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탄성파 자료 보정용 검층 기록의 통계적 추정밥법을 이용한 3차원 GIS DB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 Method of building 3D GIS Database Using the Statistical Estimating Methods of Well Log for Balancing seismic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8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 of acquiring 3D GIS data using the statistical estimating methods of Well Log for balancing seismic data. We us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to get the parameters for the reservoir charaterization and we bala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using well log to increase the confidence of the estimated result. Well logs are required to bala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t the point where seismic data are acquired. In this research, we discuss the geostatistical estimation method and we applied these methods to real data. Kriging gives high weights to the close well logs, which means estimated results are mainly affected by close well log. High value of cross cariograms gave big difference on cokriging result comparing to kriging results and low value of cross variogram gave little differe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 of acquiring 3D GIS data using the statistical estimating methods of Well Log for balancing seismic data. We us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to get the parameters for the reservoir ch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 of acquiring 3D GIS data using the statistical estimating methods of Well Log for balancing seismic data. We us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to get the parameters for the reservoir charaterization and we bala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using well log to increase the confidence of the estimated result. Well logs are required to bala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t the point where seismic data are acquired. In this research, we discuss the geostatistical estimation method and we applied these methods to real data. Kriging gives high weights to the close well logs, which means estimated results are mainly affected by close well log. High value of cross cariograms gave big difference on cokriging result comparing to kriging results and low value of cross variogram gave little differ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탄성파 자료 보정용 검층 기록의 통계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3차원 GIS 데이터 획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저류층 특성화를 위한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탄성과 자료의 반사계수 시계열을 사용하였는데, 산출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검층기록을 이용하여 탄성과 자료의 반사계수를 보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탄성파 자료를 획득한 임의의 지점에서 검층기록이 필요한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추정 방법과 이를 현장 자료에 적용하면서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riging에서 검층기록의 가중값은 Cokriging 방법의 추정 결과와 Kriging 방법의 추정 결과를 비교해 보면 cross variogram이 큰 값을 가질때는 검층기록의 반사계수 추정값의 변화가 크며 cross variogram의 값이 작을땐 두 방법의 추정 결과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탄성파 자료 보정용 검층 기록의 통계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3차원 GIS 데이터 획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저류층 특성화를 위한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탄성과 자료...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탄성파 자료 보정용 검층 기록의 통계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3차원 GIS 데이터 획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저류층 특성화를 위한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탄성과 자료의 반사계수 시계열을 사용하였는데, 산출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검층기록을 이용하여 탄성과 자료의 반사계수를 보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탄성파 자료를 획득한 임의의 지점에서 검층기록이 필요한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추정 방법과 이를 현장 자료에 적용하면서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riging에서 검층기록의 가중값은 Cokriging 방법의 추정 결과와 Kriging 방법의 추정 결과를 비교해 보면 cross variogram이 큰 값을 가질때는 검층기록의 반사계수 추정값의 변화가 크며 cross variogram의 값이 작을땐 두 방법의 추정 결과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5-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7-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br>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