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기와 연루를 넘어서 : 한국의 미사일 개발과 한미동맹 딜레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88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osed to the primary threat of missile and nuclear attacks by North Korea, South Korea inevitably wants to develop missiles to ensure deterrence. However, the United States, as an ally, is concerned that this will spark an arms race in East Asia, and attempts to limit Korea’s missile development. Since the two nations have a different stance on missile development, the Korea-U.S. Alliance is caught in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s will to develop missiles, and the United States’ restriction on missile development. South Korea’s desire for missile development clearly reveals the different stance on security of both nations, and precipitates the alliance dilemma when it comes to the Korea-U.S. Alliance. This raises the question: Why do the two nations come to a compromise without a di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alleviation of the dilemma between Korea and the US that was triggered by South Korea’s determination to develop missiles, based on the missile that expresses the properties of the two countries and induce ‘sensitiv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it was initially brought on by the North Korea’s missile threat in connection to nuclear threats. The objective is divided into empirical analysis and theoretical analysis. Three empirical cases of empirical are given to analyze each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alleviation of the Korea-U.S. alliance per time period; the cases given in this study are ‘the Korea-U.S. Missil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he 1st Korea-U.S. Missile Guideline,’ and ‘the 2nd Amendment of Korea-U.S. Missile Guideline.’ As for the theoretical analysis, the three cases in the empirical analysis are translated into the view of ‘abandonment-entrapment’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alleviation of the Korea-U.S. dilemma caused by the will of South Korea to develop missiles.
      Hereupon, ‘process tracing’ will be conducted as the method of the investigation. An account of a particular case can be accompanied, and such process or outcome could be substituted with a theory to calculate the experimental outcome through ‘process tracing.’ ‘Documentary research’ based on empirical facts is required to conduct a ‘process tracing,’ and this dissertation puts its foundation on the ‘documentary research.’ The approach towards the first reference was prioritized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documentary research.’ An attempt to collect declassified government references was made to construct the content of this dissertation. Access to such references was difficult to gather in conducting this study, as they are mostly composed of classified government information. Thus, the first reference, along with the declassified government references, were fully utilized to fill such gap.
      To conclude, the ‘policy tradeoff between the alliance nations’ ac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ease the dilemma of the Korea-U.S. Alliance. The United States allowed limited development to relieve its ally, South Korea, from the fear of ‘abandonment.’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enthusiastically participates in ‘the denuclearizatio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o lower the possibility of ‘entrapment,’ as well as relieve the Korea-U.S. dilemma brought by South Korea’s will for missile development. Thus, a settlement is drawn for Korea-U.S. Missile Agreement.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alliance commitment,’ ‘national political influence’ act, and ‘international systematic influence’ act as intervening variables to heighten its power of explanation.
      번역하기

      Exposed to the primary threat of missile and nuclear attacks by North Korea, South Korea inevitably wants to develop missiles to ensure deterrence. However, the United States, as an ally, is concerned that this will spark an arms race in East Asia, an...

