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 속 가족의 해체와 탈북 트라우마 = Family Disorganization in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y and Trau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1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에 나타나는 가족해체에 초점을 맞추어 탈북 트라우마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치유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이 글에서는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발생하는 탈북 청소년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탈북 청소년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과정에서 주로 아버지 보다 ‘어머니’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여성들은 식량난 동안 남성들에 비해 보다 원활한 활동이 가능하여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중국이나 남한에 거주하면서 재혼을 하여 새로운 가족을 꾸리게 되는 경우도 많다. 경제활동과 출산, 육아 등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담당하게 되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탈북 청소년들은 가족해체와 재구성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2장에서는 탈북 청소년 A, B, C, D의 구술생애담을 통해 탈북 청소년들이 어머니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어머니와의 관계가 현재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D의 사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가족해체와 재구성 경험이 탈북 청소년의 실제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토대로 하여 탈북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D의 사례를 통해 가족해체가 일으키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믿고 따를 만한 부모상’이 존재하지 못하도록 만든다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탈북 청소년의 탈북 트라우마는 어떻게 치유될 수 있을까. 탈북 청소년에게 ‘믿고 따를만한 부모상’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치유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에 대한 하나의 방안으로, 먼저 그룹홈 종사자나 탈북 청소년을 자주 대하게 되는 기관의 사람들에게 ‘좋은 부모 되기’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친부모가 남한에서 제대로 된 부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제도나 교육프로그램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남한 사회가, 우리 자신이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바라볼 때 ‘강자의 입장에서 약자 대하기’ 시선에서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 대하기’ 시선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에 나타나는 가족해체에 초점을 맞추어 탈북 트라우마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치유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이 글에서는 특히 ‘어머니’와...

      이 글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에 나타나는 가족해체에 초점을 맞추어 탈북 트라우마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치유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이 글에서는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발생하는 탈북 청소년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탈북 청소년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과정에서 주로 아버지 보다 ‘어머니’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여성들은 식량난 동안 남성들에 비해 보다 원활한 활동이 가능하여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중국이나 남한에 거주하면서 재혼을 하여 새로운 가족을 꾸리게 되는 경우도 많다. 경제활동과 출산, 육아 등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담당하게 되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탈북 청소년들은 가족해체와 재구성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2장에서는 탈북 청소년 A, B, C, D의 구술생애담을 통해 탈북 청소년들이 어머니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어머니와의 관계가 현재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D의 사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가족해체와 재구성 경험이 탈북 청소년의 실제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토대로 하여 탈북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D의 사례를 통해 가족해체가 일으키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믿고 따를 만한 부모상’이 존재하지 못하도록 만든다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탈북 청소년의 탈북 트라우마는 어떻게 치유될 수 있을까. 탈북 청소년에게 ‘믿고 따를만한 부모상’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치유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에 대한 하나의 방안으로, 먼저 그룹홈 종사자나 탈북 청소년을 자주 대하게 되는 기관의 사람들에게 ‘좋은 부모 되기’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친부모가 남한에서 제대로 된 부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제도나 교육프로그램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남한 사회가, 우리 자신이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바라볼 때 ‘강자의 입장에서 약자 대하기’ 시선에서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 대하기’ 시선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auma which is found in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y focusing on family disorganization, and to explore the healing ways for the trauma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 Family disorganization is the fundamental cause for the trauma which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have. And mostly family disorganization is caused by a ‘mother’ rather than a ‘father’. In most cases, North Korean mothers are the subject of family disorganization and family reconstitution.
      In chapter 2, fou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ies were studied focusing on ‘mother-son’ relationship. In chapter 3, the trauma which is found in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y was analyzed. One of main reasons for the trauma is the ‘absence of trusty parents’. In this paper, three solutions for the trauma were suggested. First, ‘being good parents’ education system is needed for workers at group homes and related institutes. Second, ‘being good parents’ education system is needed for actual parent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t last, our paradigm towards North Korean refugee should be changed from ‘the strong and the weak’ point of view to ‘parents and children’ point of view.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auma which is found in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y focusing on family disorganization, and to explore the healing ways for the trauma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 Family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auma which is found in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y focusing on family disorganization, and to explore the healing ways for the trauma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 Family disorganization is the fundamental cause for the trauma which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have. And mostly family disorganization is caused by a ‘mother’ rather than a ‘father’. In most cases, North Korean mothers are the subject of family disorganization and family reconstitution.
      In chapter 2, fou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ies were studied focusing on ‘mother-son’ relationship. In chapter 3, the trauma which is found in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oral life story was analyzed. One of main reasons for the trauma is the ‘absence of trusty parents’. In this paper, three solutions for the trauma were suggested. First, ‘being good parents’ education system is needed for workers at group homes and related institutes. Second, ‘being good parents’ education system is needed for actual parent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t last, our paradigm towards North Korean refugee should be changed from ‘the strong and the weak’ point of view to ‘parents and children’ point of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 속 가족해체와 ‘어머니’
      • 3. 탈북 청소년 D의 사례를 통해 본 탈북 트라우마 치유 방향
      • 4. 앞으로의 과제 -맺음말에 대신하여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 속 가족해체와 ‘어머니’
      • 3. 탈북 청소년 D의 사례를 통해 본 탈북 트라우마 치유 방향
      • 4. 앞으로의 과제 -맺음말에 대신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금명자, "통일대비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II" 한국청소년상담원 2004

      2 윤지혜, "탈북청소년의 외상 이후 성장(PTG) 체험연구 - 탈북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82, 2010

      3 강효림,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 우울·불안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8

      4 이기영,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175-223, 2002

      5 신형미, "탈북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6 (6): 2006

      6 김창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 통일학신서 5>"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7 나지영, "탈북 청소년의 적응 문제와 분단서사 ―탈북 청소년 A의 전교 학생회장 당선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5 : 55-96, 2013

      8 이정우, "탈북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교육에의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195-219, 2006

      9 최명선, "탈북 아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상담전략 모색" 한국놀이치료학회 9 (9): 23-34, 2006

      10 노치영, "생존전략으로써의 탈북과 가족해체 경험-북한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인간생활환경연구소 (1) : 2002

      1 금명자, "통일대비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II" 한국청소년상담원 2004

      2 윤지혜, "탈북청소년의 외상 이후 성장(PTG) 체험연구 - 탈북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82, 2010

      3 강효림,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 우울·불안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8

      4 이기영,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175-223, 2002

      5 신형미, "탈북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6 (6): 2006

      6 김창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 통일학신서 5>"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7 나지영, "탈북 청소년의 적응 문제와 분단서사 ―탈북 청소년 A의 전교 학생회장 당선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5 : 55-96, 2013

      8 이정우, "탈북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교육에의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195-219, 2006

      9 최명선, "탈북 아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상담전략 모색" 한국놀이치료학회 9 (9): 23-34, 2006

      10 노치영, "생존전략으로써의 탈북과 가족해체 경험-북한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인간생활환경연구소 (1) : 2002

      11 나용선, "북한이탈주민자녀(청소년) 사회적응 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21세기 사회복지학회 8 (8): 2011

      12 이덕남,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재구성 경험과정연구-정책적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201-212, 2013

      13 소성규,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등록과중혼문제해소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 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1 (11): 489-530, 2011

      14 김선화,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적응이슈와 가족복지실천 방안: 가족구성, 가족해체와 재결합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 : 2013

      15 김현아,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137-170, 2012

      16 강순원, "국제이해교육은 탈북 청소년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7 (7): 2012

      17 홍승아,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25 (25): 173-20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