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Taegu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09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관광자원을 체계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은 HTML과 JAVASCRIPT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각 관광지에 대하여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현재 대구지역의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 사이트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영남대학교 홈 페이지, 대구광역시청의 홈 페이지, 그리고 대구넷의 관광정보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기존 관광정보시스템의 문제점도 제시하였다.
      둘째, 개발방법 및 범위로서 자료수집의 범위,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그리고 개발도구 및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먼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구를 다음과 같이 5개의 권역으로 세분하였다.
      (1) 팔공산/동촌권
      (2) 두류/성서권
      (3) 비슬산/화원권
      (4) 앞산/가창권
      (5) 도심권
      5개의 권역에 대하여 7개 관광루트로 세분하여 구체적인 관광정보를 수집하였다.
      (1) 종교관광루트
      (2) 역사/문화관광루트
      (3) 스포츠관광루트
      (4) 산업관광루트
      (5) 위락/휴양관광루트
      (6) 산악탐방관광루트
      (7) 쇼핑/식도락관광루트
      또한, 관광객들이 대구지역의 관광지를 방문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제반 부대정보를 다음과 같이 세분하여 수집하였다.
      (1) 관광호텔
      (2) 관광여행사
      (3) 렌트카
      (4) 교통정보(시외버스, 고속버스, 열차, 비행기)
      (5) 식당(관광극장식당, 외국인전용 유흥음식점, 전문관광식당, 일반관광식당)
      한편, 대구지역 관광정보에 관한 자료는 1997년 2월부터 9월까지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첫째로 대구시 및 7개 구청의 관광과 및 관광관련 부서를 직접방문하였다. 둘째, 동대구역을 비롯한 관광안내소 및 여행사 등을 직접방문하였다.
      셋째, 부족한 자료는 관광지를 직접 방문하여 사진을 찍고,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1차적인 자료와 2차적인 자료를 골고루 활용하였다.
      셋째,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개발로서 개발된 관광정보시스템의 내용 및 범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은 기존의 관광정보시스템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수집된 정보의 범위와 양이 기존의 정보시스템에 비하여 매우 넓고, 많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관광정보시스템이 단순히 관광지의 사진(이미지)과 설명만을 제공하는데 비하여 (1) 찾아가는 방법, (2) 전화번호, (3) 요금 및 관람시간 관련 정보 등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관광객들이 편안하고 안락하게 관광을 할 수 있도록 관광호텔, 관광여행사, 렌트카, 교통 및 관광식당 등의 관광지원정보를 자세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은 향후 연구의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상용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검색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은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만을 제공하며, 동화상 및 음성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셋째, 앞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한글정보만을 제공하며 영문 혹은 일어의 관광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의 학자간에 다양한 토론이 있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1) 대구지역 관광정보를 개발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한다면 관광객이 덜 오지 않겠는가? 굳이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는가?
      답) 개발된 관광정보시스템을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국내외의 관광객들에게 대구지역을 더욱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관광정보시스템은 초중고등학교 및 관광종사원을 위한 교육목적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2) 현재는 한글로만 개발되어 있는데, 향후 발전방향은 무엇인가?
      답2) 향후 영어 및 일어로도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대구시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관광자원을 체계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은 HTML과 JAVASCRIPT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관광자원을 체계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인터넷 관광정보시스템은 HTML과 JAVASCRIPT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각 관광지에 대하여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현재 대구지역의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 사이트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영남대학교 홈 페이지, 대구광역시청의 홈 페이지, 그리고 대구넷의 관광정보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기존 관광정보시스템의 문제점도 제시하였다.
      둘째, 개발방법 및 범위로서 자료수집의 범위,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그리고 개발도구 및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먼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구를 다음과 같이 5개의 권역으로 세분하였다.
      (1) 팔공산/동촌권
      (2) 두류/성서권
      (3) 비슬산/화원권
      (4) 앞산/가창권
      (5) 도심권
      5개의 권역에 대하여 7개 관광루트로 세분하여 구체적인 관광정보를 수집하였다.
      (1) 종교관광루트
      (2) 역사/문화관광루트
      (3) 스포츠관광루트
      (4) 산업관광루트
      (5) 위락/휴양관광루트
      (6) 산악탐방관광루트
      (7) 쇼핑/식도락관광루트
      또한, 관광객들이 대구지역의 관광지를 방문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제반 부대정보를 다음과 같이 세분하여 수집하였다.
