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만 3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幼兒)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일상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은유 표현들의 의미적 특징과 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2711
-
2007년
Korean
은유 ; 신체화 ; 체험주의 ; 융합이론 ; 분화 ; 이미지 도식 ; 인지능력 ; 유추 ; 이중 은유 ; 은유적 사상 ; 투사 ; 게슈탈트 구조 ; 공간개념 ; 은유 습득 ; 의미 확장 ; 개념화 ; 범주화 ; 종단연구 ; 횡단연구 ; 질적연구 ; 양적연구 ; 통합연구 ; 통제적 관찰법 ; 사전어휘지식 ; 신체적 경험 ; 감각적 경험 ; 감정 ; 학제적 ; 동기화 ; 근육운동이미지 도식 ; 공감각 ; 그림어휘력검사 ; 언어능력진단검사 ; 표준어휘력검사도구 ; 유사성 ; 지각적 경험 ; 위계적 차원 ; 관계은유 ; 속성은유 ; metaphor ; embodiment ; experientialism ; theory of conflation ; differentiation ; image schema ; cognitive ability ; anology ; double metaphor ; metaphorical mapping ; projection ; gestalt structure ; spatial concept ; metaphor acquisition ; meaning extension ; conceptualization ; categorization ; longitudinal study ; Cross - Sectional Study ; Qualitative Research ; pre-vocabulary knowledge ; emotion ; picture description method ; MCDI-K ; ITPA ; GEM ; kinesthetic image schematic structure ; simirality ; synaethesia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만 3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幼兒)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일상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은유 표현들의 의미적 특징과 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만 3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幼兒)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일상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은유 표현들의 의미적 특징과 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한 유아들의 은유 표현에 대한 이해와 생산의 과정이 발달 초기의 신체적·감각적 경험과 밀접한 상관성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조사 단계에 따라 세 가지 세부적인 주제를 설정하였다. ■ 1차 조사 : 유아의 은유 이해도 측정을 위한 은유 목록화 연구 / ■ 2차 조사 : 유아 은유 표현의 발달 및 습득 과정 연구 / ■ 3차 조사 : 유아의 은유 이해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러한 조사 단계에 따른 연구 내용 개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은유 이해도 측정을 위한 은유 이해 과제 목록 : 유아들의 은유 이해도를 측정하기 유아용 동화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첫째, 각 은유 유형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를 측정(연령별, 성별에 따른 발달적 경향)하고, 둘째, 은유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이미지적 요인, 개별적 경험 요인, 맥락적 요인 등) 하기 위하여 은유 이해 과제 목록을 개발하였다. 이 과제 목록은 총 27과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체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 측정-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구체적인 개념 대상인 경우 12개 과제와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 측정-목표영역이 추상적인 대상인 경우 15개 과제를 포함한다. (2) 유아 은유 이해 능력과 습득과 발달 양상 : 첫째, 모든 은유 유형에 대하여 연령에 따른 은유 능력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모든 연령에서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은유 이해도가 추상적인 대상에 대한 이해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의 발달은 3세부터 시작되지만, 상대적으로 4세와 5세와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즉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은 3세부터 나타났지만, 4세 때부터 두드러지게 향상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추상적 대상에 대한 은유 이해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계적 유사성에 의한 은유 이해 능력은 5세부터 비로소 유의미하게 발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은유 이해 능력은 3세와 4세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유의미하지도 않지만, 5세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감정개념을 포함하는 개념적 은유에 대한 이해 능력은 비로소 5세부터 점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4세와 5세가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과 언어능력은 매우 긴밀한 상관성을 맺고 있는데, 은유 유형에 대한 이해 능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이해 언어 능력과 표현 언어 능력 사이의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표현 언어 능력 보다는 이해 언어 능력과의 상관성이 더 긴밀하게 나타났다. (3) 유아의 신체적 경험에 따른 이미지 도식의 양상과 은유적 확장 : 사물 개념의 은유적 확장-유아의 초기 은유적 표현의 양상은 주로 구체적인 사물의 개념적 속성을 통한 형태지각적 특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은유가 많다. 이러한 추론적 능력이 언어 형태로 직접 나타나는 시기는 명사 습득 시기를 거쳐 그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습득 시기와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형용사를 습득하게 될 무렵, 비로소 대상 사이의 관련된 속성을 연결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인지능력이 발달되는 것이다. 은유 표현이 서로 다른 두 개념들 사이의 연결을 통해 성립된다고 볼 때, 속성 간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은유적 표현은 유아의 언어 습득 과정에 있어서 형용사 습득의 시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공간 개념의 은유적 확장-공간개념을 나타내는 위치어의 습득은 전체 습득 어휘 가운데에서 나타나는 순서가 밖(53.6%)→앞(46.3%)→위(45.5%)→뒤(44.0%)→안(43.3%)→밑(36.8%)→옆(35.3%)→아래(35.1%)로 나타난다. 이는 신체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공간개념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미 확립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의 의문사의 습득 순서가 ‘무엇→어디→왜’의 일정한 순서로 습득된다는 사실(장유경, 2004: 102)로 미루어 볼 때, 유아들은 일차적으로 사물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고, 이차적으로 그 사물의 위치나 공간적 경험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공간에 대한 경험은 유아들의 은유표현에 있어서 사물에 대한 개념과 융합될 때 더 생산적으로 나타난다. 감정 개념의 은유적 확장-대체로 유아의 감정은 성인의 그것만큼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사랑’이나 ‘화’ 등과 같은 감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은유적 표현이 나타난다. (예) F11858 : 아빠 엄마 사랑에 빠졌나봐요.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과제의 수행 1.1. 연구 목적에 따른 주제의 세분화 1.2. 세부 연구 일정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선정 2.2. 1차 문헌연구 조사 방법 2.3. 2차 유아 자유 대화 말뭉치...
1. 연구 과제의 수행
1.1. 연구 목적에 따른 주제의 세분화
1.2. 세부 연구 일정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선정
2.2. 1차 문헌연구 조사 방법
2.3. 2차 유아 자유 대화 말뭉치 구축 방법
2.4. 3차 심층 관찰 및 실험 조사 방법
3. 구축된 연구 자료
3.1. 유아 대화 말뭉치(입말) 전사 자료
3.2. 심층 관찰 및 실험 검사 피드백 자료
4. 연구 결과 및 성과
4.1. 동화책에 나타난 유아 은유 표현의 특징
4.2. 유아의 은유 이해도와 은유 능력의 발달적 양상
4.3. 유아 은유 이해 능력과 언어능력과의 상관성
4.4. 유아 은유 이해 능력의 인지능력과의 상관성
4.5. 유아 은유 표현의 특징과 발달적 양상
5.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