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 가운데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이산 트라우마에 주목하면서, 역사적 외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에까지 지속되는 징후에 대해 논하였다. 사할린 한인은 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91184
2014
Korean
001
KCI등재
학술저널
31-69(39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 가운데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이산 트라우마에 주목하면서, 역사적 외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에까지 지속되는 징후에 대해 논하였다. 사할린 한인은 비교...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 가운데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이산 트라우마에 주목하면서, 역사적 외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에까지 지속되는 징후에 대해 논하였다. 사할린 한인은 비교적 강렬한 고국지향성을 지닌 존재들이며, 특히 강제이주를 직접 경험하지 않고 고국과의 접촉 기회도 적은 후세대에게까지 그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그래서 본고는 사할린 한인에 초점을 맞추어 전이적 성격의 이산 트라우마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사할린 한인의 이산 트라우마 특성으로 후세대에까지 전이되는 낯선 고국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논하였다. 그 실상이 어떠한지 설문조사 자료와 선행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야기하는 문제점으로 영주귀국자들의 사례를 통해 부작용을 검토해 보았다. 본고는 특히 이 대표적인 실례로 1941년 사할린 출생자 C(남)를 들었는데, 그는 강제징용한 가족사도 없고, 부교장 및 목사로 활동하며 비교적 풍요롭게 지내다가 환갑이 넘어 고향을 버리고 2011년에 영주귀국을 결심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보다 면밀한 접근을 위해서 사할린 한인C의 생애담을 살펴보았다. 그에게 ‘낯선 고국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라는 이산 트라우마를 구성한 요인은 그의 삶 전반에서 발견되었다. 그의 생애는 사회?집단적 환경과 개체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산 트라우마가 지속되고 가중되는 형상을 띄고 있었다. 강제징용이나 피난을 직접 경험하지 않음에도 이산 트라우마가 발생할 수 있었던 까닭은 민족과 국가가 일치되지 않는 출신 배경이 전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사할린 한인 사회에 보편적 욕망이었던 우리 민족이 사는 국가에 대한 욕망이 그에게도 전이되고, 러시아 환경 속에서 끊임없이 좌절되었으며, 갖가지 갈등들도 모두 ‘민족≠국가’의 좌절로 전치시키면서 이산 트라우마가 지속되었던 것이다. 구소련의 붕괴와 한국의 경제적 부흥, 한국과 러시아의 교류 확장과 맞물려 여러 혜택의 중심에 있었기에, 우리 민족이 주인이 되어 사는 나라를 동경하게 된 것이다.
‘민족=국가’에 대한 간절한 욕망의 좌절로 인한 이산 트라우마는 영주귀국으로 일면 해소되었을 수 있으나, 러시아의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이나, 때때로 감지되는 낯설음은 새로운 이산 트라우마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러시아 동포 젊은이들에게 한국에 와서 한국의 자본주의를 경험하고, 많이 배워서 성공하라는 그의 교설은 현재의 삶에도 지속되고 있는 이산 트라우마 징후의 단면일 수 있다.
C의 생애담에서 발견한 이산 트라우마의 구성 배경들은 하나 하나 치유방안 설계의 기점이 될 수 있는데, 이글에서는 민족교육의 필요성만을 제기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막연한 고국 지향성의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이를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정밀한 연구와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istorische Traumata” that had spread to the descendants of Diaspora. An interesting feature of Sakhalin Koreans is the vague longing for unfamiliar homeland, but they have not had any opportunity to me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istorische Traumata” that had spread to the descendants of Diaspora. An interesting feature of Sakhalin Koreans is the vague longing for unfamiliar homeland, but they have not had any opportunity to meet homeland. So the most of them choose permanent return to korea from Sakhalin despite they are not familiar with South Korean society. Such decisions raise complicated issues. Their vague longing for unfamiliar homeland may raise a new type of the Trauma of Diaspora Experience. This Historische Traumata had spread to the descendants of Diaspora. So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oral life story of permanently returning Korean(descendants of Diaspora) from Sakhali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chapter two, check this feature of Sakhalin Korean descendants and side-effects of permanent return to korea based on various researches. And study in the case of Sakhalin Korean “Mr.C”. He isn’t a descendants of Diaspora, was born in Sakhalin(1941~), lived on Sakhalin and Moscow(~2011). And he lived a stable life, wasn’t financially embarrassed. In South Korean society He is quite contented as he is, but has problems like missing family at Moscow and complaint about South Korean society.
