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학생의 친사회성, 교사학생지지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지위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Peer Status in the Relationship among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8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친사회성 및 교사들의 학생지지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사이에 작용하는 또래지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클래스넷 4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박종효 외, 2017)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소재의 초등학생(4∼6학년) 2,485명과 고등학생(1∼3학년) 1.641명 총 4,126명을 분석하였다. 또래지명 방식을 활용하여 변인의 값들을 측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친사회성, 교사학생지지, 또래지위(인기와 선호), 방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성인 행동과 교사학생지지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또래지위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지위는 친사회성 및 교사학생지지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친사회성과 교사지지는 또래지위를 향상시키며, 높아진 또래지위는 학교 폭력 상황에서 피해 학생을 돕기 위한 방어행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친사회성 및 교사들의 학생지지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사이에 작용하는 또래지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친사회성 및 교사들의 학생지지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사이에 작용하는 또래지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클래스넷 4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박종효 외, 2017)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소재의 초등학생(4∼6학년) 2,485명과 고등학생(1∼3학년) 1.641명 총 4,126명을 분석하였다. 또래지명 방식을 활용하여 변인의 값들을 측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친사회성, 교사학생지지, 또래지위(인기와 선호), 방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성인 행동과 교사학생지지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또래지위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지위는 친사회성 및 교사학생지지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친사회성과 교사지지는 또래지위를 향상시키며, 높아진 또래지위는 학교 폭력 상황에서 피해 학생을 돕기 위한 방어행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status (i.e., popularity, social pre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ClassNet, a software program designed to track and analyze social networks in classroom peer groups (Park et al., 2017). A total of 4,126 students (2,4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641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all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Method in the current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social traits and teacher-student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bully defending behavior. Second, peer status had a direct effect on bully defending behavior. Third, peer status (popularity and social prefer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It implies that students who had a high level of prosocial traits and got support from their teacher possessed high status among peers, leading them to defend bully victim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status (i.e., popularity, social pre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in elementary and high s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status (i.e., popularity, social pre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ClassNet, a software program designed to track and analyze social networks in classroom peer groups (Park et al., 2017). A total of 4,126 students (2,4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641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all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Method in the current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social traits and teacher-student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bully defending behavior. Second, peer status had a direct effect on bully defending behavior. Third, peer status (popularity and social prefer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It implies that students who had a high level of prosocial traits and got support from their teacher possessed high status among peers, leading them to defend bully victim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원,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Ⅴ: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08, 2014

      2 손강숙,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17-348, 2015

      3 최지훈, "학교폭력과 주변인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6 (6): 275-297, 2017

      4 이인숙, "학교폭력 주변인 중 방어자의 특성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19-227, 2019

      5 박종효,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또래 연결망 구조의 조절효과" 교육연구소 18 (18): 25-49, 2017

      6 김동현,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1-24, 2012

      7 김진구,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과 교사 친밀성의 조절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07-231, 2015

      8 이아람,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경험이 가해염려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자기초점과 신체상염려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8 (28): 217-229, 2019

      9 유계숙,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63-89, 2013

      10 이승연,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우울의 구조적 관계: 고정신념의 조절효과" 284-284, 2018

      1 이종원,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Ⅴ: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08, 2014

      2 손강숙,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17-348, 2015

      3 최지훈, "학교폭력과 주변인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6 (6): 275-297, 2017

      4 이인숙, "학교폭력 주변인 중 방어자의 특성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19-227, 2019

      5 박종효,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또래 연결망 구조의 조절효과" 교육연구소 18 (18): 25-49, 2017

      6 김동현,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1-24, 2012

      7 김진구,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과 교사 친밀성의 조절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07-231, 2015

      8 이아람,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경험이 가해염려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자기초점과 신체상염려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8 (28): 217-229, 2019

      9 유계숙,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63-89, 2013

      10 이승연,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우울의 구조적 관계: 고정신념의 조절효과" 284-284, 2018

      11 정상호, "중학생의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27-45, 2016

      12 정제영,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19-143, 2013

      13 송지연, "자기보고와 또래지명 방식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의 측정 방법 비교 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377-394, 2015

      14 김혜금,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 관계와 교사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2 (52): 529-539, 2014

      15 박종효, "사회연결망분석에 기초한 웹 기반 클래스넷(ClassNet)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8 (48): 107-137, 2017

      16 김지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4 (34): 13-29, 2013

      17 최은영, "또래지위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학교참여의 매개효과와 학교급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33 (33): 341-369, 2019

      18 임선아,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학생들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자가 되는 경로에서 교사의 차단적 역할 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6 (16): 453-470, 2019

      19 안효영,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연구동향 및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95-117, 2014

      20 이주영,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지각된 위협 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친사회적 정서와 도움 의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1 김은아, "남녀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공감, 자기효능감, 학급규준에 대한 믿음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59-77, 2011