      Exposed to the primary threat of missile and nuclear attacks by North Korea, South Korea inevitably wants to develop missiles to ensure deterrence. However, the United States, as an ally, is concerned that this will spark an arms race in East Asia, and attempts to limit Korea’s missile development. Since the two nations have a different stance on missile development, the Korea-U.S. Alliance is caught in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s will to develop missiles, and the United States’ restriction on missile development. South Korea’s desire for missile development clearly reveals the different stance on security of both nations, and precipitates the alliance dilemma when it comes to the Korea-U.S. Alliance. This raises the question: Why do the two nations come to a compromise without a di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alleviation of the dilemma between Korea and the US that was triggered by South Korea’s determination to develop missiles, based on the missile that expresses the properties of the two countries and induce ‘sensitiv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it was initially brought on by the North Korea’s missile threat in connection to nuclear threats. The objective is divided into empirical analysis and theoretical analysis. Three empirical cases of empirical are given to analyze each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alleviation of the Korea-U.S. alliance per time period; the cases given in this study are ‘the Korea-U.S. Missil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he 1st Korea-U.S. Missile Guideline,’ and ‘the 2nd Amendment of Korea-U.S. Missile Guideline.’ As for the theoretical analysis, the three cases in the empirical analysis are translated into the view of ‘abandonment-entrapment’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alleviation of the Korea-U.S. dilemma caused by the will of South Korea to develop missiles.
      Hereupon, ‘process tracing’ will be conducted as the method of the investigation. An account of a particular case can be accompanied, and such process or outcome could be substituted with a theory to calculate the experimental outcome through ‘process tracing.’ ‘Documentary research’ based on empirical facts is required to conduct a ‘process tracing,’ and this dissertation puts its foundation on the ‘documentary research.’ The approach towards the first reference was prioritized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documentary research.’ An attempt to collect declassified government references was made to construct the content of this dissertation. Access to such references was difficult to gather in conducting this study, as they are mostly composed of classified government information. Thus, the first reference, along with the declassified government references, were fully utilized to fill such gap.
      To conclude, the ‘policy tradeoff between the alliance nations’ ac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ease the dilemma of the Korea-U.S. Alliance. The United States allowed limited development to relieve its ally, South Korea, from the fear of ‘abandonment.’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enthusiastically participates in ‘the denuclearizatio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o lower the possibility of ‘entrapment,’ as well as relieve the Korea-U.S. dilemma brought by South Korea’s will for missile development. Thus, a settlement is drawn for Korea-U.S. Missile Agreement.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alliance commitment,’ ‘national political influence’ act, and ‘international systematic influence’ act as intervening variables to heighten its power of expla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 1. 문제 제기 1
      • 2. 연구 목적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 1. 문제 제기 1
      • 2. 연구 목적 7
      • 제2절 기존 연구 검토와 한계 및 보완 11
      • 1. 기존 연구 검토와 한계 11
      • 2. 기존 연구 보완 23
      • 제3절 논문 주장과 연구 방법 31
      • 1. 논문 주장 31
      • 2. 연구 방법 36
      • 제2장 높은 단계의 ‘포기’와 ‘연루’: 1963년 12월-1979년 10월 40
      • 제1절 북한의 위협: 미사일 전진 배치와 드러나지 않은 핵 개발 단계 41
      • 1. 공세적 행태와 미사일 전진 배치 41
      • 2. 드러나지 않은 북한의 핵 개발 49
      • 제2절 ‘포기’와 ‘연루’의 두려움: 한미동맹 딜레마 형성 55
      • 1. 주한미군 철수와 한국의 미사일 개발 55
      • 2. 한국의 핵무기 개발 의혹과 미국의 미사일 개발 제한 62
      • 제3절 낮아진 ‘포기’와 ‘연루’: ‘한·미 미사일 양해각서’ 70
      • 1. 백곰 미사일 개발과 ‘한·미 미사일 양해각서’ 70
      • 2. 한국의 비핵화 표방과 핵무기 개발 포기 83
      • 3. 매개변수의 영향 89
      • 제4절 소결 96
      • 제3장 중간 단계의 ‘포기’와 ‘연루’: 1979년 10월-2001년 3월 98
      • 제1절 북한의 위협: 장거리 미사일의 등장과 핵 위기 조성 단계 99
      • 1. 미사일 자체 개발과 장거리 미사일의 등장 99
      • 2. 원자력 용량 확대와 핵 위기 조성 106
      • 제2절 ‘포기’와 ‘연루’의 두려움: 한미동맹 딜레마 형성 112
      • 1. ‘1차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과 MTCR 가입 논의 112
      • 2. 미사일 지침 개정에 대한 미국의 반대 118
      • 제3절 낮아진 ‘포기’와 ‘연루’: ‘1차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122
      • 1. 한국의 미사일 개발과 ‘1차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122
      • 2. 한국의 비핵화 정책 130
      • 3. 매개변수의 영향 134
      • 제4절 소결 142
      • 제4장 낮은 단계의 ‘포기’와 ‘연루’: 2001년 3월-2012년 10월 144
      • 제1절 북한의 위협: 장거리 미사일의 진화와 핵실험 단계 145
      • 1. 장거리 미사일의 주기적 시험 발사와 진화 145
      • 2.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연계한 핵실험 151
      • 제2절 ‘포기’와 ‘연루’의 두려움: 한미동맹 딜레마 형성 157
      • 1. ‘2차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논의 157
      • 2. 미사일 지침 개정에 대한 미국의 반대 160
      • 제3절 낮아진 ‘포기’와 ‘연루’: ‘2차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167
      • 1. 한국의 미사일 개발과 ‘2차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167
      • 2. 주도적인 한국의 비핵화 정책 173
      • 3. 매개변수의 영향 176
      • 제4절 소결 185
      • 제5장 결론 및 함의 187
      • 참고문헌 195
      • 부록 21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훈, "북한의 선군외교", 명인문화사, 서울:명인문화사, 2008

      2 정일권, "『정일권회고록』", 광명출판사, 서울: 고려서적, 1996

      3 김충영, "『군사 OR 이론과 응용』", 서울: 두남, 2010

      4 김달중, "외교정책의 이론과 이해", 서울: 도서출판 오름, 1998

      5 이명박, "「대통령의 시간 2008-2013」", 알에이치코리아, 서울:알에이치코리아, 2015

      6 오원철, "『한국형 경제건설 제5권』", 서울: 기아경제연구소, 1996

      7 김승조의, "우주항공기술강좌: http://bemil", chosun.com/nbrd/bbs/list.html?b_bbs_id=10153, null

      8 홍용표,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1999

      9 정하용, "단극 체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 정치 연구』 Volume 21, No. 1, 2012

