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BOND STRENGTH OF RECYCLED BRACK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0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타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 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e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y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 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경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타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 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e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y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 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경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site of new and recycled brackets according to the base design.
      252 sound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collected, and Type I, Type II, Type III bracke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recycling method. Each bracket was then bonded to an extracted premolar.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 was used to measur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surface of the recycled brackets were viewed in SEM.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ne 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executed using the SPSSWIN program.
      1. The shear bond str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racket base design (P<0.001). Type III bracket(round indentation base, micro-etched)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Type I bracket(foil-mesh base) was second, and Type II bracket(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 was last.
      2. The effect of recycling on the bond streng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bracket typ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ype I, Type II brackets showed the smallist reduction when treated for 1 minute in Big Jane(p<0.05), but the shear bond strength of Type III bracke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cycling method(p>0.05).
      3. In Type I, Type II brackets, frequent fracture site was bracket-resin interface, but in Type III brackets, about half of the resin was retained on the tooth surface frequently.
      4. The shear bond strength was highest when about half of the resin was retained on the tooth surface(p<0.05).
      5. The resin remnant on the bracket base after recycling had no effect on the shear bond strength.
      번역하기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site of new and recycled brackets according to the base design. 252 sound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collected, and Type I, Type II, Type III brack...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site of new and recycled brackets according to the base design.
      252 sound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collected, and Type I, Type II, Type III bracke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recycling method. Each bracket was then bonded to an extracted premolar.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 was used to measur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surface of the recycled brackets were viewed in SEM.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ne 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executed using the SPSSWIN program.
      1. The shear bond str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racket base design (P<0.001). Type III bracket(round indentation base, micro-etched)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Type I bracket(foil-mesh base) was second, and Type II bracket(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 was last.
      2. The effect of recycling on the bond streng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bracket typ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ype I, Type II brackets showed the smallist reduction when treated for 1 minute in Big Jane(p<0.05), but the shear bond strength of Type III bracke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cycling method(p>0.05).
      3. In Type I, Type II brackets, frequent fracture site was bracket-resin interface, but in Type III brackets, about half of the resin was retained on the tooth surface frequently.
      4. The shear bond strength was highest when about half of the resin was retained on the tooth surface(p<0.05).
      5. The resin remnant on the bracket base after recycling had no effect on the shear bond streng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