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1.1_ 연구의 목표 및 배경 1.1.1_ 연구의 목표 1.1.2_ 연구의 배경 1.2_ 연구의 중요성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성과 2.1_ 연구방법 및 범위 2.2_ 연구내용 2.1.1_ 디자인과 디자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5732
-
2007년
Korean
유비쿼터스 컴퓨팅 ; 웨어러블 컴퓨터 ; 패션 ; 디자인 프로세스 ; 배경 ; 내용. 사례연구 ; 디자인 요건 ; 인터렉션 디자인 ; 인터페이스 디자인 ; 시나리오 ;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 스마트 소재 ; 플렉시블 하드웨어 ; 착용성 ; 사용성 ; 웨어러블 네트워크 ; 네트워크 체계 ; Ubiquitous Computing ; Wearable Computer ; Fashion ; Design process ; Context ; Content ; Killer application ; Design requisites ; Interaction Design ; Interface Design ; scenario ; HCI ; Smart Fabric ; Flexible Hardware ; Wearability ; Usability ; Wearable Network ; BAN ; WPAN ; WLAN ; WW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서 론 1.1_ 연구의 목표 및 배경 1.1.1_ 연구의 목표 1.1.2_ 연구의 배경 1.2_ 연구의 중요성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성과 2.1_ 연구방법 및 범위 2.2_ 연구내용 2.1.1_ 디자인과 디자인 ...
1. 서 론
1.1_ 연구의 목표 및 배경
1.1.1_ 연구의 목표
1.1.2_ 연구의 배경
1.2_ 연구의 중요성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성과
2.1_ 연구방법 및 범위
2.2_ 연구내용
2.1.1_ 디자인과 디자인 프로세스
2.1.2_ 복식 디자인 프로세스
2.1.3_ 단계별 연구 추진 내용
STEP1_ 디지털 컨버젼스에 따른 시대적 패러다임 연구 분석
STEP2_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웨어러블 컴퓨터와의 관계 연구 분석
STEP3_ 웨어러블 컴퓨터의 요소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동향조사 분석
STEP4_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는 방법에 따른 『Wearable』의미 연구
STEP5_ 물리적인 거리축약에 따른 새로운 디자인 요소 연구
STEP6_ 특화된 업무 수행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연구
STEP7_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접근 형태에 따른 개발 방법론 연구
STEP8_ 패션 디자인에서의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개발
2.3_ 주요 연구 성과
3_ 결 론
3.1_ 연구성과의 파급효과
3.2_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국문 초록 (Abstract)
소비자들의 편의성과 다기능성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면서 융합화(Convergence)의 흐름이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IT기술들과 디자인이 ...
소비자들의 편의성과 다기능성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면서 융합화(Convergence)의 흐름이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IT기술들과 디자인이 결합되면서 DT(Design&Technology) 라는 신용어가 등장하게 되었고 산업의 융합화, 복합화가 진전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모든
정보 형태를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의 적용으로 타 분야의 기술이 상호활용되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기술 시너지를 창출하는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디지털 컨버젼스 분야라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분야는 패션과 융합되면서 패션디자이너의 영역으로 까지 확장되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는『감성공학 + 컴퓨터 + IT + 첨단소재 +디자인 + 패션』이 탈 장르화 된 복합 속성으로 인해 패션 디자이너들의 참여가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패션 전문가들의 이미크 뷰를 키워주면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확립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