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색성장기업의 기업가치평가 사례연구; 미리넷솔라와 GS퓨얼셀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57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자원남용 둥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며 동시에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녹색성장에 대한 논의가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녹색성장산업을 새...

      최근 들어 자원남용 둥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며 동시에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녹색성장에 대한 논의가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녹색성장산업을 새로운 부가가치 산업으로 판단하여 녹색성장 산업 관련 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녹색성장산업 관련 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들에 대한 정확한 가치평가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사례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녹색성장산업 관련 기업 중 대표적 비상장기업인 미리넷솔라와 GS퓨얼셀에 대한 세부적인 기업가치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녹색성장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가치평가에 있어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Ohlson (l995)의 잔여영업이익할인 모형을 이용하여 두 기업에 대한 기업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사례연구에서는 우선 잔여영업이익할인 모형을 소개하고 관련된 재무제표 분석기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녹색성장산업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추세를 서술하고 미리넷솔라와 GS퓨얼셀의 기업가치평가를 위한 산업분석, 기업전략분석 및 재무제표 분석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기업의 미래 잔여영업이익을 예측함으로써 각각의 기업가치를 도출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최근 들어 주목 받고 있는 녹색성장산업 및 관련 기업에 대한 다양한 정성적 그리고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해당 산업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한편, 녹색성장산업의 정책적 지원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필수적인 기업가치평가의 실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유용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이가 자본시장 참여자 및 정책당국 둥 관련 실무자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a case analysis about equity valuation of green growth industry in Korea. Green growth is a way to synergize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nternationally it is highlighted as a potential developing industry f...

      This study deals with a case analysis about equity valuation of green growth industry in Korea. Green growth is a way to synergize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nternationally it is highlighted as a potential developing industry for new era. In recent years, Korean government also has an attention to green growth and begin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reen growth. Many new polices about green growth are announced and many new firms in green growth industry are established. Therefore, understanding of green growth is very essential for adapting to the new surroundings in this time. For your understanding of green growth, we provide the definition and trend in Korea of green growth. Further, we suggest practical examples of Millinet Solar and GS fuelcell. Both firms are currently existing firms in Korean green growth industry. We will introduce their market and firm circumstance and eventually valuate their firm-value using the Residual Operating Income (ReOI) valuation model. Preferentially, we begin to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OI valuation model which is derived from Ohlson (1995) and its implemental framework before presenting about green growth because this prior explanation about the valuation model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practical firm examples later effectively. Basically, ReOI valuation model focuses on operating income but ignores the effect of financial activity since residual income is created by operating activity. We will explain how to assort operating activity and financial activity from balance sheet and income statement for reformulating financial statements. After the explanation of the valuation model, we provide definition of green growth, encouraging green growth policies in Korea, market and firm analysis, and eventually valuate the value of two existing green growth firms using ReOI valuation model. Although there are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papers regarding equity valuation, there is no specific case analysis report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ReOI valuation model for Korean green growth companies. This case study aims to fill this void in the academic literature. This case study may contribute to both industry and academic communities by describing how to implement theoretical valuation model in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e, C, "What is The Intrinsic Value of The Dow" 54 : 1693-1741, 1999

      2 Easton, P, "Using Forecasts of Earnings to Simultaneously Estimate Growth and The Rate of Return on Equity Investment" 40 : 657-676, 2002

      3 Penman, S,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McGraw-Hill 2010

      4 Liu, J, "Equity Valuation Using Multiples" 40 : 135-172, 2002

      5 Ohlson. J,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11 : 661-687, 1995

      6 Chen, F, "Did Adoption of Forward-looking Valuation Methods Improve Valuation Accuracy in Shareholder Litigation" 22 : 573-560, 2007

      7 Dechow, P,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Residual Income Valuation Model" 26 : 1-34, 1999

      8 Penman, S, "A Comparison of Dividend, Cash Flow, and Earnings Approaches to Equity Valuation" 15 : 343-383, 1998

      1 Lee, C, "What is The Intrinsic Value of The Dow" 54 : 1693-1741, 1999

      2 Easton, P, "Using Forecasts of Earnings to Simultaneously Estimate Growth and The Rate of Return on Equity Investment" 40 : 657-676, 2002

      3 Penman, S,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McGraw-Hill 2010

      4 Liu, J, "Equity Valuation Using Multiples" 40 : 135-172, 2002

      5 Ohlson. J,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11 : 661-687, 1995

      6 Chen, F, "Did Adoption of Forward-looking Valuation Methods Improve Valuation Accuracy in Shareholder Litigation" 22 : 573-560, 2007

      7 Dechow, P,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Residual Income Valuation Model" 26 : 1-34, 1999

      8 Penman, S, "A Comparison of Dividend, Cash Flow, and Earnings Approaches to Equity Valuation" 15 : 343-38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연구 -> Korea Business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anagement Education Revie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영학회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후보
      2005-06-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경영학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 1.21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