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근이 쉬우며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자 신의 문제를 드러내는데 수월한 미술치료를 통해서 이혼가정 아동에게 감정이나 경험들을 자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24775
2012
-
180
KCI등재
학술저널
23-40(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근이 쉬우며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자 신의 문제를 드러내는데 수월한 미술치료를 통해서 이혼가정 아동에게 감정이나 경험들을 자 유...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근이 쉬우며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자
신의 문제를 드러내는데 수월한 미술치료를 통해서 이혼가정 아동에게 감정이나 경험들을 자
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하여 치료과정에서 카타르시스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돕고자 하
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모자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과
어머니에게 2011년 8월 27일부터 2011년 10월 15일까지 주 1회 100분씩 가족미술치료 프로그
램을 8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한국아동 우울척도(CDI), 인물화 검사(DAP), 동적-집, 나무, 사람
(K-HTP), 빗속의 사람(PITR), 동적 가족화(KF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아동의 우
울감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실시 후 한국형 아동 우울척도(CDI)의 우울감 지수가 감소하였
으며 초기에 많이 위축되고, 무반응, 무표정한 아동이 회기가 진행되면서 적극적이고, 성실하
며, 책임감 있게 참여하는 모습 등으로 변화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가족미술치
료를 통하여 완성작품에서 느끼는 성취감과 만족감을 가지게 되었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목표를 세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 고취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교육기관장이 인식하는 부모교육 방법으로서의 TA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