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현대극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주로 민족(국가), 정체성과 같은 (탈)식민 담론에 의지하며 진행되어 왔다. 영국의 식민주의는 아일랜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게 트라우마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62496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85-215(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일랜드 현대극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주로 민족(국가), 정체성과 같은 (탈)식민 담론에 의지하며 진행되어 왔다. 영국의 식민주의는 아일랜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게 트라우마적인 ...
아일랜드 현대극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주로 민족(국가), 정체성과 같은 (탈)식민 담론에 의지하며 진행되어 왔다. 영국의 식민주의는 아일랜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게 트라우마적인 경험이었기에, 자신들의 식민적 경험과 이에 대한 저항과 같은 집단적인 정치의제로부터 자유롭기는 어렵다. 하지만 전지구화시대에 들어 과거세대와는 다른 담론이 문학에서 부상하면서 이전의 문학 비평에서 중요한 키워드였던 집단의 정치학은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반감된 반면, 개인적인 의제를 중요시하는 마이크로 정치학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문학적 해석의 필요성에 대한 반응의 성격을 지닌다.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 아일랜드 연극의 정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한 전환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포스트 담론의 정체성 논의에 근거한 아일랜드 현대극에 대한 비평의 한계를 ``아일랜드의 타자화`` 전략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글로벌화로 대변되는 포스트 아일랜드 사회에서 개인이 경험하게 되는 보편화의 문화적 행태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계기들과 모순을 살펴보고 오늘날의 아일랜드 극작품들이 이에 대한 대안적 사유의 결과물임을 확인해 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마틴 맥도나의 작품에 옮겨와 그의 작품이 갖는 두 자기 특징을 중심으로 포스트 아일랜드에 속해 있는 개인이 ``개별적 주체``로서 어떤 역사적 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이전 세대의 작가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아일랜드 현대극에 대한 기존의 비평이 ``제국``이나 ``캘틱 타이거``로 상징되는 민족과 국가 정체성이라는 보편성의 억압에 대한 매크로적인 정치 행위의 성격으로 국한되어 진행되는 경향에 대한 문제 제기와 겹쳐져 아일랜드 현대극 해석에 대한 나름의 새로운 인식적 지도 그리기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the politics of Irish drama in post-Ireland and reveals how globalization ― as a cultural phenomenon, an economic process, a mode of rhetoric ― can help us to understand very different kinds of theatre such as McD...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the politics of Irish drama in post-Ireland and reveals how globalization ― as a cultural phenomenon, an economic process, a mode of rhetoric ― can help us to understand very different kinds of theatre such as McDonagh`s plays. Irish writers have alway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ulture to their work. However, McDonagh could be seen as different from other Irish dramatists in that his work crosses more easily the boundaries between cultural forms. He has tended to reject attempts to relate his work too that of other Irish writers. And the arbitrary manner in which the places in his plays were chosen implies that, for him, plot rather than setting is of primary importance. He isn`t trying to provide an authentic representation of the places he portrays, but instead chooses locat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tories he wants to tell. By moving beyond the established questions of national identity, McDonagh enables other futures of his work to emerge more clearly and to show us how he is using dramatic form and how his attitude to authorial intention has developed. According to Lonergan`s formula for international success, the key to a play`s "mobility," apart from its being cheap to produce and easy to transfer from theater to theater, is what Lonergan calls its "reflexive quality"-the ease with which spectators in the world outside Ireland can "relate [the] experience" of the play "to their own preoccupations. I want to assert McDonagh`s drama in relation to some of the influences he has himself cited, considering how a criticism that styles itself as national - as both Irish and British dramatic criticism currently does - may be used to understand the work of such globalized writers as McDonagh.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석구, "제국과 민족국가 사이에서: 탈식민시대 영어권 문학 다시 읽기" 한길사 2011