      (1) 관광호텔
      (2) 관광여행사
      (3) 렌트카
      (4) 교통정보(시외버스, 고속버스, 열차, 비행기)
      (5) 식당(관광극장식당, 외국인전용 유흥음식점, 전문관광식당, 일반관광식당)
      한편, 대구지역 관광정보에 관한 자료는 1997년 2월부터 9월까지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첫째로 대구시 및 7개 구청의 관광과 및 관광관련 부서를 직접방문하였다. 둘째, 동대구역을 비롯한 관광안내소 및 여행사 등을 직접방문하였다.
      셋째, 부족한 자료는 관광지를 직접 방문하여 사진을 찍고, 텍스트 정보를 수집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1차적인 자료와 2차적인 자료를 골고루 활용하였다.
      셋째,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개발로서 개발된 관광정보시스템의 내용 및 범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은 기존의 관광정보시스템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수집된 정보의 범위와 양이 기존의 정보시스템에 비하여 매우 넓고, 많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관광정보시스템이 단순히 관광지의 사진(이미지)과 설명만을 제공하는데 비하여 (1) 찾아가는 방법, (2) 전화번호, (3) 요금 및 관람시간 관련 정보 등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관광객들이 편안하고 안락하게 관광을 할 수 있도록 관광호텔, 관광여행사, 렌트카, 교통 및 관광식당 등의 관광지원정보를 자세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은 향후 연구의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상용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검색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은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만을 제공하며, 동화상 및 음성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셋째, 앞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한글정보만을 제공하며 영문 혹은 일어의 관광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의 학자간에 다양한 토론이 있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1) 대구지역 관광정보를 개발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한다면 관광객이 덜 오지 않겠는가? 굳이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는가?
      답) 개발된 관광정보시스템을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국내외의 관광객들에게 대구지역을 더욱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관광정보시스템은 초중고등학교 및 관광종사원을 위한 교육목적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2) 현재는 한글로만 개발되어 있는데, 향후 발전방향은 무엇인가?
      답2) 향후 영어 및 일어로도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대구시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Taegu area in Korea.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hyper text markup language(HTML) and Javascrip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irst of all, previous tourist information systems for Taegu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with following homegaes.
      (1) Internet homepage of Yeungnam university
      (2) Internet homepage of Taegu metropolitan city
      (3) Internet homepage of Taegu-Net
      Second, development methods and ranges were discussed with the following topics:
      (1) data collection areas,
      (2) data collection time and methods, and
      (3) development tools and methods.
      Third, development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was discussed with following topics:
      (1) contents and ranges of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and
      (2) running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Taegu.
      The future research areas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irst of all,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using English as well as Korean.
      Second, the tourist information system deveoped in this paper did not use database. So, database such as SQL Server can be very useful for the future development.
      Third, area maps should be used frequently for the tourists who are not familiar with Taegu area.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Taegu area in Korea.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hyper text markup language(HTML) and Javascrip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effectively 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Taegu area in Korea.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hyper text markup language(HTML) and Javascrip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irst of all, previous tourist information systems for Taegu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with following homegaes.
      (1) Internet homepage of Yeungnam university
      (2) Internet homepage of Taegu metropolitan city
      (3) Internet homepage of Taegu-Net
      Second, development methods and ranges were discussed with the following topics:
      (1) data collection areas,
      (2) data collection time and methods, and
      (3) development tools and methods.
      Third, development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was discussed with following topics:
      (1) contents and ranges of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and
      (2) running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for Taegu.
      The future research areas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irst of all, a tourist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using English as well as Korean.
      Second, the tourist information system deveoped in this paper did not use database. So, database such as SQL Server can be very useful for the future development.
      Third, area maps should be used frequently for the tourists who are not familiar with Taegu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기존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조사 및 분석
      • 1. 영남대학교의 홈페이지
      • 2. 대구광역시청의 홈페이지
      • 3. 대구넷의 관광정보
      • I. 서 론
      • II. 기존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조사 및 분석
      • 1. 영남대학교의 홈페이지
      • 2. 대구광역시청의 홈페이지
      • 3. 대구넷의 관광정보
      • III. 개발방법 및 범위
      • 1. 자료수집의 범위
      • 2. 자료수집의 기간 및 방법
      • 3. 개발도구 및 방법
      • IV.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개발
      • 1. 관광정보시스템의 내용 및 범위
      • 2. 대구지역 관광정보시스템의 실행화면
      • V.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