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은 기술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접점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현상과 주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회과학의 주요 영역을 사회, 경제, 문화로 크게 구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7501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은 기술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접점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현상과 주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회과학의 주요 영역을 사회, 경제, 문화로 크게 구분하...
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은 기술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접점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현상과 주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회과학의 주요 영역을 사회, 경제, 문화로 크게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구분이 사회과학의 모든 분야를 포괄할 수는 없지만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 기술에 대한 사회의 반응과 기술로 인한 경제 및 문화변동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기에 포괄 내용의 선정에 있어 분류학적 구분 이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은 기술과 사회, 기술과 경제, 기술과 문화 세 영역으로 구성하여 각 영역의 주요 연구와 실례를 중심으로 개념과 용어를 담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은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연구소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기술과 사회과학 세부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할 외부자문단의 지원을 받아 편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연구소 산하에『기술과 사회 백과사전』편찬위원회 (Editorial Board)를 두고 편찬위원회 산하에 집필위원회(Contributors)와 DB를 구축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한다.
『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위해 구성될 외부자문단은 기술과 사회의 각 항목(기술과 경제, 기술과 사회, 기술과 문화)과 관련해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를 위촉하도록 한다. 집필위원회의 대학과 연구소의 관련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 성과물을 기준으로 예비 리스트를 선정하고, 용어가 최종적으로 선정되면 각 용어에 가장 적합한 집필위원을 선정하여 내용을 제작하도록 한다.
백과사전편찬을 위한 목차와 용어의 선정은 기초자료조사를 토대로 집필위원회에서 1차 예비용어리스트를 선정하고 외부 자문단과 편집위원회 회의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거쳐 최종용어를 선정한다. 예비 용어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는 해외 유사 사전류의 엄밀한 조사와 기술과 사회과학 관련된 SSCI, SCI(E)급 저널의 검색, 국내 기술과 사회과학 관련 교과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작성하도록 한다.
기술과 사회 백과사전은 DB구축에 있어서는 기존의 지식정보관련 DB의 한계점들을 극복해서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지식관련 DB라 할 수 있는 위키피디아(Wikipedia)의 경우, 검색이 간편하며, 개방형 시스템인 Open Innovation 플랫폼으로 대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다중의 참여로 확인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으며 전문분야의 경우 내용이 만들어지지 않는 점들을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기초 학문자료센터의 용어검색 데이터베이스는 용어들을 체계적, 위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용어에 간략한 설명을 제공하고, 연구과제와 연구성과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서 연구자들이 손쉽게 심화된 관련내용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지만 용어의 정의에 제시된 내용이 너무나 기초적이고 단편적인데 반해 제시된 연구 성과물은 주제가 매우 세부적이며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어 관련분야의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의 경우 실질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관련분야의 신진연구자, 학제 간 연구자,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인등이 기초적인 내용부터 심화된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백과사전 기획 초기단계부터 DB설계 전문가와 내용을 공유하고 설계하고 서지로 작성되는 사전류와 차별화 될 수 있도록 관련 이미지 및 동영상, 관련 기사 등을 하이퍼링크 하여 내용을 보다 풍부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부 개념이 어떠한 맥락에서 도출되었는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목차와 하위 용어 간의 개념도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