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종섭, "한국헌법사문류" 박영사 2002
2 이효원, "통일헌법의 이해" 박영사 2016
3 장용철,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정책" 한국학술정보(주) 2012
4 최준욱, "통일재원 조달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11
5 민준규, "통일시나리오 논의의 틀 : 북한경제의 이행・발전 방식 및 남북한의 국가결합 유형을 중심으로" 법무부 (25) : 49-81, 2016
6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7 연하청, "통일독일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교훈과 시사점 : 한반도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 운영방안 : 경제적 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9 이철수, "통일 이후 북한지역 사회보장제도 – 과도기 이중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0 김종수, "제헌헌법 사회보장이념의 재발견과 계승" 신조사 2 (2): 2013
1 정종섭, "한국헌법사문류" 박영사 2002
2 이효원, "통일헌법의 이해" 박영사 2016
3 장용철,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정책" 한국학술정보(주) 2012
4 최준욱, "통일재원 조달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11
5 민준규, "통일시나리오 논의의 틀 : 북한경제의 이행・발전 방식 및 남북한의 국가결합 유형을 중심으로" 법무부 (25) : 49-81, 2016
6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7 연하청, "통일독일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교훈과 시사점 : 한반도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 운영방안 : 경제적 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9 이철수, "통일 이후 북한지역 사회보장제도 – 과도기 이중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0 김종수, "제헌헌법 사회보장이념의 재발견과 계승" 신조사 2 (2): 2013
11 김복기, "위기의 상시화와 사회안전망으로서 사회보장법의 과제- 공공부조와 실업보험을 중심으로 본 사회보장법 형성과정과 기본원칙 -" 법학연구소 58 (58): 193-221, 2017
12 "연합뉴스"
13 최규환, "사회보장 관점에서 본 통일 - 통일 이후 사회보장 문제 -" 안암법학회 (46) : 425-489, 2015
14 김유동, "북한의 광물자원개발과 남북간 자원협력방안"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8 (38): 197-206, 2005
15 전광석, "독일통일의 법적 조명" 박영사 1994
16 "남북한 주요경제지표 비교" 한국은행
17 이호근, "남북한 사회통합 - 노동시장과 사회적 안전망 관련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동북아법연구소 10 (10): 217-240, 2017
18 김두얼, "남북한 경제통합 연구 : 북한경제의 장기발전전략" 한국개발연구원 2012
19 김교성, "기본소득의 이상적 모형과 이행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289-315, 2017
20 신우철, "건국강령(1941. 10. 28) 연구‘조소앙 헌법사상’의 헌법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중앙법학회 10 (10): 63-98, 2008
21 Phillipe Van Parijs,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Harvard University Press
22 통계청, "2016 북한의 주요통계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