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曆中日記(1735~1786)』를 통해 본 崔興遠의 자제교육 양상 = The aspects of Choi Heung-won(崔興遠)'s descendants education as seen through the 『YeokjungIlgi(曆中日記(1735-178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44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은 특정 시대 사회상의 일면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은 수기치인과 입신양명을 목적으로 하며, 훌륭한 학자의 배출과 과거 합격은 家格을 올리는 데 중요하게 작...

      교육은 특정 시대 사회상의 일면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은 수기치인과 입신양명을 목적으로 하며, 훌륭한 학자의 배출과 과거 합격은 家格을 올리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가정경영 가운데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당연하다. 집안의 어른이 자제들을 어떻게 교육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는 데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연구성과는 미흡하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일기자료이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대구 옻골에 거주했던 百弗庵崔興遠(1705~1786)이 1735년부터 1786년까지 기록한 『曆中日記』를 통해서 집안의 어른 최흥원이 자제들을 어떻게 교육시켰는지 교육대상, 교수자, 공부 장소, 소장 도서와 독서 목록 등의 주제로 살펴보았다.
      교육대상은 아우, 아들, 손자, 조카, 사촌 등이며, 교육대상에 따라 토론, 암기, 체벌 등 교육 방식이 달랐다. 최흥원이 자제들을 직접 가르쳤으며, 이들을 주변의 훌륭한 학자의 문하에 출입할 기회도 만들어주었다. 공부는 집에서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과거 준비를 비롯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 때는 팔공산 아래의 사찰을 이용했다. 1750년대 중반 이후에는 자제들을 위한 강학 공간인 北溪亭舍가 마련되어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최흥원은 영남 南人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했고 『소학』과 『대학』을 강조했지만, 西人의 저서, 『장자』, 불교 서적 등을 다양하게 섭렵했다. 이는 자제들의 지적 사유 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최흥원의 자제교육 방식 가운데는 보편적인 것도 있고 특수한 사례도 있을 것이다. 이는 더욱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explaining social aspects of a particular era. The study and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aimed at raising the self-discipline and social success, and the production of excellent scholars and pass the exa...

      Education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explaining social aspects of a particular era. The study and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aimed at raising the self-discipline and social success, and the production of excellent scholars and pass the examin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of the family level. It is natural that education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family management.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study and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to examine how adults in the family educated their children. However, research results on this are insufficient. Diary data can compensate for this.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how Choi Heung-won(崔興遠, 1705-1786), an adult in the family, educated his children through the 『YeokjungIlgi(曆中日記)』, recorded by Choi Heung-won, who lived in Daegu otgol village(옻골마을) in the 18th century, from 1735 to 1786.
      The subjects of education were brothers, sons, grandchildren, nephews, and cousin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such as discussion, memorization, and corporal punish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of education. Choi Heung-won taught his children directly and created an opportunity to learn them from great scholars around him. Studying was often done at home, but when I had to study intensively, including preparing in the past, I used temples under Palgongsan Mountain. After the mid-1750s, Bukgyejeongsa(北溪亭舍), a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was established to provide more systematic education. Choi Heung-won clarified his identity as a Yeongnam Namin(南人) and emphasized 『Sohak小學』 and 『Daehak大學』, but he studied various books of Seoin(西人), Jangja, and Buddhist books. This would have influenced the intellectual thinking of the children.
      Among Choi Heung-won's Descendants education methods, there will be universal and special cases. This will be confirmed through more diverse case stud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