서는 산업 다양성의 확보가 고용 불안정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수도권 지역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산업 다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권역에 따라 산업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지역산업정책의 효과성과 능률성의 제고를 위해서는 각 도시의 특성과 입지를 고려한 복합적인 맞춤형 지역산업정책의 설계와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덕, "충북 산업구조분석과 최적 지역고용정책" 충북연구원 2014

      2 전영노, "충남지역 산업구조 및 동향" 2017

      3 한국은행, "최근의 경남지역 고용상황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은행 2013

      4 박진희, "최근 금융 및 보험업의 고용변동 원인과 시사점" 14-23, 2014

      5 박성호,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6 (26): 173-206, 2012

      6 이삼열, "지역별 고용의 특성과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5 (15): 49-79, 2009

      7 유원근, "지역경제 저성장의 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5-59, 2014

      8 문동진, "지역 산업의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시・군 지역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4 (24): 243-276, 2018

      9 고석찬, "지역 산업구조의 다변화가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337-366, 2009

      10 신정철, "지방중소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4

      1 김진덕, "충북 산업구조분석과 최적 지역고용정책" 충북연구원 2014

      2 전영노, "충남지역 산업구조 및 동향" 2017

      3 한국은행, "최근의 경남지역 고용상황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은행 2013

      4 박진희, "최근 금융 및 보험업의 고용변동 원인과 시사점" 14-23, 2014

      5 박성호,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6 (26): 173-206, 2012

      6 이삼열, "지역별 고용의 특성과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5 (15): 49-79, 2009

      7 유원근, "지역경제 저성장의 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5-59, 2014

      8 문동진, "지역 산업의 다양성이 고용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시・군 지역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4 (24): 243-276, 2018

      9 고석찬, "지역 산업구조의 다변화가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337-366, 2009

      10 신정철, "지방중소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4

      11 류수열, "제조업 다양성이 광역경제권의 성장 및 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101-123, 2007

      12 최창곤, "전북지역 고용탄력성의 구조와 특징" 산업경제연구소 3 (3): 1-14, 2011

      13 우광호, "임금방정식 추정을 통한 임금격차 분석" KERI 1-20, 2016

      14 남상호, "인구구조의 장기전망 및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15 허문구,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역경제 성장패턴 분석" 산업연구원 2014

      16 이영성, "인구, 총일자리, 산업별 일자리 사이의 인과관계" 국토연구원 62 : 3-20, 2009

      17 김경수, "우리나라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재정력 격차의 원인" 국회예산정책처 2 (2): 127-143, 2013

      18 김병수, "우리나라 도시의 유형별 기능 특성 비교" 국토지리학회 44 (44): 537-552, 2010

      19 전상곤, "수도권과 동남권의 산업집적 효과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4 (24): 127-144, 2012

      20 김의준, "수도권 제조업 집적경제 분석" 국토연구원 45 : 41-58, 2005

      21 김아영, "수도권 및 인접지역의 제조업 생산성 비교 분석" 한국지역학회 23 (23): 53-83, 2007

      22 이대종, "수도권 내 중소도시 창조성 평가지표 개발 - 인구 30만 이상의 14개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 한국감정평가학회 13 (13): 107-122, 2014

      23 전승훈, "선형패널자료 분석방법에 관한비교연구" 통계청 9 (9): 1-24, 2004

      24 류수열,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7 (17): 129-146, 2014

      25 문동진, "도시 규모와 입지에 따른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산업다양성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125-152, 2015

      26 박기영, "광주・전남지역 산업구조에 따른 제조업 고용 상관관계 분석" 287-305, 2010

      27 김윤성,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계약 파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2003

      28 남재량, "고용불안의 실태와 원인" 83-102, 2005

      29 한진한, "고용불안의 선행요인과 고용불안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3 (13): 209-229, 2006

      30 남재량, "고용불안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11-139, 2005

      31 배기준,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의 분해: 인구구성 변화를 중심으로" 72-84, 2013

      32 김용원, "경북지역 고용구조 분석을 통한 청년층 고용촉진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2012

      33 김석중, "강원도 산업의 진단과 과제" 강원발전연구원 2015

      34 Anderson, C. J., "Workers, worries and welfare states: Social protection and job insecurity in 15 OECD countries" 46 (46): 211-235, 2007

      35 Cheng, G. H. L., "Who suffers more from job insecurity? A Meta-Analytic Review" 57 (57): 272-303, 2008

      36 Tress, R. C., "Unemploy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y" 9 (9): 140-152, 1938

      37 Izraeli, O.,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ty on state unemployment rate and per capita income" 37 (37): 1-14, 2003

