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온라인 식품시장 진출에 따른 고려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Considerable Factors for the Advancement of Online Food Market in U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4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the overseas expansion of the Korean food industry. However, SMEs do not enter overseas except for large companies and franchisees. The reason is that overseas settlement of food culture requires a lot of physical and temp...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the overseas expansion of the Korean food industry. However, SMEs do not enter overseas except for large companies and franchisees. The reason is that overseas settlement of food culture requires a lot of physical and temporal costs. In this situation, the decision that SMEs can make is through online. The explosive increase in overseas direct purchases and overseas direct sales has become a new consumer market for online shopping malls in Korea. In addition, domestic SMEs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utilize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as a method of foreign entry into Korean food. For this reason,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B2C export through online as a pre-strategy for SME overseas expansion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Research on existing research, statistical data, and reports has led to the factors that can be pursued by the company and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From a business perspectiv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business models and target markets in terms of operational efficiency. As for government support, payment system, transportation system, and customs information service we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한국음식산업의 해외 진출 필요성을 자각하고 그에 따른 지원을 하고 있다. 국내시장에서의 외국인 에 대한 음식 정보의 개선은 유효한 결과를 가지고 왔으나, 대기업과 프랜차이즈 ...

      정부는 한국음식산업의 해외 진출 필요성을 자각하고 그에 따른 지원을 하고 있다. 국내시장에서의 외국인 에 대한 음식 정보의 개선은 유효한 결과를 가지고 왔으나, 대기업과 프랜차이즈 식당이외에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대한 가시적인 결과물은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음식문화의 해외 정착이 많은 물리적비용 과 시간적비용을 요구한다는데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취할 수 있는 의사결정은 온라인을 통한 진출이다. 해외직접구매와 해외직접판매의 폭발적인 증가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의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대두되었고, 국내 중소기업 또한 한국식품의 해외진출 방법론으로서 국내 온라인 쇼핑몰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식세계화를 위한 중소기업해외진출의 사전전략으로서 온라인을 통한 B2C수출의 고려요인을 논하였다. 기존선행연구와 통계자료 그리고 외국보고서 및 통계를 고찰해 보았을 때 기업자체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활성화방안이외에 정부지원의 필요한 다양한 고려요인이 도출되었다. 기업관점에서는 운영의 효율성 측면에서 비즈니스모델과 목표시장의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며, 정부지원으로서는 결제시스템과 운송시스템 그리고 통관정보서비스 제공이 중요한 고려요인으로 대두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협, "해외직접판매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무역보험학회 18 (18): 259-284, 2017

      2 임규건, "해외 역직구 비즈니스 모델 유형분류 및 분석"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4 (24): 93-110, 2017

      3 권순국, "한·중 FTA 타결에 따른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 한국관세학회 16 (16): 97-118, 2015

      4 조영희, "온라인상에서 식품구매 시 서비스품질과 식품품질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305-318, 2016

      5 이현정, "온라인 해외직접판매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129-142, 2015

      6 이은용, "신선 식품 구매용 모바일 앱 속성이 고객 신뢰, 만족 및 순 효익에미치는 영향" 국제e-비즈니스학회 17 (17): 175-192, 2016

      7 정수연, "농식품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요인 분석" 한국전자상거래학회 12 (12): 107-126, 2011

      8 최유리, "네트워크 속성이 중소기업의 국제화 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1 (11): 383-399, 2015

      9 이성호, "The Impact of Consumers’ Motivations on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verseas direct purchase shopping."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15 (15): 39-55, 2014

      10 장익훈, "The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Factors on e-Loyalty of Local Agri-food Online Shopping mall Customers"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13 (13): 293-321, 2012

      1 김선협, "해외직접판매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무역보험학회 18 (18): 259-284, 2017

      2 임규건, "해외 역직구 비즈니스 모델 유형분류 및 분석"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4 (24): 93-110, 2017

      3 권순국, "한·중 FTA 타결에 따른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 한국관세학회 16 (16): 97-118, 2015

      4 조영희, "온라인상에서 식품구매 시 서비스품질과 식품품질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305-318, 2016

      5 이현정, "온라인 해외직접판매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129-142, 2015

      6 이은용, "신선 식품 구매용 모바일 앱 속성이 고객 신뢰, 만족 및 순 효익에미치는 영향" 국제e-비즈니스학회 17 (17): 175-192, 2016

      7 정수연, "농식품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요인 분석" 한국전자상거래학회 12 (12): 107-126, 2011

      8 최유리, "네트워크 속성이 중소기업의 국제화 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1 (11): 383-399, 2015

      9 이성호, "The Impact of Consumers’ Motivations on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verseas direct purchase shopping."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15 (15): 39-55, 2014

      10 장익훈, "The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Factors on e-Loyalty of Local Agri-food Online Shopping mall Customers"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13 (13): 293-321, 2012

      11 Cheol Ho Kim,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armers’Electronic Commerce and Its Improvement Plan" 8 (8): 105-130, 2008

      12 kostat, "September 2017 Online Shopping Trends" public information 1-53, 2017

      13 Dong Hwan Kim, "Satisfaction and Dissatisfa ction Factors and Success Strategies of Agro - Food Internet Shopping Malls" 19 (19): 105-125, 2002

      14 Mun Gye Bang, "Plan of Korean Food Indust 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14 (14): 1-11, 2009

      15 Taek Seon Lee, "Measure ment of Customers Satisfaction in Agricultural E-Co mmerce" 11 (11): 125-137, 2004

      16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orean Food Online Stationary Market Survey" 2016 (2016): 158-164, 2016

      17 "IBISWorld"

      18 BMC, "How consumers are using online groc ery and what it means for retailers in 2016"

      19 Min A Lee, "Global Strategy of Korean Foods" 41 (41): 2-15, 2008

      20 ATKearney, "Capturing the Online Grocery Opportunity"

      21 Cheol Hi Lee, "Analysis on the Success Factors in Agricultural Internet Business" 21 (21): 79-92, 2004

      22 Hyukjun Choi, "An Entry Strategies on Chinese Online Market of Korean SME's" Global E-Business Association 16 (16): 221-243, 2015

      23 Se Hyun Nam, "A Survey on Food Purchasing of Internet Users via On-line Shopping"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9 (29): 367-376, 2013

      24 KimKyuHyong,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Agricultural Products e-Commerce in Korea"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13 (13): 29-52, 2011

      25 Yong Bum Kim, "A Study on the Activating Plans of agricultural E-commerce Change of Distribution Channel" 12 (12): 371-392, 2010

      26 Yun-Hee Choi, "A Study of the Design Improvement Measure for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 (15): 73-80, 2015

      27 KREI, "2016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2016 (2016): 1-531,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0.96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