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개인이용특성이 개인형 이동수단의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ffect of a User’s Usage Attributes on their Perception of Personal Mo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5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자의 특성 및 선호도, 이용 시 안전성 등 각 특성에 따른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용 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사항의 우...

      본 연구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자의 특성 및 선호도, 이용 시 안전성 등 각 특성에 따른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용 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사항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여러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 특성(성별, 연령, 거주 지역 등)과 개인형 이동수단 안전성, 이동성, 비용 합리성, 이용빈도 및 평균 이동거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형 이동수단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이동성, 비용합리성, 이용빈 도의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동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 안전성, 비용합리성 변수가 높은 관계성 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빈도의 경우 안전성,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목적, 주 이용장소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종덕 ; 박인선 ; 황기연, "행위자기반모형을 활용한 Personal Mobility와 Partial Autonomous Vehicle의 교통혼잡개선효과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22 (22): 27-44, 2015

      2 박범진 ; 노창균 ; 김지수,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의 주행안전성평가지표 연구" 한국ITS학회 17 (17): 1-13, 2018

      3 김숙희 ; 오세창 ; 최기주, "스테이션 없는 공유자전거 통행특성분석: 수원시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37 (37): 110-123, 2019

      4 김점산, "스마트모빌리티 서비스의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2020

      5 이혁성, "스마트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이용자 특성에 관한연구 :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예시로" 462-463, 2019

      6 김민정 ; 김호용 ; 김회경,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한 FMM과 LMM 서비스 권역의 정의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37 (37): 245-253, 2019

      7 신희철, "미래 개인형 이동수단의 활성화 방안" 238 (238): 31-37, 2020

      8 이은지 ; 조철호, "공유경제에서 서비스품질이 공유가치창출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공유자전거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46 (46): 523-538, 2018

      9 유승규, "공유경제 플랫폼 기반의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2159-2168, 2020

      10 고민경,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에 따른 도시 경험: 정동적 플랫폼 도시론(affective platform urbanism)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35-47, 2020

      1 이종덕 ; 박인선 ; 황기연, "행위자기반모형을 활용한 Personal Mobility와 Partial Autonomous Vehicle의 교통혼잡개선효과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22 (22): 27-44, 2015

      2 박범진 ; 노창균 ; 김지수,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의 주행안전성평가지표 연구" 한국ITS학회 17 (17): 1-13, 2018

      3 김숙희 ; 오세창 ; 최기주, "스테이션 없는 공유자전거 통행특성분석: 수원시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37 (37): 110-123, 2019

      4 김점산, "스마트모빌리티 서비스의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2020

      5 이혁성, "스마트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이용자 특성에 관한연구 :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예시로" 462-463, 2019

      6 김민정 ; 김호용 ; 김회경,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한 FMM과 LMM 서비스 권역의 정의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37 (37): 245-253, 2019

      7 신희철, "미래 개인형 이동수단의 활성화 방안" 238 (238): 31-37, 2020

      8 이은지 ; 조철호, "공유경제에서 서비스품질이 공유가치창출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공유자전거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46 (46): 523-538, 2018

      9 유승규, "공유경제 플랫폼 기반의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2159-2168, 2020

      10 고민경,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에 따른 도시 경험: 정동적 플랫폼 도시론(affective platform urbanism)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35-47, 2020

      11 안다은,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만족도 및 이용행태 영향요인 실증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공주대학교 2020

      12 Tirachini, A., "The sustainability of shared mobility : Can a platform for shared rides reduce motorized traffic in cities?" 117 : 102707-, 2020

      13 Campisi, T., "Exploring public opinion on personal mobility vehicle use : A case study in Palermo, Italy" 12 (12): 5460-, 2020

      14 Kopplin, C. S., "Consumer acceptance of shared e-scooters for urban and short-distance mobility" 91 : 102680-,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