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Eye-Contact in Children with Au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1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이용한 중재가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하나인 눈맞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이용한 중재가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하나인 눈맞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자발적 발화가 없는 두 명의 유치원 남아를 대상으로 중다기초선 설계를 실시하였다. PECS의 여섯 단계 중 4단계까지 훈련하였고, 매 회기 PECS훈련이 끝나면 15분의 자유놀이를 통해 중재효과를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사건기록법과 부분간격시간표집법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명의 아동 모두 요구하기 행동은 크게 증가하였고 자발적인 발화도 두 아동의 차이는 있었으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행동의 하나인 눈맞춤 또한 기초선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프로그램은 자발적 발화가 없는 자폐아동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on requesting skills of two preschoolers with autism.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CS training on the emergence of spontaneous speech in play settings.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on requesting skills of two preschoolers with autism.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CS training on the emergence of spontaneous speech in play settings. Ancillary measures of social-communicative behavior were recorded. The single-subject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aught Phases 1-4 of PECS (i.e., picture exchange, increased distance, picture discrimination, and sentence co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wo participants improved requesting skills through PECS training and generalized the skills across other people and items. Results also showed concomitant increases in verbal speech. Collateral gain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social-interactive behavio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mpirical data on the effectiveness of PEC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경, "중도 및 중복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 및 대체 의사소통 지도" 4 : 271-311, 2004

      2 이소현, "자폐아 언어교육(기능성 중심의 방향정립을 위한 제언)" 23 (23): 69-93, 1995

      3 권순황, "사진교환 의사소통 체계 프로그램이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말하기 행동 증가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173-194, 2004

      4 강윤주, "발달장애 아동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로서 수화언어의 활용"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137-156, 2002

      5 우길숙, "그림교환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이인숙,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161-190, 2005

      7 Skinner, B. F., "Verbal Behavior" Prentice-Hall, Inc 1957

      8 Charlop-Christy, M. H., "Us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 with children with autism: Assessment of acquisition, speech, social communicative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35 : 213-231, 2002

      9 Janzen, J., "Understanding the nature of autism: A practical guide" Therapy skill builders 1996

      10 Tager-Flusberg, H., "Understanding the language and communicative impairments in autism" 26 : 185-205, 2000

      1 김은경, "중도 및 중복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 및 대체 의사소통 지도" 4 : 271-311, 2004

      2 이소현, "자폐아 언어교육(기능성 중심의 방향정립을 위한 제언)" 23 (23): 69-93, 1995

      3 권순황, "사진교환 의사소통 체계 프로그램이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말하기 행동 증가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173-194, 2004

      4 강윤주, "발달장애 아동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로서 수화언어의 활용"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137-156, 2002

      5 우길숙, "그림교환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이인숙,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161-190, 2005

      7 Skinner, B. F., "Verbal Behavior" Prentice-Hall, Inc 1957

      8 Charlop-Christy, M. H., "Us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 with children with autism: Assessment of acquisition, speech, social communicative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35 : 213-231, 2002

      9 Janzen, J., "Understanding the nature of autism: A practical guide" Therapy skill builders 1996

      10 Tager-Flusberg, H., "Understanding the language and communicative impairments in autism" 26 : 185-205, 2000

      11 Mirenda, P., "Toward functiona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Manual signs, graphic symbols, and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s" 34 : 203-216, 2003

      12 Bondy, A. S., "The point is not to point: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with young students with autism"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convention 1990

      13 Schwartz, I. S.,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ve outcome for children with autism" 18 : 144-159, 1998

      14 Tincani, M.,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Effects on manding and speech development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41 : 177-184, 2006

      15 Ganz, J. B., "The impact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on requesting and speech development in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imilar characteristics" 2 (2): 157-169, 2008

      16 Howlin, P., "The effectiveness of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 training for teac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 pragmatic, group randomised control trial" 48 : 473-481, 2007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Author 1992

      18 Yokoyama, K., "Teaching verbal behavior us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with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43 : 485-503, 2006

      19 Bondy, A. S.,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9 : 1-19, 1994

      20 이효신, "PECS를 이용한 자폐장애 유아의 자발적 의사표현 행동 향상"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335-351, 2004

      21 Mundy, P., "Nonverbal communication and play correlates of language development in autistic children" 17 : 349-364, 1987

      22 Schuler, A., "Nonspeech communication and childhood autism" 12 : 246-257, 1981

      23 김정미, "K-CDI 아동발달검사: 지침서" 특수교육 2006

      24 Delinicolas, E. K., "Joint attention, language, social relating, and stereotypical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11 : 425-436, 2007

      25 Liddle, K., "Implement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 36 : 391-395, 2001

      26 Lalli, J. S., "Ident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a response class hierarchy" 28 : 551-559, 1995

      27 Dogoe, M. S.,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on requesting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Texas Tech University 2008

      28 Ganz, J. B., "Effects on communicative requesting and speech development of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characteristics of autism" 34 : 395-409, 2004

      29 Wacker, D. P., "Effects of pictures on the acquisition of complex vocational tasks by mentally retarded adolescents" 16 : 417-433, 1983

      30 Sigafoos, J., "E., Reichle, J., O’Reilly, M., & Tait, K. (2004). Tutorial: teaching communicative rejecting to children with severe with severe disabilities" 13 : 31-42, 2004

      31 Prizant, B. M., "Communication intent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ocial-communicative behavior in autism" 26 : 472-479, 1987

      32 Kravits, T. R., "Brief Report: Increasing communication skills for an elementary-aged student with autism us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32 : 225-230, 2002

      33 Mirenda, P.,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pplications for persons with severe congenital communications disorders: An introduction" 5 (5): 3-13, 1989

      34 Beukelman, D. R.,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Brookes 2005

      35 Cooper, J. O., "Applied behavior analysis" Pearson 2007

      36 Baker, L., "A prospective psychiatric follow-up of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s" 26 : 546-553, 1987

      37 Marckel, N., "A preliminary analysis of teaching improvisation with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to children with autism" 39 : 109-115, 2006

      38 Mundy, P., "A longitudinal study of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autistic children" 20 : 115-128, 1990

      39 Locke, P. A., "A computer-supported communication approach for a child with severe communication, visual, and cognitive impairments: A case study" 4 : 15-22,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