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남북한 통일과 최저생활보장 시론(試論) -초기의 법적 문제를 중심으로- = Unification of Korea and Guarantee of Minimum Livelihood - Focusing on legal issues in the early stag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0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ue reunification of Korea would not be a territorial integration, but a social integration. Guaranteeing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especially minimum livelihood is substantial grounds for such social integration. Considering the social disruption and the sudden financial burden, separat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s for a limited period might be necessary until the income gap between the two regions has been resolved to some degree. So far, applying the existing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with some modifications to the north has been mainly considered as a way to handle the guarantee of a minimum livelihood in the region, but this measure would be basically founded on a system to test people’s eligibility, which might delay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itself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Considering the pre-requisite administrative and procedural issu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public assistance system, the need for crucial social stabilization measures at the beginning of unif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gration without the stigma of public suppor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a basic income in the north, at least for a limited time in the early stage in order to rapidly ensure a minimum living. In this case, the funding for this basic income would be the most challenging issue. The Alaskan model that provides basic income through funds derived from natural resources c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solution. Moreo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income in the north would be justified as a constitutional affirmative action to protect people in a socially and economically weaker position and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번역하기

      The true reunification of Korea would not be a territorial integration, but a social integration. Guaranteeing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especially minimum livelihood is substantial grounds for such social integration. Considering the social disru...

      The true reunification of Korea would not be a territorial integration, but a social integration. Guaranteeing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especially minimum livelihood is substantial grounds for such social integration. Considering the social disruption and the sudden financial burden, separat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s for a limited period might be necessary until the income gap between the two regions has been resolved to some degree. So far, applying the existing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with some modifications to the north has been mainly considered as a way to handle the guarantee of a minimum livelihood in the region, but this measure would be basically founded on a system to test people’s eligibility, which might delay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itself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Considering the pre-requisite administrative and procedural issu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public assistance system, the need for crucial social stabilization measures at the beginning of unif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gration without the stigma of public suppor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a basic income in the north, at least for a limited time in the early stage in order to rapidly ensure a minimum living. In this case, the funding for this basic income would be the most challenging issue. The Alaskan model that provides basic income through funds derived from natural resources c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solution. Moreo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income in the north would be justified as a constitutional affirmative action to protect people in a socially and economically weaker position and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남북한 통일의 진정한 실현은 영토적 통합이 아니라 남북한 주민 모두가 인간으로 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받고 행복추구권을 보장받는 사회통합에 있을 것이며, 최 저생활보장은 이러한 사회통합의 실질적 기반이 된다. 종래 통일 이후 초래될 수 있는 사회적 혼란과 급격한 재정 부담 문제를 고려하여 남북한 간 소득격차가 어느 정도 해소될 때까지는 한시적으로 사회보장제도를 분리 운영하는 방안이 모색되어 왔 고, 구체적으로 최저생활보장과 관련하여서는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준용하 는 방안이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기본적으로 자산조사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상당기간 공공부조제도 자체의 시행이 유예될 수 있다. 남한의 공공부조법제를 북한 지역에 시행하고자 할 때 선결적으로 요구되는 자산조 사를 비롯한 행정적 절차 문제, 통일 초기의 획기적인 사회안정화 조치의 필요성, 그리고 무엇보다 낙인 없는 사회통합의 중요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사각지대 없는 신속한 최저생활보장을 위해 적어도 초기에 한시적으로 북한지역 내 기본소득 시행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무엇보다 기본소득에 소요되는 재원이 문제될 것인 데, 천연자원에서 나오는 이익으로 기금을 만들어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알래스카 모델을 참고하여 북한의 지하자원 개발을 통한 수익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북한지역 내 기본소득제 시행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사 회통합을 증진하는 적극적 복지정책으로서 그 헌법적 정당성도 인정될 수 있을 것 이다.
      번역하기

      남북한 통일의 진정한 실현은 영토적 통합이 아니라 남북한 주민 모두가 인간으로 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받고 행복추구권을 보장받는 사회통합에 있을 것이며, 최 저생활보장은 이러한 ...