      10 김태우, "『미사일 안보와 미사일 주권』", 세종연구소, 성남: 세종연구소, 1999

      1 서훈, "북한의 선군외교", 명인문화사, 서울:명인문화사, 2008

      2 정일권, "『정일권회고록』", 광명출판사, 서울: 고려서적, 1996

      3 김충영, "『군사 OR 이론과 응용』", 서울: 두남, 2010

      4 김달중, "외교정책의 이론과 이해", 서울: 도서출판 오름, 1998

      5 이명박, "「대통령의 시간 2008-2013」", 알에이치코리아, 서울:알에이치코리아, 2015

      6 오원철, "『한국형 경제건설 제5권』", 서울: 기아경제연구소, 1996

      7 김승조의, "우주항공기술강좌: http://bemil", chosun.com/nbrd/bbs/list.html?b_bbs_id=10153, null

      8 홍용표,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1999

      9 정하용, "단극 체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 정치 연구』 Volume 21, No. 1, 2012

      10 김태우, "『미사일 안보와 미사일 주권』", 세종연구소, 성남: 세종연구소, 1999

      11 조철호, "박정희 핵외교와 한미관계 변화",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0

      12 홍성표, "‘한 미 미사일 지침 변경의 의미", ’ 『북한연구논평』통권 7호, 2012

      13 구상회, "“무기체계 연구개발과 더불어 30년", 『국방과 기술』, 225-233호, 1998

      14 김우상, "『신한국책략 Ⅱ: 동아시아 국제관계』", 경기: ㈜나남, 2007

      15 전성훈, "“북한의 WMD 위협 평가와 우리의 대응,”", 『KRIS 정책연구 보고서』09-05, 2009

      16 장준익,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과 한국의 안보,”",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軍史』제52호, 2004

      17 고병성, 최성빈, 이호석, "“한국 방위산업의 40년 발전과정과 성과,”",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제26권 제1호 통권 제87호, 2010

      18 김성배, "“국방과학기술의 중 장기 정책 발전방향,”", 한국국방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연구보고서』무06-2318, 2006

      19 안영락, 전성현, "“한 미 적정 방위 분담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한국정 책학회보』제8권 제2호, 1999

      20 홍규덕, "“한미동맹의 위기와 동맹관리역량의 평가.”",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국제관계연 구』9(1), 2004

      21 박진선, "‘한 미 미사일 지침 개정’ 논의와 한국의 과제", 『군사세 계』통권 197호, 2012

      22 이병구, "“‘한 미 미사일 지침 개정’과 한국의 안보,”", 『안보현안분석』 Volume 76, 2012

      23 현인택, "『한국의 방위비: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위하여』", 한울, 서울: 도 서출판 한울, 1991

      24 박창권, "“‘한 미 미사일지침 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동북아안보 정세분석』, 2012

      25 유응조, "“‘한 미 미사일지침 개정’의 한계와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2012

      26 현인택, "“한국의 대외안보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패턴 연구,”", 『KRIS 총서』, 1993

      27 조성진, "‘2012년 10월 한 미 미사일 지침 개정의 효과, 제한점과 과 제", ’ 『군사세계』통권 203호, 2012

      28 박준복, "『한국 미사일 40년의 신화: 자주국방 그리고 꿈을 이룬 사 람들』", 일조각, 서울: 일조각, 2011

      29 임혁백, "“박정희에 대한 정치학적 평가: 리더십, 근대화, 유신, 그리고 몰락,”",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평화연구』제20권 제2호, 2012

      30 최용환, "『북한의 대미 비대칭 억지 강제 전략: 핵과 미사일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31 신욱희, "“기회에서 교착상태로 : 데탕트 시기 한미관계와 한반도의 국제정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6집 제2호, 2005

      32 김병교, 조태환, 안동만, "백곰, 도전과 승일의 기록: 대한민국 최초 의 지대지 미사일 개발 이야기", 서울: 플래닛미디어, 2016

      33 하경근, "“미사일 주권과 MTCR 가입: 한 미 미사일 양해각서의 개정 과 우리의 입장”", 『군사세계』23호, 1997

      34 이춘근, "“현안으로 떠오른 미사일 주권 회복: 한 미 미사일 양해각서 수정돼야 한다”", 『자유공론』379호, 1998

      35 임수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 성외교(1989-2006)』",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6 김병륜, "“‘신미사일 지침’ 어떤 내용 담았나?: 강력한 대북억지력 발 판 확보했다,”", 『국방저널』통권 제467호, 2012

      37 엄정식, "『카터 행정부 시기 대한무기이전 정책의 변용: 백곰 미사일 의 개발과 F-5E/F 공동생산의 합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8 이청수, "“‘한 미 우호’ ‘미 북 비우호’ 틀속, 워싱턴 지침: 북 테러지원 -핵 미사일 변수가 불안요인,”", 『자유공론』통권 418호,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