      38 Trendle, B., "The effect of industrial diversif ication on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9 (9): 355-369, 2003

      39 Malizia, E. E., "The Influence of Economic Diversity on Unemployment and Stability" 33 (33): 221-235, 1993

      40 Pallares, F. J., "The Impact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Employment Growth in the 50 U.S. States: 2000-2013" 31 (31): 275-284, 2017

      41 Jacobs, J., "The Economy of Cities" Vintage Books 1969

      42 Ullman, E. L., "The Economic base of American Citie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69

      43 Fu, S., "Testing urbanization economie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urban diversity or urban size?" 51 (51): 585-603, 2011

      44 Chung, H., "Subjective insecurity and the role of institutions" 24 (24): 303-318, 2014

      45 Ashenfelter, O., "Statistics and Econometrics: Method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003

      46 Deller, S., "Spatial vari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iversity and stability" 23 (23): 520-525, 2016

      47 Cainelli, G., "Spatial agglomeration and productivity in Italy: A panelsmooth transition regression approach" 94 (94): 39-67, 2015

      48 Rodgers, A., "Some Aspects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33 (33): 16-30, 1957

      49 Erlinghagen, M., "Self-perceived job insecurity and social context: A multi-level analysis of 17 European countries" 24 (24): 183-197, 2008

      50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주)지필미디어 2012

      51 Kort, J. R., "Regional Economic Instability and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the U.S." 57 (57): 596-608, 1981

      52 Borts, G. H., "Regional Cycles of Manufacturing Employment in United States, 1914-53" 55 : 151-211, 1960

      53 Hackbart, M., "On Measuring Economic Diversification" 51 (51): 374-378, 1975

      54 Mills, E. S., "Metropolitan Suburbanization and Central City Problems" Elsevier Inc 15 : 1-17, 1984

      55 Wagner, J. E., "Measuring the effects of economic diversity on growth and stability" 74 (74): 541-556, 1998

      56 Geenhalgh, L., "Job insecurity: toward conceptual clarity" 9 (9): 438-448, 1984

      57 Sarah, A. B., "Job insecurity and health among US adult" University of Michigan 2005

      58 Florence, P. S., "Inverstment, Location and Size of Plant" Oxford University Press 1948

      59 Chung, H., "Institutions versus market forces: Explaining the employment insecurity of European individuals during (the beginning of) the financial crisis" 21 (21): 287-301, 2011

      60 Fu, S., "Industry specialization, diversification, churning, and unemployment in Chinese cities" 21 (21): 508-520, 2010

      61 Diamond, C. A., "Industrial specialization and the returns to labor" 8 (8): 175-201, 1990

      62 Mizuno, K., "Industrial diversity and metropolitan unemployment rate" 40 (40): 157-172, 2006

      63 Attaran, M., "Industrial diversity and economic performance in US areas" 20 : 44-54, 1987

      64 McLaughlin, G. E.,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American cities" 45 (45): 131-149, 1930

      65 Simon, C. J., "Frictional Unemployment and the Role of Industrial Diversity" 103 (103): 715-728, 1988

      66 Pirasteh, H., "Economic Growth and Stability in the Euro-Med Region: Concentration or Diversification?" 14 (14): 105-130, 2009

      67 Johnston, J., "Econometric Methods"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1997

      68 Simon, C. J., "Does Industrial Diversity Always Reduce Unemployment? Evidence from the Great Depression and After" 30 (30): 384-397, 1992

      69 Sykes, J., "Diversification of industry" 60 (60): 697-714, 1950

      70 Ashford, S., "Content, cause,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 substantive test" 32 (32): 803-829, 1989

      71 Klosterman, R., "Community and Analysis Planning Techniques" Rowmand and Littlefield 1990

      72 Marshall, J. U., "City size, Economic Diversity and Functional type : The Canadian Case" 51 (51): 37-49, 1975

      73 Cooke, T., "Causality Reconsidered: a Note" Elsevier Inc 5 : 538-542, 1978

      74 Carreira, C., "Are Small Firms More Dependent on the Local Environment than Larger Firms? Evidence from Portuguese Manufacturing Firms" GEMF-Faculdade de Economia, Universidade de Coimbra 2012

      75 Jackson, R. W., "An Evaluation of Alternative Measures of Regional Industrial Diversification" 18 (18): 103-112, 1984

      76 Cohen, J. P., "Agglomeration, productivity and regional growth: production theory approaches" Edward Elgar Publishing 2009

      77 Kanemoto, Y., "Agglomeration Economies and a Test for Optimal City Size in Japan" 10 : 379-398, 1996

      78 박진희, "2015 고용보험 행정DB를 이용한 노동시장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