      남북한 통일의 진정한 실현은 영토적 통합이 아니라 남북한 주민 모두가 인간으로 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받고 행복추구권을 보장받는 사회통합에 있을 것이며, 최 저생활보장은 이러한 사회통합의 실질적 기반이 된다. 종래 통일 이후 초래될 수 있는 사회적 혼란과 급격한 재정 부담 문제를 고려하여 남북한 간 소득격차가 어느 정도 해소될 때까지는 한시적으로 사회보장제도를 분리 운영하는 방안이 모색되어 왔 고, 구체적으로 최저생활보장과 관련하여서는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준용하 는 방안이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기본적으로 자산조사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상당기간 공공부조제도 자체의 시행이 유예될 수 있다. 남한의 공공부조법제를 북한 지역에 시행하고자 할 때 선결적으로 요구되는 자산조 사를 비롯한 행정적 절차 문제, 통일 초기의 획기적인 사회안정화 조치의 필요성, 그리고 무엇보다 낙인 없는 사회통합의 중요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사각지대 없는 신속한 최저생활보장을 위해 적어도 초기에 한시적으로 북한지역 내 기본소득 시행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무엇보다 기본소득에 소요되는 재원이 문제될 것인 데, 천연자원에서 나오는 이익으로 기금을 만들어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알래스카 모델을 참고하여 북한의 지하자원 개발을 통한 수익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북한지역 내 기본소득제 시행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사 회통합을 증진하는 적극적 복지정책으로서 그 헌법적 정당성도 인정될 수 있을 것 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한국헌법사문류" 박영사 2002

      2 이효원, "통일헌법의 이해" 박영사 2016

      3 장용철,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정책" 한국학술정보(주) 2012

      4 최준욱, "통일재원 조달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11

      5 민준규, "통일시나리오 논의의 틀 : 북한경제의 이행・발전 방식 및 남북한의 국가결합 유형을 중심으로" 법무부 (25) : 49-81, 2016

      6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7 연하청, "통일독일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교훈과 시사점 : 한반도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 운영방안 : 경제적 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9 이철수, "통일 이후 북한지역 사회보장제도 – 과도기 이중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0 김종수, "제헌헌법 사회보장이념의 재발견과 계승" 신조사 2 (2): 2013

      1 정종섭, "한국헌법사문류" 박영사 2002

      2 이효원, "통일헌법의 이해" 박영사 2016

      3 장용철,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정책" 한국학술정보(주) 2012

      4 최준욱, "통일재원 조달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11

      5 민준규, "통일시나리오 논의의 틀 : 북한경제의 이행・발전 방식 및 남북한의 국가결합 유형을 중심으로" 법무부 (25) : 49-81, 2016

      6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7 연하청, "통일독일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교훈과 시사점 : 한반도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15

      8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 운영방안 : 경제적 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9 이철수, "통일 이후 북한지역 사회보장제도 – 과도기 이중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0 김종수, "제헌헌법 사회보장이념의 재발견과 계승" 신조사 2 (2): 2013

      11 김복기, "위기의 상시화와 사회안전망으로서 사회보장법의 과제- 공공부조와 실업보험을 중심으로 본 사회보장법 형성과정과 기본원칙 -" 법학연구소 58 (58): 193-221, 2017

      12 "연합뉴스"

      13 최규환, "사회보장 관점에서 본 통일 - 통일 이후 사회보장 문제 -" 안암법학회 (46) : 425-489, 2015

      14 김유동, "북한의 광물자원개발과 남북간 자원협력방안"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8 (38): 197-206, 2005

      15 전광석, "독일통일의 법적 조명" 박영사 1994

      16 "남북한 주요경제지표 비교" 한국은행

      17 이호근, "남북한 사회통합 - 노동시장과 사회적 안전망 관련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동북아법연구소 10 (10): 217-240, 2017

      18 김두얼, "남북한 경제통합 연구 : 북한경제의 장기발전전략" 한국개발연구원 2012

      19 김교성, "기본소득의 이상적 모형과 이행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289-315, 2017

      20 신우철, "건국강령(1941. 10. 28) 연구‘조소앙 헌법사상’의 헌법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중앙법학회 10 (10): 63-98, 2008

      21 Phillipe Van Parijs,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Harvard University Press

      22 통계청, "2016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