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중독현상들이 사회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독은 약물, 술, 담배 등과 같은 물질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정신적 의존과 함께 해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68730
2009
Korean
미디어중독 ; 미디어교육 ; 미디어능력 ; media addiction ; media education ; media literacy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5-67(2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중독현상들이 사회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독은 약물, 술, 담배 등과 같은 물질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정신적 의존과 함께 해당...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중독현상들이 사회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독은 약물, 술, 담배 등과 같은 물질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정신적 의존과 함께 해당자는 더 이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닌 행위중독이 새로운 사회의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일중독, 쇼핑중독, 도박중독, 스포츠중독, 그리고 미디어중독 등이 그 예이다. 이는 화학 약물 등의 물질중독과는 다른 형태의 비화학적 행위적 활동을 통해 정신적 쾌감에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미디어중독의 문제를 미디어교육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시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터넷중독, 컴퓨터게임중독, 휴대전화중독 그리고 텔레비전중독 둥과 같은 미디어중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아울러 미디어와 능력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했다. 미디어중독이란 결국 미디어와 관련한 현대사회 개개인의 행위능력에 관한 문제일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디어중독과 관련하여 미디어교육은 실천적으로 이미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여러 부분에서 예방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술변화에 따른 미디어환경의 변화는 미디어리터리시 또는 미디어능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리고 그것의 확장이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미디어중독 예방교육의 프로그램 역시 새로운 인식에 기초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중독의 문제를 미디어능력 개념을 중심으로 대안적으로 다루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with media education. Media addiction is a disorder where the subject has a compulsion to use media. The compulsion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control in many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with media education. Media addiction is a disorder where the subject has a compulsion to use media. The compulsion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control in many cases. It has many parallels to other forms of addiction, such as addiction to drugs or gambling, which create an altered mental state in the subject. Media addiction becomes a problem when a subject does not want to use media, but experiences an uncontrollable compulsion to start or continue using. The subject may not accomplish tasks or goals that he or she feels are important. To illumin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alternative approach to media addiction,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review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 media competence for approaches to media addi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은, "온라인게임이 게이머의 플로우 경험 및 충성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179-208, 2007
2 주형일, "미디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3 허경호, "미디어 중독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08
4 강진숙,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 사례 연구: 독일의 연방 프로젝트 "학교를 네트워크로(Schulen ans Netz)"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52-79, 2005
5 윤영태, "미디어 능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89-118, 2008
6 강진숙, "미디어 능력 제고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과제와문제점 인식 사례 연구: 심층인터뷰와 e-mail 인터뷰를 이용한미디어 교육 전문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91-113, 2007
7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으로서의 미디어 선용능력" 14 (14): 47-79, 2000
8 김주언, "미디어 2.0시대 시청자권리와 수용자운동. 2008 열린미디어연구소 보고서" 2008 열린미디어연구소 보고서 2008
9 김진세, "목적 불분명 통화 많으면 중독자"
10 김봉섭, "디지털기기의 존증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 측면에서의 접근" 3 (3): 1-36, 2006
1 김양은, "온라인게임이 게이머의 플로우 경험 및 충성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179-208, 2007
2 주형일, "미디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3 허경호, "미디어 중독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08
4 강진숙,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 사례 연구: 독일의 연방 프로젝트 "학교를 네트워크로(Schulen ans Netz)"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52-79, 2005
5 윤영태, "미디어 능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89-118, 2008
6 강진숙, "미디어 능력 제고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과제와문제점 인식 사례 연구: 심층인터뷰와 e-mail 인터뷰를 이용한미디어 교육 전문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91-113, 2007
7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으로서의 미디어 선용능력" 14 (14): 47-79, 2000
8 김주언, "미디어 2.0시대 시청자권리와 수용자운동. 2008 열린미디어연구소 보고서" 2008 열린미디어연구소 보고서 2008
9 김진세, "목적 불분명 통화 많으면 중독자"
10 김봉섭, "디지털기기의 존증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 측면에서의 접근" 3 (3): 1-36, 2006
11 김영순, "‘민주시민교육과 미디어 문화 리터러시’" 11 (11): 2006
12 우형진, "YP(청소년스스로지킴이)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발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개발원 2007
13 Aufenanger, Stefan, "Was versteht man unter Kompetenz (soziologisch - medienpädagogischer Aspekt)? Vortrag auf dem Bundeskongreß des Deutschen Kinderhilfswerks in Minden am 15"
14 Habermas, Jürgen,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Suhrkamp 1988
15 Kübler, Hans-Dieter, "Mediepädagogik nach Maß? in:Materialien zur Medienpädagogik Nr. 57/1998" 19-48, 1998
16 Aufenanger, Stefan, "Medienpädagogik und Medienkompetenz. Eine Bestandsaufnahme in:Medienkompetenz im Informationszeitalter" Bonn 15-22, 1997
17 Hug, Theo, "Medienpädagogik in:Einführung in die Medienwissenschaft" Westdeutscher Verlag 189-207, 2002
18 Hoffman, B, "Medienpädagogik" Ferdinand Schöningh 2003
19 Schorb, Bernd, "Medienkompetenz in:Grundbegriffe Medienpädagogik" KoPäd 234-240, 1997
20 Spanhel, Dieter, "Medienkompetenz als Schlüsselbegriff der Medienpädagogik? forum medienethik, 1/2002"
21 Baacke, Dieter, "Medienkompetenz als Netzwerk. Medien Praktisch" Zeitschrift für Medienpädagogik 2-96, 1996
22 Gabski, Harald, "Medienkompetenz" Westdeutscher Verlag 2001
23 Baacke, Dieter, "Kommukation und Kompetenz: Grundlegung einer Didaktik der Kommunikation und ihrer Medien" Juventa 1973
24 학술지(정기간행물) 학술대회논문 단행본 보고서 학위논문 인터넷자원 기타자료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1 (1): 237-244, 1998
25 Griffiths, M, "Internet addiction" 12 (12): 246-250, 1999
26 Nöth, W, "Handbuch der Semiotik" Stuttgart 2000
27 Hüther, Jürgen, "Geschichte der Medienpädagogik in:Grundbegriffe Medienpädagogik" KoPäd 116-126, 1997
28 Vollbrecht, Ralf, "Einführung in die Medienpädagogik" Beltz 2001
29 Use(PIU),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17): 187-195,
30 Davis, R. A,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disorder" 1 (1): 237-244, 2001
일본인의 니즈(Needs)가 한국 문화 상품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지역신문난립의 원인성 분석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8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3 | 0.8 | 1.339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