In chapter three, conducted an analysis of his oral life story, how was Vague Longing for Unfamiliar Homeland formed, What kind of “Trauma of Diaspora Experience” had spread to him. There are premises ‘race ≠ state’ in all through his life. He grew up in Sakhalin Korean society there were full of missing and love for homeland Korea. The majority of people took an unfriendly attitude. So most of adversity is Diaspora’s sorrow in his memory and brought the vague longing for unfamiliar homeland about it, but he isn’t Diaspora. That is Historische Traumata what had spread to descendants who have never experienced historische Erfahrung. 1988 Olympic Games in Seoul marked a turning point in his life. Since then, Korean Diaspora ensures their rising position in Russia. He was placed under the kindly care of Korean, has been advantaged by Korean capital. So his vague longing for unfamiliar homeland is expanded, finally he has decided to leave home town. He believe that human have to live in the stste of one’s own people for peaceful life. Today he lives in South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he is satisfied. on the other, has some problem. His oral life story offer various ideas to draw up concrete measures for this kind of “Trauma of Diaspora Experi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선익, "해방 후 사할린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정체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7) : 267-298, 2013
2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선인 2012
3 정진아, "연해주⋅사할린 한인의 삶과 정체성 ― 연구동향과 과제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8 : 391-421, 2011
4 박승의, "사할린 한인디아스포라의 민족문화정체성 형성과 변천과정 연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29) : 113-152, 2013
5 김성종,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과 정착의 정책과제"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95-218, 2006
6 박경용, "사할린 한인 김옥자의 삶과 디아스포라 생활사- ‘기억의 환기’를 통한 구술생애사 방법을 중심으로 -" 세계한상문화연구단 7 (7): 163-196, 2013
7 한혜인, "사할린 한인 귀환을 둘러싼 배제와 포섭의 정치 - 해방 후∼1970년대 중반까지의 사할린 한인 귀환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02) : 157-198, 2011
8 "사할린 한인 C의 인터뷰 녹취록(2014년 3월3일/7월4일)"
9 조재순, "사할린 영주귀국 동포의 주거생활사 - 안산시 고향마을 거주 강제이주 동포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0 (20): 103-112, 2009
10 나형욱, "사할린 영주귀국 동포 정착실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09
1 황선익, "해방 후 사할린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정체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7) : 267-298, 2013
2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선인 2012
3 정진아, "연해주⋅사할린 한인의 삶과 정체성 ― 연구동향과 과제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8 : 391-421, 2011
4 박승의, "사할린 한인디아스포라의 민족문화정체성 형성과 변천과정 연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29) : 113-152, 2013
5 김성종,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과 정착의 정책과제"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95-218, 2006
6 박경용, "사할린 한인 김옥자의 삶과 디아스포라 생활사- ‘기억의 환기’를 통한 구술생애사 방법을 중심으로 -" 세계한상문화연구단 7 (7): 163-196, 2013
7 한혜인, "사할린 한인 귀환을 둘러싼 배제와 포섭의 정치 - 해방 후∼1970년대 중반까지의 사할린 한인 귀환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02) : 157-198, 2011
8 "사할린 한인 C의 인터뷰 녹취록(2014년 3월3일/7월4일)"
9 조재순, "사할린 영주귀국 동포의 주거생활사 - 안산시 고향마을 거주 강제이주 동포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0 (20): 103-112, 2009
10 나형욱, "사할린 영주귀국 동포 정착실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09
11 여승철, "사할린 동포를 말한다 / 생활고와 외로움, 가장 큰 현실 문제" 평화문제연구소 196 : 2000
12 안미정, "부산 사할린 영주귀국자의 이주와 가족" 부경역사연구소 (34) : 317-359, 2014
13 텐 옥사나, "러시아 사할린 한인의 민족정체성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4 정지민, "도미니크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 연구 : 홀로코스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8
15 김종군, "구술생애담 담론화를 통한 구술 치유 방안 :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26 : 107-134, 2013
16 김종곤, "‘역사적 트라우마’ 개념의 재구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4 (24): 37-64, 2013
재일조선인의 역사적 트라우마가 지닌 사후적 의미작용의 양상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 속 가족의 해체와 탈북 트라우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