      22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0

      23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4 한하나, "괴롭힘 주변인의 행동과 감사, 공감, 학교소속감의 관계" 교육문제연구소 27 (27): 53-75, 2014

      25 서미정, "가해행동에 대한 태도 및 공감이 또래괴롭힘 방관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감독과 교사감독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52) : 139-161, 2015

      26 Chang, L., "Variable effects of children'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prosocial leadership as functions of teacher beliefs and behaviors" 74 (74): 535-548, 2003

      27 Cillessen, A. H., "Understanding popularity in the peer system" 14 (14): 102-105, 2005

      28 Garandeau, C. F., "The social status of aggressive students across contexts : The role of classroom status hierarchy, academic achievement, and grade" 47 (47): 1699-1710, 2011

      29 Gini, G., "The role of bystanders in students' perception of bullying and sense of safety" 46 (46): 617-638, 2008

      30 Batson, C. D.,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McGraw-Hill 282-315, 1998

      31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2 Gorman, A. H., "The attributes adolescents associate with peer popularity and teacher preference" 40 (40): 143-165, 2002

      33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34 Gest, S. D., "Teaching practices and elementary classroom peer ecologies" 32 (32): 288-296, 2011

      35 Gordon, W.,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ren's peer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behavior in late childhood" 20 (20): 536-561, 2011

      36 Pianta, R. C.,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33 (33): 444-458, 2004

      37 Parkhurst, J. T., "Sociometric popularity and peer-perceived popularity : Two distinct dimensions of peer status" 18 (18): 125-144, 1998

      38 Dijkstra, J. K., "Same-gender and cross-gender likeability : Associations with popularity and status enhancement : The TRAILS study" 30 (30): 773-802, 2010

      39 Olweus, D., "SUNY series, children's play in society. Children on playgrounds:Research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5-128, 1993

      40 Crick, N. R.,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66 (66): 710-722, 1995

      41 Nantel-Vivier A., "Prosocial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 A multi‐informant perspective with Canadian and Italian longitudinal studies" 50 (50): 590-598, 2009

      4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5

      43 Schwartz, D., "Popularity, social acceptance, and aggression in adolescent peer groups : Link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chool attendance" 42 (42): 1116-1127, 2006

      44 Logis, H. A., "Popularity as an organizing factor of preadolescent friendship networks : Beyond prosocial and aggressive behavior" 23 (23): 413-423, 2013

      45 Hughes, J. N., "Peer assessments of normative and individual teacher–student support predict social acceptance and engagement among low-achieving children" 43 (43): 447-463, 2006

      46 Pianta, R. C.,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No. 57. Beyond the parent: The role of other adults in children's lives" Jossey-Bass 61-80, 1992

      47 Hawkins, D.,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peer interventions in bullying" 10 : 512-527, 2001

      48 Babcock, B., "Limited nomination reliability using single‐and multiple‐item measures" 23 (23): 518-536, 2014

      49 Salmivalli, C., "KiVa koulu. Opettajan opas. Vuosiluokat 1-3. [KiVa. Teacher’s manual. Unit 1]"

      50 Hughes, J. N., "Further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the qualit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39 (39): 289-301, 2001

      51 Cillessen, A. H., "From censure to reinforcement :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aggression and social status" 75 : 147-163, 2004

      52 White, K. J., "Effects of teacher feedback on the reputations and peer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76 : 302-326, 2000

      53 Ahn, H. J., "Effects of classroom embedness and density on the social status of aggressive and victimized children" 30 (30): 76-101, 2010

      54 Ttofi, M. M.,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programs to reduce bullying : A systematic and meta-analytic review" 7 (7): 27-56, 2011

      55 Hughes, J. N., "Effect of peer nominations of teacher–student support at individual and classroom levels on social and academic outcomes" 52 (52): 309-322, 2014

      56 Juvonen, J., "Duke series in child development and public policy. Understanding peer influ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Guilford Press 225-244, 2008

      57 Caravita, S. C. S., "Distinct correlates of perceived popularity and social preference: Evidence from Finland and Italy"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11-13, 2010

      58 Cillessen, A. H.,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 popularity : A growth curve modelling analysis" 29 (29): 935-959, 2006

      59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60 Zhang, X., "Characteristics of likability, perceived popularity, and admiration in the early adolescent peer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54 (54): 1568-1581, 2018

      61 Hazler, R. J., "Bystanders : An overlooked factor in peer on peer abuse" 11 (11): 11-21, 1996

      62 Salmivalli, C., "Bullying as a group process :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22 (22): 1-15, 1996

      63 Engels, M. C., "Behavioral engagement, peer statu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 A longitudinal study on reciprocal influences" 45 (45): 1192-1207, 2016

      64 Pozzoli, T.,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 The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peer pressure" 38 (38): 815-827, 2010

      65 참고문헌교육부,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교육부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