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띄어쓰기의 실제 = The Reality of Ttui-eosseu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87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pacing word it researched the fact that it is general. Among those most the fact that it will undergo a confusion. When it summarizes a conclusion, lower part and it is same.
      First, when a particle stands alone, a particle and a particle with supporting function coming together means no spacing words between.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particle comes in variety such as a formality particle, a connecting particle and a supporting particle and brush over grammar about meaning and form. The bound noun cannot be a independence and it cannot be used with that oneself with different end the life cider which is used together.
      Second, the bound noun modify a modifier form of predicate it writting leaving space. Third, the unit noun writting leaving space.
      Third, The enumerating wodrs writting leaving space. 'gyeom, naeji, deung, deungji' writting leaving space.
      Fourth, ‘geu, ttae, gos, jom, deo, geos, i, sae’ writting leaving space.
      Fifth, the different use of a declinable word should be fully grasped. A declinable word can be written without space in line with other words. In other words, supporting declinable words following ‘ah/er/yer’ and dependent nouns meaning possibility connected with supporting declinable words meaning wishful minds can be written with/without space, which we must realize.
      Additionally, even when affixing A word with B word is permitted, the exception is that supporting connecting ending such as ‘gae, kou, ji’ requires the separation of basic declinable words and supporting ones. proper nouns can be applied without space under the principle of article I clause It shows that every word should be employed with space between words except a few cases. Conjugated adjectives, affixes and compound words which fall into the exception clause show similar appearances.(Cheong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research spacing word it researched the fact that it is general. Among those most the fact that it will undergo a confusion. When it summarizes a conclusion, lower part and it is same. First, when a particle stands alone, a particle and a particl...

      This research spacing word it researched the fact that it is general. Among those most the fact that it will undergo a confusion. When it summarizes a conclusion, lower part and it is same.
      First, when a particle stands alone, a particle and a particle with supporting function coming together means no spacing words between.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particle comes in variety such as a formality particle, a connecting particle and a supporting particle and brush over grammar about meaning and form. The bound noun cannot be a independence and it cannot be used with that oneself with different end the life cider which is used together.
      Second, the bound noun modify a modifier form of predicate it writting leaving space. Third, the unit noun writting leaving space.
      Third, The enumerating wodrs writting leaving space. 'gyeom, naeji, deung, deungji' writting leaving space.
      Fourth, ‘geu, ttae, gos, jom, deo, geos, i, sae’ writting leaving space.
      Fifth, the different use of a declinable word should be fully grasped. A declinable word can be written without space in line with other words. In other words, supporting declinable words following ‘ah/er/yer’ and dependent nouns meaning possibility connected with supporting declinable words meaning wishful minds can be written with/without space, which we must realize.
      Additionally, even when affixing A word with B word is permitted, the exception is that supporting connecting ending such as ‘gae, kou, ji’ requires the separation of basic declinable words and supporting ones. proper nouns can be applied without space under the principle of article I clause It shows that every word should be employed with space between words except a few cases. Conjugated adjectives, affixes and compound words which fall into the exception clause show similar appearances.(Cheong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통한 띄어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고구하였다. 그중에서 가장 혼란을 겪고 있는 것들을 뽑아서 논의하였다.
      첫째, 조사가 격조사 단독으로 쓰일 경우에는 혼란이 그리 많지 않으나, 조사와 보조사가 결합하는 경우는 조사와 보조사를 붙여 써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의미와 형태에 대한 문법적 지식을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둘째, 의존 명사란 자립성이 없어 그 자체로는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이다. 또한,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써야 하지만 숫자와 어울려 쓰는 것은 허용한다. 셋째, 두 말을 이어주는 ‘겸, 내지’, 열거하는 낱말 ‘등, 등지’ 등은 띄어 써야 한다. 넷째, 단음절어 연속으로 이어질 때의 ‘그, 때, 곳, 좀, 더, 것, 이, 새’는 띄어 써야 하지만 허용하는 것도 있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다섯째, 보조 용언의 문제는 붙여 쓰는 것과 띄어 쓰는 것이 허용되는 환경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아/어/여’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이나 ‘듯하다, 만하다, 법하다, 성싶다…….’와 같이 ‘의존 명사에 ‘하다/싶다’의 보조 용언이 붙어 띄어 쓰는 경우와 붙여 쓰는 것이 모두 허용되는 경우의 환경에 대한 명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 또한 붙여 쓰기가 허용된 것이라도 ‘-아/-어’를 제외한 보조적 연결 어미 ‘-게’, ‘-고’, ‘-지’가 연결될 경우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붙여 쓸 수 없다는 문법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띄어쓰기에 대한 어려움을 덜 수 있지만, 그러한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지만, 성과 이름을 분명히 구분할 때는 띄어 쓸 수 있다.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지만 허용을 한다. 일곱째, 전문 용어의 경우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는 규정에 의해 띄어 쓰거나 붙여 쓰는 경우가 허용 된다.
      여덟째, 관형사와 접두사에 대해서는 형태가 비슷하여 혼란을 겪는다. 관형사와 접두사의 경우 띄어 쓰는 경우와 붙여 쓰는 경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용법과 의미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학생들은 국어사전을 많이 활용하여 문법단위들에 대한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통한 띄어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고구하였다. 그중에서 가장 혼란을 겪고 있는 것들을 뽑아서 논의하였다. 첫째, 조사가 격조사 단독으로 쓰일 경우에...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통한 띄어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고구하였다. 그중에서 가장 혼란을 겪고 있는 것들을 뽑아서 논의하였다.
      첫째, 조사가 격조사 단독으로 쓰일 경우에는 혼란이 그리 많지 않으나, 조사와 보조사가 결합하는 경우는 조사와 보조사를 붙여 써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의미와 형태에 대한 문법적 지식을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둘째, 의존 명사란 자립성이 없어 그 자체로는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이다. 또한,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써야 하지만 숫자와 어울려 쓰는 것은 허용한다. 셋째, 두 말을 이어주는 ‘겸, 내지’, 열거하는 낱말 ‘등, 등지’ 등은 띄어 써야 한다. 넷째, 단음절어 연속으로 이어질 때의 ‘그, 때, 곳, 좀, 더, 것, 이, 새’는 띄어 써야 하지만 허용하는 것도 있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다섯째, 보조 용언의 문제는 붙여 쓰는 것과 띄어 쓰는 것이 허용되는 환경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아/어/여’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이나 ‘듯하다, 만하다, 법하다, 성싶다…….’와 같이 ‘의존 명사에 ‘하다/싶다’의 보조 용언이 붙어 띄어 쓰는 경우와 붙여 쓰는 것이 모두 허용되는 경우의 환경에 대한 명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 또한 붙여 쓰기가 허용된 것이라도 ‘-아/-어’를 제외한 보조적 연결 어미 ‘-게’, ‘-고’, ‘-지’가 연결될 경우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붙여 쓸 수 없다는 문법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띄어쓰기에 대한 어려움을 덜 수 있지만, 그러한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지만, 성과 이름을 분명히 구분할 때는 띄어 쓸 수 있다.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지만 허용을 한다. 일곱째, 전문 용어의 경우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는 규정에 의해 띄어 쓰거나 붙여 쓰는 경우가 허용 된다.
      여덟째, 관형사와 접두사에 대해서는 형태가 비슷하여 혼란을 겪는다. 관형사와 접두사의 경우 띄어 쓰는 경우와 붙여 쓰는 경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용법과 의미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학생들은 국어사전을 많이 활용하여 문법단위들에 대한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승, "한글 맞춤법의 해설" 동국대학교 출판사 1994