2 정윤길, "아일랜드 현대극 다시 읽기: (탈)식민적 정치성에서 미학적 목소리로" 영어권문화연구소 6 (6): 241-271, 2013
3 최영, "아일랜드 아일랜드—아일랜드로 가는 연극 여행"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4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2001
5 Crawley, Peter, "Thicker than Water"
6 Merriman, Victor, "Theatre of Tiger Trash" 29 (29): 305-317, 1999
7 Lonergan, Patrick, "Theatre and Globalization: irish drama in the celtic tigerera" Palgrave 101-127,
8 Jameson, Fredric, "The geopolitical aesthetic: cinema and space in the world system" Indiana UP 1992
9 Lonergan, Patrick, "The Theatre and Films of Martin McDonagh" Methuen 99-154, 2012
10 Lonergan, Patrick, "The Tears Are Inevitable: Martin McDonagh, Globalization, and Irish Theatre Criticism" 47 (47): 636-658, 2004
1 이석구, "제국과 민족국가 사이에서: 탈식민시대 영어권 문학 다시 읽기" 한길사 2011
2 정윤길, "아일랜드 현대극 다시 읽기: (탈)식민적 정치성에서 미학적 목소리로" 영어권문화연구소 6 (6): 241-271, 2013
3 최영, "아일랜드 아일랜드—아일랜드로 가는 연극 여행"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4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2001
5 Crawley, Peter, "Thicker than Water"
6 Merriman, Victor, "Theatre of Tiger Trash" 29 (29): 305-317, 1999
7 Lonergan, Patrick, "Theatre and Globalization: irish drama in the celtic tigerera" Palgrave 101-127,
8 Jameson, Fredric, "The geopolitical aesthetic: cinema and space in the world system" Indiana UP 1992
9 Lonergan, Patrick, "The Theatre and Films of Martin McDonagh" Methuen 99-154, 2012
10 Lonergan, Patrick, "The Tears Are Inevitable: Martin McDonagh, Globalization, and Irish Theatre Criticism" 47 (47): 636-658, 2004
11 Grene, Nicholas, "The Politics of Irish Drama" Cambridge UP 1999
12 Bhabha, Homi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Classics 2004
13 Dussel, Enrique D., "The Invention of the Americas: Eclipse of "the Other" and the Myth of Modernity" Continuum 1995
14 Foucault, Michel,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1: Introduction" Random House 1978
15 Lysandrou, Yvonne, "The English language and ‘proregression’: Language conflict and stasis as reflected in Brian Friel’s translations" 39 : 116-131, 2002
16 McDonagh, Martin, "Plays 1" Metheun 1999
17 Andrews, Charles, "National Tragedy as Religion in Martin McDonagh’s Leenane Trilogy" 5 (5): 136-143, 2006
18 Appadurai, Arjun,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19 Luckhurst, Mary, "Martin McDonagh’s Lieutenant of Inishmore: Selling(-Out) to the English" 14 (14): 34-41, 2004
20 Sierz, Aleks, "In-Yer-Face Theatre: British Drama Today" Faber & Faber 2001
21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83
22 Rees, Catherine, "How to Stage Globalisation? Martin McDonagh: An Irishman on TV" 16 (16): 114-122, 2006
23 Khokhar, Ahmer, "Drink nearly killed me: McPherson" Sunday Independent
24 Tyson, Lois, "Critical Theory Today: A User-Friendly Guide" Garland 1999
25 Llewellyn-Jones, Margaret, "Contemporary Irish Drama and Cultural Identity" Intellect 2002
26 Corbett, Tony, "Brian Friel: Decoding the Language of the Tribe" Liffey 2002
27 Kearney, Richard, "Brian Friel: A Casebook" 77-116, 2003
28 McGrath, F. C., "Brian Friel's (Post) Colonial Drama: Language, Illusions, and Politics" Syracuse UP 1999
29 O’Toole, Fintan, "A Mind in Connemara: The Savage World of Martin McDonagh"
30 Boltwood, Scott, "A Despotism of Myths: Nationalism, Post-Colonialism, and Identity in Irish Drama, 1850-1990" Virginia UP 1996
우스터 그룹(Wooster Group)의 다이올로직 드라마투르기
남아프리카공화국 버바텀 연극의 특수성 -핸드스프링 퍼펫 컴퍼니의 < 위비와 진실 위원회 >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7-0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연극학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4 | 0.825 | 0.04 |
글로벌외식문화매너와에티켓
대림대학교 김재현글로벌시대의기업문화(CEO강좌)-2008년도2학기
성균관대학교 손동현 김성천 고인수 이성희 윤종용 김정호 고승환 김태영 손 욱 조환익 임주재 김왕경 최현만글로벌시대의기업문화(CEO강좌)-2007년도2학기
성균관대학교 손동현 이승철 고인수 송지용 조환익 강윤제 이춘근 이문호 손 욱 이수창 이현순 황영기 김정호글로벌시대의기업문화(CEO강좌)-2006년도 2학기
성균관대학교 손동현 이승철 김진표 허범도 고인수 윤순봉 배동만 송지오 조영주 허태학 손 욱 한준호글로벌문화와 비즈니스매너
삼육대학교 김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