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목적: 병원내 감염증에 있어 항생제의 선택은 지역사회 획득 질환과는 차별화되어야 한다. 급성 담낭염은 노인에서 호발하는 질환으로서 초기 치료에 있어 항생제의 역할이 매우 중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1921
2017
-
Acute cholecystitis ; Gallstones ; Nosocomial infections ; Antimicrobial resistance ; Elderly ; 급성 담낭염 ; 담석증 ; 병원내 감염 ; 항생제 내성 ; 노인
500
KCI등재
학술저널
172-178(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배경/목적: 병원내 감염증에 있어 항생제의 선택은 지역사회 획득 질환과는 차별화되어야 한다. 급성 담낭염은 노인에서 호발하는 질환으로서 초기 치료에 있어 항생제의 역할이 매우 중요...
배경/목적: 병원내 감염증에 있어 항생제의 선택은 지역사회 획득 질환과는 차별화되어야 한다. 급성 담낭염은 노인에서 호발하는 질환으로서 초기 치료에 있어 항생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노인 환자는 내성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반 질환이 흔해 경우에 따라서는 선택적 치료인 담낭절제술의 시행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환자에서 입원 중 발생한 급성 담낭염의 임상 경과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적인 치료 원칙이 통용 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부터 2015년 2월 사이에 급성 담낭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에 대해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여타 질환으로 입원 중 급성 담낭염이 발생한 경우를 병원군으로 정의하였고,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에 대하여 1:2 대응한 대조군을 구성하였다.
결과: 40명의 병원군과 80명의 대조군 사이의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기초적 특성에 있어 병원군에서 만성 동반 질환이 더 흔하였던 것 이외의 차이는 없었다. 병원군의 경우 상태의 악화로 인하여 초기 경험적 항생제를 교체해야 하였던 경우가 더 많았다(20.0% vs. 2.5%, p < 0.01). 회복까지의 기간도 병원군이 더 오래 소요되었다(23.3 ± 5.6 days vs. 10.1 ± 0.7 days, p = 0.02). 또한 병원군에서 조기 담낭절제술의 시행이 적었던 반면(7.5% vs. 40.0%, p < 0.01), 개복 전환은 흔하였다(20.0% vs. 6.3%, p = 0.02).
결론: 노인 환자에서 입원 중 발생한 급성 담낭염의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 및 수술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 원칙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접근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Gammack JK, "Use and management of chronic urinary catheters in long-term care: much controversy, little consensus" 3 : 162-168, 2002
2 정우현, "Timing of Cholecystectomy after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for Acute Cholecystitis" 대한소화기학회 66 (66): 209-214, 2015
3 Kiriyama S, "TG13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severity grading of acute cholangitis (with videos)" 20 : 24-34, 2013
4 Kimura Y, "TG13 current terminology,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acute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20 : 8-23, 2013
5 Gomi H, "TG13 antimicrobial therapy for acute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20 : 60-70, 2013
6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a practical guide"
7 Brauer R, "Prevalence of antibiotic use: a comparison across various European health care data sources" (25 Suppl 1) : 11-20, 2016
8 Zarour S,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in the management of high-risk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cholecystitis: timing and outcome at a single institution" 214 : 456-461, 2017
9 Byrne MF,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in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experience of 45 patients at a US referral center" 197 : 206-211, 2003
10 Welschbillig-Meunier K,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for high-risk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19 : 1256-1259, 2005
1 Gammack JK, "Use and management of chronic urinary catheters in long-term care: much controversy, little consensus" 3 : 162-168, 2002
2 정우현, "Timing of Cholecystectomy after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for Acute Cholecystitis" 대한소화기학회 66 (66): 209-214, 2015
3 Kiriyama S, "TG13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severity grading of acute cholangitis (with videos)" 20 : 24-34, 2013
4 Kimura Y, "TG13 current terminology,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acute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20 : 8-23, 2013
5 Gomi H, "TG13 antimicrobial therapy for acute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20 : 60-70, 2013
6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a practical guide"
7 Brauer R, "Prevalence of antibiotic use: a comparison across various European health care data sources" (25 Suppl 1) : 11-20, 2016
8 Zarour S,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in the management of high-risk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cholecystitis: timing and outcome at a single institution" 214 : 456-461, 2017
9 Byrne MF,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in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experience of 45 patients at a US referral center" 197 : 206-211, 2003
10 Welschbillig-Meunier K,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for high-risk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19 : 1256-1259, 2005
11 Nikfarjam M, "Outcomes of cholecystectomy for treatment of acute cholecystitis in octogenarians" 84 : 943-948, 2014
12 Reed 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 review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and the economic implications" 9 : 27-31, 2009
13 McKibben L, "Guidance on public reporting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33 : 217-226, 2005
14 Sanders G, "Gallstones" 335 : 295-299, 2007
15 García-Alonso FJ, "Gallstonerelated disease in the elderly: is there room for improvement" 60 : 1770-1777, 2015
16 Solomkin J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 in adults and children:guidelines by the Surgical Infection Society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11 : 79-109, 2010
17 Portincasa P, "Cholesterol gallstone disease" 368 : 230-239, 2006
18 Fukami Y, "Cholecystectomy in octogenarians: be careful" 66 : 265-268, 2014
재발성 담낭염 환자에서 내시경적 경유두 담낭 담석 제거를 시행한 1예
항암화학 치료를 통해 병리학적 완전 관해에 이른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간내담관암
담석성 담낭염으로 오인된 담낭의 원발성 반지세포암 1예
자연경과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으로 진행한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9-03-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췌담도학회 -> 대한췌장담도학회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