      2 기주연, "한글 맞춤법 안내" 도서출판 박이정 2001

      3 최기호, "한글 맞춤법 새 길라잡이" 출판회사 토담 1994

      4 황경수,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학" 도서출판 청운 2009

      5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4

      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4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이 한, "표준국어 대사전에 따른 띄어쓰기․맞춤법" 초록배 매직스 2000

      9 서정욱, "수정․증보판 국어 정서법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문창사 1996

      10 조영희, "새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의 이론과 실제" 신아출판사 1988

      1 이희승, "한글 맞춤법의 해설" 동국대학교 출판사 1994

      2 기주연, "한글 맞춤법 안내" 도서출판 박이정 2001

      3 최기호, "한글 맞춤법 새 길라잡이" 출판회사 토담 1994

      4 황경수,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학" 도서출판 청운 2009

      5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4

      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4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이 한, "표준국어 대사전에 따른 띄어쓰기․맞춤법" 초록배 매직스 2000

      9 서정욱, "수정․증보판 국어 정서법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문창사 1996

      10 조영희, "새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의 이론과 실제" 신아출판사 1988

      11 국립국어원, "띄어쓰기의 이해" 2000

      12 양명희, "띄어쓰기의 원리와 현실" (25) : 2000

      13 박경래,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박이정 2004

      14 강희숙, "국어 정서법의 이해" 역락 2003

      15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16 김봉모, "국어 정서법" 세종출판사 1993

      17 임지룡,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3

      18 문교부, "국어 어문 규정집"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8

      19 손세모돌, "국어 보조용언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3

      20 호광수, "국어 보조용언 구성 연구" 역락 2003

      21 이은정, "개정한 한글 맞춤법․표준어 해설" 대제각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