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영교육의 진화 = An Evolution of Busines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60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moves our society into the new era of Knowledge Based Information Society, a new paradigm is required in business and business education. In this paper, one evolution path of business educa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e most required capabilities of the successful managers in this 21 century involve the following areas: (1)Creativity, (2)Execution, (3)Absorption, and (4) Networking. Decision making process model will evolve from the economic man model, which is based on the unbounded rationality, to that of administrative man, which is based on the bounded rationality, and finally to that of the evolving man, which is based on the bounded intuition.
      The methods of business education will evolve from the theory based one to more practice based one. The version 1.0 of business education will be theory oriented, the version 2.0, the case oriented and the version 3.0, the action oriented. In the version 3.0, students are learning business by starting and doing a real busines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version 3.0 depends on the diverse and creative design of the educational program.
      번역하기

      As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moves our society into the new era of Knowledge Based Information Society, a new paradigm is required in business and business education. In this paper, one evolution path of business education is presente...

      As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moves our society into the new era of Knowledge Based Information Society, a new paradigm is required in business and business education. In this paper, one evolution path of business educa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e most required capabilities of the successful managers in this 21 century involve the following areas: (1)Creativity, (2)Execution, (3)Absorption, and (4) Networking. Decision making process model will evolve from the economic man model, which is based on the unbounded rationality, to that of administrative man, which is based on the bounded rationality, and finally to that of the evolving man, which is based on the bounded intuition.
      The methods of business education will evolve from the theory based one to more practice based one. The version 1.0 of business education will be theory oriented, the version 2.0, the case oriented and the version 3.0, the action oriented. In the version 3.0, students are learning business by starting and doing a real busines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version 3.0 depends on the diverse and creative design of the educational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식기반사회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영 및 경영교육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대에 경영교육이 그 내용과 방법 면에서 어떻게 새롭게 진화해 나가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경영교육의 내용면에서 보면,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1)창의성, (2)실행력, (3)몰입력 및 (4)네트워킹 능력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경영 의사결정모형도 의사결정자의 무한한 합리성을 전제로 한 경제인 가설에서 제한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관리인 가설로 발전되고, 나아가 고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복잡상호시스템’하에서는 진화적 생존을 추구하는 진화인 가설로 진행될 것이다.
      경영교육 방법의 진화과정은 크게 이론중심에서 실무중심으로 이동해간다고 볼 수 있는데, 이론 위주의 버전 1.0에서 사례중심의 버전 2.0을 거쳐 실천위주의 버전 3.0으로 발전되어 갈 것이다. 실제 창업을 통한 경영교육 버전 3.0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창업교육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식기반사회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영 및 경영교육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대에 경영교육이 그 내...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식기반사회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영 및 경영교육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대에 경영교육이 그 내용과 방법 면에서 어떻게 새롭게 진화해 나가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경영교육의 내용면에서 보면,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1)창의성, (2)실행력, (3)몰입력 및 (4)네트워킹 능력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경영 의사결정모형도 의사결정자의 무한한 합리성을 전제로 한 경제인 가설에서 제한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관리인 가설로 발전되고, 나아가 고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복잡상호시스템’하에서는 진화적 생존을 추구하는 진화인 가설로 진행될 것이다.
      경영교육 방법의 진화과정은 크게 이론중심에서 실무중심으로 이동해간다고 볼 수 있는데, 이론 위주의 버전 1.0에서 사례중심의 버전 2.0을 거쳐 실천위주의 버전 3.0으로 발전되어 갈 것이다. 실제 창업을 통한 경영교육 버전 3.0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창업교육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원섭, "혁신적 벤처특성화 기반을 위한 대학 벤처교육과정 모델 개발연구" 8 : 476-498, 2005

      2 박춘엽, "한국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실태연구 : 강좌내용을 중심으로" 15 (15): 79-144, 1993

      3 권순백, "한ㆍ중ㆍ일 경영교육의 현황과 방향" 19 : 365-393, 1999

      4 권순백, "한 미 경영교육의 비교와 벤치마킹을 통한 경영교육의 개선방안" 28 : 1-32, 2002

      5 레이 커즈와일, "특이점이 온다" 김영사 2007

      6 찰스 핸디, "코끼리와 벼룩" 생각의 나무 2001

      7 신건권, "창의성경영 신규교과목 개설과 운영사례" 32 : 227-253, 2003

      8 허철부, "지식기반경제와 경영학교육" 4 (4): 46-68, 2001

      9 지용희, "일본과 미국 대학의 창업교육과정과 시사점" 2 (2): 75-101, 1998

      10 유시정, "우리나라 경영학교육의 향상을 위한 실증적 연구" 11 : 39-60, 1999

      1 곽원섭, "혁신적 벤처특성화 기반을 위한 대학 벤처교육과정 모델 개발연구" 8 : 476-498, 2005

      2 박춘엽, "한국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실태연구 : 강좌내용을 중심으로" 15 (15): 79-144, 1993

      3 권순백, "한ㆍ중ㆍ일 경영교육의 현황과 방향" 19 : 365-393, 1999

      4 권순백, "한 미 경영교육의 비교와 벤치마킹을 통한 경영교육의 개선방안" 28 : 1-32, 2002

      5 레이 커즈와일, "특이점이 온다" 김영사 2007

      6 찰스 핸디, "코끼리와 벼룩" 생각의 나무 2001

      7 신건권, "창의성경영 신규교과목 개설과 운영사례" 32 : 227-253, 2003

      8 허철부, "지식기반경제와 경영학교육" 4 (4): 46-68, 2001

      9 지용희, "일본과 미국 대학의 창업교육과정과 시사점" 2 (2): 75-101, 1998

      10 유시정, "우리나라 경영학교육의 향상을 위한 실증적 연구" 11 : 39-60, 1999

      11 톰피터스, "미래를 경영하라" 서울 21세기북스 2005

      12 황일청, "경영학교육 개혁의 우선순위 - 대학이 지닌 문제의 올바른 인식부터 -" 3 (3): 11-31, 1999

      13 장대성, "경영 및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 12 : 63-82, 2000

      14 톰피터스, "Wow 프로젝트" 서울 21세기북스 2002

      15 Friedman, Thomas L, "The world is flat" Picador 2007

      16 BeinHocker, Erkc D, "The origin of wealth" McKinsey & Company, Inc 2007

      17 Heinonen, J, "An Entrepreneurial-directed Approach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Mission Impossible?" 25 (25): 80-94, 2006

      18 Rasmussen E. A, "Action-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26 : 185-194, 2006

      19 Okudan, G. E, "A Project-based Approach to Entrepreneurial Leadership Education" 26 : 195-210, 2006

      20 Tan, S. S,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48 (48): 416-428,

      21 피터 드러커, "21세기 지식경영" 한국경제신문사 1999

      22 이인식, "21세기 미래의 경영 교육방향" 24 (24): 261-272, 2001

      23 조동성, "21세기 미래 경영자 육성을 위한 경영교육방법" 1 (1): 183-203,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