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남일,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300-302, 2006
2 안상우, "의방유취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식치, 금기, 침구, 도인편을중심으로" 6 (6): 2-, 2000
3 이선아, "역대의학인물열전"
4 車柱環, "韓國의 道敎思想" 동화출판공사 34-, 1986
5 車柱環, "韓國의 道敎思想" 동화출판공사 48-56, 1986
6 姜延錫, "鄕藥集成方의 鄕藥醫學연구 - 鄕藥本草의 處方用法을 중심으로"
7 金洛必, "海東傳道錄에 나타난 道敎思想. 道敎와 韓國思想" 아세아문화사 135-170, 1987
8 醫心方, "房內用藥石"
9 許浚, "原本 東醫寶鑑" 南山堂 1987
1 김남일,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300-302, 2006
2 안상우, "의방유취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식치, 금기, 침구, 도인편을중심으로" 6 (6): 2-, 2000
3 이선아, "역대의학인물열전"
4 車柱環, "韓國의 道敎思想" 동화출판공사 34-, 1986
5 車柱環, "韓國의 道敎思想" 동화출판공사 48-56, 1986
6 姜延錫, "鄕藥集成方의 鄕藥醫學연구 - 鄕藥本草의 處方用法을 중심으로"
7 金洛必, "海東傳道錄에 나타난 道敎思想. 道敎와 韓國思想" 아세아문화사 135-170, 1987
8 醫心方, "房內用藥石"
9 許浚, "原本 東醫寶鑑" 南山堂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