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배문학의 산실, 남해도(南海島) -김구, 김만중, 류의양을 중심으로- = Birthplace of Exile Literature, Namhae Island -Around Kim Ku, Kim Man-jung and Loo Yei-ya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8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해도는 유배객들이 남긴 유배문학의 산실로서 상징적이며 대표적인 지역이 되었다. 그런 점에서 유배문학은 남해군의 역사·문화적 보물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글쓴이는 오래 전부터 ...

      남해도는 유배객들이 남긴 유배문학의 산실로서 상징적이며 대표적인 지역이 되었다. 그런 점에서 유배문학은 남해군의 역사·문화적 보물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글쓴이는 오래 전부터 고향인 남해도의 유배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껏 남해 유배객에 대한 개별적 연구, 이를테면 작가·작품론은 더러 찾아지지만, 남해 유배문학에 대한 전반적 조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무엇보다 아쉽다. 이 글은 남해도의 유배문학 전통과 자산을 살피는 데 있다. 사실 우리 문학사에서 잘 알려져 있는 남해의 유배문학인으로 김구, 김만중, 류의양, 남구만, 이이명, 권도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에 글쓴이는 김구의 「화전별곡」, 김만중의 「구운몽」과 「사씨남정기」, 그리고 류의양의 「남해문견록」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남해도가 시가문학, 소설 문학, 기록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유배문학의 산실임을 입증하고자 했다. 한편, 남해도에 유배 온 많은 유배객들이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이에 글쓴이는 앞서 대상으로 삼았던 김구, 김만중, 류의양의 한시를 살펴봄으로써 남해 유배문학의 위상과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하고자 했다. 이들 유배객들은 남해도의 명소와 풍광, 그리고 자신의 체험을 작품 속에 끌어들이고 있다. 물론 남해도를 소재한 한 문학적 자취는 고대에서 근대까지 더러 남아 있다. 비록 그것이 ‘과차문학’의 입장을 지니고 있다고 하지만, 그 또한 남해도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일구어진 것들임에는 틀림없다. 이렇듯 역사의 질곡 속에서 그나마 남해도가 문인들의 작품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 것은 값진 성과이며 자랑이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ile literature meant to literary works made in a place of exile. That is to say, It were the works to figure as literature, the world of spirit that are faced by direct experience, emotional contents and exile situation of exile man at the Goryeo Jo...

      Exile literature meant to literary works made in a place of exile. That is to say, It were the works to figure as literature, the world of spirit that are faced by direct experience, emotional contents and exile situation of exile man at the Goryeo Joseon Dynasty period. Namhae Island became symbolic and representative region as repository of exile literature from exile man. That`s, I thought that exile literature was one of historical cultural treasure in Namhae County. The writer was concerned about exile literature for years. So far, Individual study on Namhae exile man, so to speak, Author-work thesis seek for sometimes, but, I missed that was not made to overall view about Namhae exile literature. This paper took a good look to generally trade and value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In fact, It was well known that the exile literature man of Namhae were kim Gu, Kim Man-Jung, Loo Yei-Yaong and Nam Kuman, in history of literature. For this fact, the writer was willing to call in question over property of exile literature around of them. and then, I would like to see regional image of Namhae Island and the poetic figuration about objection to the exile Chinese poem of them. Therefore, the writer examined the character of kim Ku 「Hwajeonbyeulkog(화전별곡)」, Kim Man-Jung 「Kuunmong(구운몽)」 and 「Sassinamjeongki(사씨남정기)」, Loo Yei-Yaong 「Namhaemoonkyeunlog( 남해문견록)」. Through These, It proved to be the cradle of exile literature that Namhae Island was harmonized generally on poetry, novel and documentary literature. Meanwhile, An exile from exile of Namhae Island reserved a work of Chinese poem. However, the writer made certain again status and it`s meaning the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by looking into Chinese poem of kim Gu, Kim Man Jung, Loo Yei Yaong, earlier mention. These exile are attracting their experience in works, attractions and scenery of Namhae Island. Of course, there was some left, literature vestige to the material of Namhae Island, from ancient to modern. Even if it were standpoint of passing literature, In any case, also, Namhae Island must be background of place. Like this, in the fettlers of history, even so, It was valuable result and boast that Namhae Island was exposed by the works of literary man. In fact, This paper was put to inconvenienced depth handle. looking generally tradition and valuation of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I was put to inconvenienced in depth untanned about the work and individual writer.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uch author thesis, the form of exile literature and rhetoric expression left next subject. Together, In consider collection of works about an exile of Namhae, It was the remainder of assignment that life and thought of an exile, the world of literature depth studied on influence in effect of Namhae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의양, "후송 유의양 유배기 남해문견록" 신성출판사 1999

