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8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의 후속 연구이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에 대한 고찰은 당대 지식인의 변동과 사상계의 동향을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새로운 예술과 문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한국유학생들의 실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잡지의 ‘창간사’와 ‘발간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창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을 드러내는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재일본 한국유학생의 사상과 시대적 인식을 응축해 놓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총 8종의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의 후속 연구이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의 후속 연구이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에 대한 고찰은 당대 지식인의 변동과 사상계의 동향을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새로운 예술과 문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한국유학생들의 실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잡지의 ‘창간사’와 ‘발간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창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을 드러내는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재일본 한국유학생의 사상과 시대적 인식을 응축해 놓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총 8종의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n "Korean students magazines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which is peculiar external situation.
      The other reason,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at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study,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and the trend of intellec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create our new culture and arts with accepting foreign’s.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gure out the results of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which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overcome their reality. Those is self-establishment, awareness of time, willingness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and modern recognition, etc.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ing more on ‘publication’ of the magazine. With publication, we can measure the whole direction of the purpose or intention of issuing magazine. This is the compressed data which represents the Korean students’ ideology and awareness of the er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n "Korean students magazines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n "Korean students magazines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which is peculiar external situation.
      The other reason,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at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study,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and the trend of intellec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create our new culture and arts with accepting foreign’s.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gure out the results of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which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overcome their reality. Those is self-establishment, awareness of time, willingness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and modern recognition, etc.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ing more on ‘publication’ of the magazine. With publication, we can measure the whole direction of the purpose or intention of issuing magazine. This is the compressed data which represents the Korean students’ ideology and awareness of the er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재일본 한국유학생 발간 잡지
      • 2. ‘창간사 및 발간사’ 해제
      • 3. 창간사 및 발간사를 통해 본 대표적 키워드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재일본 한국유학생 발간 잡지
      • 2. ‘창간사 및 발간사’ 해제
      • 3. 창간사 및 발간사를 통해 본 대표적 키워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3" 현암사 2004

      2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2" 현암사 2004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1" 현암사 2004

      4 최동호, "한국 근현대 학교 간행물 연구 : 원본 서지 정보 및 목차 자료(1895-1947) I·II" 서정시학 2009

      5 "태극학보, 창간호"

      6 "친목회회보, 창간호"

      7 김성학, "일제시대 해외유학생 집단의 교육연구활동과 서구교육학 도입" 한국교육학회 34 : 1996

      8 "동인학보, 창간호"

      9 홍성미, "동경미술학교 조선인 유학생 연구 : 1909년∼1945년 서양화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10 "대한흥학회, 창간호"

      1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3" 현암사 2004

      2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2" 현암사 2004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1" 현암사 2004

      4 최동호, "한국 근현대 학교 간행물 연구 : 원본 서지 정보 및 목차 자료(1895-1947) I·II" 서정시학 2009

      5 "태극학보, 창간호"

      6 "친목회회보, 창간호"

      7 김성학, "일제시대 해외유학생 집단의 교육연구활동과 서구교육학 도입" 한국교육학회 34 : 1996

      8 "동인학보, 창간호"

      9 홍성미, "동경미술학교 조선인 유학생 연구 : 1909년∼1945년 서양화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10 "대한흥학회, 창간호"

      11 "대한학회월보, 창간호"

      12 "대한유학생회학보, 창간호"

      13 "낙동친목회학보, 창간호"

      14 "공수학보, 창간호"

      15 정종현, "京都의 조선유학생 잡지 연구 : 『學友』, 『學潮』, 『京都帝國大學朝鮮人(留)學生同窓會報』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59) : 467-514, 2013

      16 서은경, "1910년대 유학생 잡지와 근대소설의 전개과정 : 『학지광』·『여자계』·『삼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