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드론 탑재용 임베디드 기기를 이용한 균열 관리 시스템 = Crac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Embedded Device for Drone Mou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7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ridge damage is a case in which physical forces act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ridge and maintain it in an unstable state, such as cracks, breakage, deformation, and erosion. As concrete is a brittle material, it is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 and can lead to serious accidents due to loss of function, so periodic management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crac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embedded device for drone mounting. The embedded device for drone mounting is connected to a distance sensor, GPS module, and a camera to photograph the bridge in real time and use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find cracks in the bridge. When the embedded device finds a crack with a camera, it sends JSON formatted crack detection data including GPS position, timestamp, base64 encoded image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rack management server over MQTT. We also propose a crack management algorithm and implemented a crack management server using a proposed algorithm. A proposed crack management server is implemented by the python web framework flask and a tensorflow machine learning library, and saves data with a mariaDB database server. The proposed system can enable fast and efficient management by using a real-time analysis method rather than a method of analyzing filmed video.
      번역하기

      Bridge damage is a case in which physical forces act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ridge and maintain it in an unstable state, such as cracks, breakage, deformation, and erosion. As concrete is a brittle material, it is easily broken by external i...

      Bridge damage is a case in which physical forces act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ridge and maintain it in an unstable state, such as cracks, breakage, deformation, and erosion. As concrete is a brittle material, it is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 and can lead to serious accidents due to loss of function, so periodic management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crac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embedded device for drone mounting. The embedded device for drone mounting is connected to a distance sensor, GPS module, and a camera to photograph the bridge in real time and use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find cracks in the bridge. When the embedded device finds a crack with a camera, it sends JSON formatted crack detection data including GPS position, timestamp, base64 encoded image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rack management server over MQTT. We also propose a crack management algorithm and implemented a crack management server using a proposed algorithm. A proposed crack management server is implemented by the python web framework flask and a tensorflow machine learning library, and saves data with a mariaDB database server. The proposed system can enable fast and efficient management by using a real-time analysis method rather than a method of analyzing filmed vide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량 손상이란 교량의 내부와 외부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로서 균열, 파손, 변형, 침식 등이 있다. 콘크리트는 취성재료로서 외부충격에 쉽게 부서지며 기능 상실로 인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 탑재용 임베디드 기기를 이용한 균열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거리센서, 카메라가 부착된 교량 탑재용 임베디드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량을 촬영하면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량의 균열을 찾아낸다. 균열이 발견되면 발견된 곳의 사진을 위치정보와 함께 균열 분석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정밀한 검사를 진행하여 기록으로 남기고 관리한다. 제안 시스템은 카메라 촬영 후 분석하는 방식이 아닌 실시간 분석 방식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번역하기

      교량 손상이란 교량의 내부와 외부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로서 균열, 파손, 변형, 침식 등이 있다. 콘크리트는 취성재료로서 외부충격에 쉽게 부서지며 ...

      교량 손상이란 교량의 내부와 외부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로서 균열, 파손, 변형, 침식 등이 있다. 콘크리트는 취성재료로서 외부충격에 쉽게 부서지며 기능 상실로 인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 탑재용 임베디드 기기를 이용한 균열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거리센서, 카메라가 부착된 교량 탑재용 임베디드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량을 촬영하면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량의 균열을 찾아낸다. 균열이 발견되면 발견된 곳의 사진을 위치정보와 함께 균열 분석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정밀한 검사를 진행하여 기록으로 남기고 관리한다. 제안 시스템은 카메라 촬영 후 분석하는 방식이 아닌 실시간 분석 방식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우석 ; 정현준 ; 박경한 ; 김철면 ; 김규선, "콘크리트 교량 상태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손상 탐지 프로토타입 개발" 대한토목학회 42 (42): 107-116, 2022

      2 차윤호 ; 홍인식,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시설물 내벽 크랙 감지 시스템의 설계"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5 (15): 605-614, 2020

      3 이예인 ; 김병현 ; 조수진,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콘크리트 구조물 박락 탐지" 한국콘크리트학회 30 (30): 91-99, 2018

      4 하종우 ; 박경원 ; 김민수, "딥러닝 기반의 분할과 객체탐지를 활용한 도로균열 탐지시스템 개발" 한국전자거래학회 26 (26): 93-106, 2021

      5 백승현 ; 최대영 ; 김영규 ; 정상우 ; 김대년, "교량 안전점검을 위한 딥러닝 균열 검출분석 SW 탑재 드론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 19 (19): 45-52, 2021

      6 "https://www.tensorflow.org"

      7 "https://mqtt.org"

      8 "https://flask.palletsprojects.com/en/2.2.x"

      9 V. Hoskere, "Vision-based structural inspection using multiscal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2017

      10 X. Weng, "Segment-based pavement crack quantification" 105 : 3431-3440, 2019

      1 남우석 ; 정현준 ; 박경한 ; 김철면 ; 김규선, "콘크리트 교량 상태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손상 탐지 프로토타입 개발" 대한토목학회 42 (42): 107-116, 2022

      2 차윤호 ; 홍인식,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시설물 내벽 크랙 감지 시스템의 설계"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5 (15): 605-614, 2020

      3 이예인 ; 김병현 ; 조수진,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콘크리트 구조물 박락 탐지" 한국콘크리트학회 30 (30): 91-99, 2018

      4 하종우 ; 박경원 ; 김민수, "딥러닝 기반의 분할과 객체탐지를 활용한 도로균열 탐지시스템 개발" 한국전자거래학회 26 (26): 93-106, 2021

      5 백승현 ; 최대영 ; 김영규 ; 정상우 ; 김대년, "교량 안전점검을 위한 딥러닝 균열 검출분석 SW 탑재 드론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 19 (19): 45-52, 2021

      6 "https://www.tensorflow.org"

      7 "https://mqtt.org"

      8 "https://flask.palletsprojects.com/en/2.2.x"

      9 V. Hoskere, "Vision-based structural inspection using multiscal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2017

      10 X. Weng, "Segment-based pavement crack quantification" 105 : 3431-3440, 2019

      11 L. Yang, "Deep concrete inspec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towards CSSC database"

      12 H. J. Kim,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 binarization methods for crack identification in concrete structures" 99 : 53-61,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