      2 민족문학사연구소,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 1998

      3 김경숙, "조선시대의 유배길" (5) : 24-, 2005

      4 양순필, "제주 유배문학 연구" 제주문화 18-, 1992

      5 김구, "자암집" 민족문화추진회 1988

      6 김구, "자암집" 남해문화원 2010

      7 편집부, "자암선생묘지" 민족문화추진회 280-, 1989

      8 최강현, "유의양론, In 한국문학작가론" 형설출판사 695-717, 1980

      9 신규수, "유배지 역사 기행" 집현전 1995

      10 조동일, "유배문학의 특성과 양상" 이화여대한국문학연구원 9 : 7-31, 2005

      1 류의양, "후송 유의양 유배기 남해문견록" 신성출판사 1999

      2 민족문학사연구소,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 1998

      3 김경숙, "조선시대의 유배길" (5) : 24-, 2005

      4 양순필, "제주 유배문학 연구" 제주문화 18-, 1992

      5 김구, "자암집" 민족문화추진회 1988

      6 김구, "자암집" 남해문화원 2010

      7 편집부, "자암선생묘지" 민족문화추진회 280-, 1989

      8 최강현, "유의양론, In 한국문학작가론" 형설출판사 695-717, 1980

      9 신규수, "유배지 역사 기행" 집현전 1995

      10 조동일, "유배문학의 특성과 양상" 이화여대한국문학연구원 9 : 7-31, 2005

      11 정익섭, "유배문학소고, In 무애 양주동박사 화연기념논총" 편찬위원회 527-556, 1964

      12 김영기, "유배문학론" (147) : 162-167, 1967

      13 허춘, "유배문학 연구의 과제" 영주어문학회 23 : 5-19, 2012

      14 송광룡, "역사에 지고 삶에 이긴 사람들" 풀빛 2000

      15 박진욱, "역사 속의 유배지 답사기" 보고싶은책 32-, 1999

      16 김만중, "서포집" 남해문화원 2010

      17 김만중, "서포집" 민족문화추진회 1988

      18 김병국, "서포연표" 서울대학교출판부 246-, 1992

      19 사재동, "서포문학의 새로운 탐구" 중앙인문사 2000

      20 우쾌제, "서포 소설과 남해" 애산학회 19 : 67-107, 1996

      21 이강옥, "서포 김만중의 시문(詩文)에 나타나는 구름" 우리한문학회 19 : 351-373, 2008

      22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91-, 2001

      23 이진성, "서포 김만중의 남해시대와 서포만필" 한국중국문화학회 17 : 241-261, 2003

      24 김성철, "서포 김만중과 남해" 서포 김만중 남해기념사업회 2011

      25 향토문화연구회, "사향록" 향토문화연구회 1973

      26 남해군관광발전위원회, "보물섬 남해군 사랑"

      27 남해군, "남해의 얼"

      28 문신수, "남해의 문학" 남해문학회 (4) : 190-191, 1995

      29 정의연, "남해문화의 작은 둥지" 남해리뷰사 2003

      30 최강현, "남해문견록" 419-, 1973

      31 엄경흠, "남해를 읊은 한시에 대한 고찰" 동아대 석당전통문화연구원 25 : 155-196, 1997

      32 남해군지편집위원회, "남해군지"

      33 이동영, "김자암과 유배시가, In 조선조 영남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43-57, 1984

      34 전형대, "김만중의 한시-그의 자연시를 중심으로, In 김만중 연구" 새문사 74-, 1983

      35 김무조, "김만중론, In 한국문학작가론" 현대문학 557-595, 1991

      36 김열규, "김만중 연구" 새문사 1983

      37 최재남, "김구의 남해생활과 <화전별곡>, In 사림의 향토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136-, 1997

      38 김만중, "구운몽, 사씨남정기" 정음사 1959

      39 설성경, "구운몽 연구" 국학자료원 1999

      40 조동일, "고대소설과 정치, In 문학과 정치" 민음사 117-, 1980

      41 權永大, "西浦 漢詩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4

      42 조지형, "自菴 金絿의 유배 생활과 ‘憂中有樂’의 면모"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6 (26): 337-36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stic Studies, Kyungnam University -> Institute for Huma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8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