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훈, "북한의 선군외교", 명인문화사, 서울:명인문화사, 2008
2 정일권, "『정일권회고록』", 광명출판사, 서울: 고려서적, 1996
3 김충영, "『군사 OR 이론과 응용』", 서울: 두남, 2010
4 김달중, "외교정책의 이론과 이해", 서울: 도서출판 오름, 1998
5 이명박, "「대통령의 시간 2008-2013」", 알에이치코리아, 서울:알에이치코리아, 2015
6 오원철, "『한국형 경제건설 제5권』", 서울: 기아경제연구소, 1996
7 김승조의, "우주항공기술강좌: http://bemil", chosun.com/nbrd/bbs/list.html?b_bbs_id=10153, null
8 홍용표,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1999
9 정하용, "단극 체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 정치 연구』 Volume 21, No. 1, 2012
10 김태우, "『미사일 안보와 미사일 주권』", 세종연구소, 성남: 세종연구소, 1999
1 서훈, "북한의 선군외교", 명인문화사, 서울:명인문화사, 2008
2 정일권, "『정일권회고록』", 광명출판사, 서울: 고려서적, 1996
3 김충영, "『군사 OR 이론과 응용』", 서울: 두남, 2010
4 김달중, "외교정책의 이론과 이해", 서울: 도서출판 오름, 1998
5 이명박, "「대통령의 시간 2008-2013」", 알에이치코리아, 서울:알에이치코리아, 2015
6 오원철, "『한국형 경제건설 제5권』", 서울: 기아경제연구소, 1996
7 김승조의, "우주항공기술강좌: http://bemil", chosun.com/nbrd/bbs/list.html?b_bbs_id=10153, null
8 홍용표,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1999
9 정하용, "단극 체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 정치 연구』 Volume 21, No. 1, 2012
10 김태우, "『미사일 안보와 미사일 주권』", 세종연구소, 성남: 세종연구소, 1999
11 조철호, "박정희 핵외교와 한미관계 변화",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0
12 홍성표, "‘한 미 미사일 지침 변경의 의미", ’ 『북한연구논평』통권 7호, 2012
13 구상회, "“무기체계 연구개발과 더불어 30년", 『국방과 기술』, 225-233호, 1998
14 김우상, "『신한국책략 Ⅱ: 동아시아 국제관계』", 경기: ㈜나남, 2007
15 전성훈, "“북한의 WMD 위협 평가와 우리의 대응,”", 『KRIS 정책연구 보고서』09-05, 2009
16 장준익,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과 한국의 안보,”",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軍史』제52호, 2004
17 고병성, 최성빈, 이호석, "“한국 방위산업의 40년 발전과정과 성과,”",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제26권 제1호 통권 제87호, 2010
18 김성배, "“국방과학기술의 중 장기 정책 발전방향,”", 한국국방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연구보고서』무06-2318, 2006
19 안영락, 전성현, "“한 미 적정 방위 분담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한국정 책학회보』제8권 제2호, 1999
20 홍규덕, "“한미동맹의 위기와 동맹관리역량의 평가.”",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국제관계연 구』9(1), 2004
21 박진선, "‘한 미 미사일 지침 개정’ 논의와 한국의 과제", 『군사세 계』통권 197호, 2012
22 이병구, "“‘한 미 미사일 지침 개정’과 한국의 안보,”", 『안보현안분석』 Volume 76, 2012
23 현인택, "『한국의 방위비: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위하여』", 한울, 서울: 도 서출판 한울, 1991
24 박창권, "“‘한 미 미사일지침 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동북아안보 정세분석』, 2012
25 유응조, "“‘한 미 미사일지침 개정’의 한계와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2012
26 현인택, "“한국의 대외안보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패턴 연구,”", 『KRIS 총서』, 1993
27 조성진, "‘2012년 10월 한 미 미사일 지침 개정의 효과, 제한점과 과 제", ’ 『군사세계』통권 203호, 2012
28 박준복, "『한국 미사일 40년의 신화: 자주국방 그리고 꿈을 이룬 사 람들』", 일조각, 서울: 일조각, 2011
29 임혁백, "“박정희에 대한 정치학적 평가: 리더십, 근대화, 유신, 그리고 몰락,”",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평화연구』제20권 제2호, 2012
30 최용환, "『북한의 대미 비대칭 억지 강제 전략: 핵과 미사일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31 신욱희, "“기회에서 교착상태로 : 데탕트 시기 한미관계와 한반도의 국제정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6집 제2호, 2005
32 김병교, 조태환, 안동만, "백곰, 도전과 승일의 기록: 대한민국 최초 의 지대지 미사일 개발 이야기", 서울: 플래닛미디어, 2016
33 하경근, "“미사일 주권과 MTCR 가입: 한 미 미사일 양해각서의 개정 과 우리의 입장”", 『군사세계』23호, 1997
34 이춘근, "“현안으로 떠오른 미사일 주권 회복: 한 미 미사일 양해각서 수정돼야 한다”", 『자유공론』379호, 1998
35 임수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 성외교(1989-2006)』",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6 김병륜, "“‘신미사일 지침’ 어떤 내용 담았나?: 강력한 대북억지력 발 판 확보했다,”", 『국방저널』통권 제467호, 2012
37 엄정식, "『카터 행정부 시기 대한무기이전 정책의 변용: 백곰 미사일 의 개발과 F-5E/F 공동생산의 합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8 이청수, "“‘한 미 우호’ ‘미 북 비우호’ 틀속, 워싱턴 지침: 북 테러지원 -핵 미사일 변수가 불안요인,”", 『자유공론』통권 418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