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 색인 기법 = On Indexing Method for Current Positions of Moving O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89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tion-based service is an important spatiotemporal database application area that provides the location-awar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s via positioning devices such as GPS. With the rapid advanc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requirement of mobile application areas including traffic, mobile commerce and supply chaining management became the center of attention for various research issues in spatiotemporal datab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Quadtree, an efficient indexing method for answering locations-based queries where the movement vector information(e.g., speed and velocity) is not presented. We implement the A-Quadtree with an index structure for object identifiers as a .Net component to apply the component to multiplatforms. We present our approach and describ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n our experiments, we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previous approaches and show the enhanced efficiency of our method.
      번역하기

      Location-based service is an important spatiotemporal database application area that provides the location-awar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s via positioning devices such as GPS. With the rapid advanc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requ...

      Location-based service is an important spatiotemporal database application area that provides the location-awar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s via positioning devices such as GPS. With the rapid advanc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requirement of mobile application areas including traffic, mobile commerce and supply chaining management became the center of attention for various research issues in spatiotemporal datab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Quadtree, an efficient indexing method for answering locations-based queries where the movement vector information(e.g., speed and velocity) is not presented. We implement the A-Quadtree with an index structure for object identifiers as a .Net component to apply the component to multiplatforms. We present our approach and describ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n our experiments, we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previous approaches and show the enhanced efficiency of our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GPS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로서 이동 통신망의 고도화에 따라 교통, 물류, 전자 상거래 등의 분야에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중요한 응용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속도와 이동 방향과 같은 궤적 정보가ㅣ 제공되지 않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동 객체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색인하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A-Quadtree를 제시한다. A-Quadtree는 2차원 위치정보를 실시간 갱신을 지원하는 구조로서 객체 식별자에 대한 색인과 통합하여 .Net 콤포넌트로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A-Quadtree는 기존의 다차원 색인 구조보다 갱신과 검색 성능이 효율적임을 보인다.
      번역하기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GPS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로서 이동 통신망의 고도화에 따라 교통, 물류, 전자 상거래 등의 ...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GPS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로서 이동 통신망의 고도화에 따라 교통, 물류, 전자 상거래 등의 분야에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중요한 응용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속도와 이동 방향과 같은 궤적 정보가ㅣ 제공되지 않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동 객체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색인하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A-Quadtree를 제시한다. A-Quadtree는 2차원 위치정보를 실시간 갱신을 지원하는 구조로서 객체 식별자에 대한 색인과 통합하여 .Net 콤포넌트로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A-Quadtree는 기존의 다차원 색인 구조보다 갱신과 검색 성능이 효율적임을 보인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5-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7-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br>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