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하 동북아시아의 철도교통과 경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87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 established and operated a broad railroad network in Northeast Asia in order to invade and control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railroa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f particular importance as it linked the Japanese archipelago with the Eurasian continent. The international train network operated by Japan served as a lever for expanding Japanese control over Northeast Asia. The reputation of colonial Joseon and its capital, Seoul, grew because the international train network ran across this area.
      The nodal region of Northeast Asian railroad traffic, the Korean Peninsula and Seoul, became an essential course of travel by railroad. In particular, Seoul was a traditional city with both a living history and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exhibited the history and achievem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us Seoul drew great attention for tourism, which was expanding in Northeast Asia. As the railroad traffic in Northeast Asia grew, Seoul’s extension expanded and the city’s intensity deepened. The period around 1941 was the peak of this trend.
      번역하기

      Japan established and operated a broad railroad network in Northeast Asia in order to invade and control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railroa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f particular importance as it lin...

      Japan established and operated a broad railroad network in Northeast Asia in order to invade and control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railroa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f particular importance as it linked the Japanese archipelago with the Eurasian continent. The international train network operated by Japan served as a lever for expanding Japanese control over Northeast Asia. The reputation of colonial Joseon and its capital, Seoul, grew because the international train network ran across this area.
      The nodal region of Northeast Asian railroad traffic, the Korean Peninsula and Seoul, became an essential course of travel by railroad. In particular, Seoul was a traditional city with both a living history and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exhibited the history and achievem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us Seoul drew great attention for tourism, which was expanding in Northeast Asia. As the railroad traffic in Northeast Asia grew, Seoul’s extension expanded and the city’s intensity deepened. The period around 1941 was the peak of this tre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국제연락의 교통체계와 열차운행
      • Ⅲ. 철도여행의 경로와 경성관광의 行程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국제연락의 교통체계와 열차운행
      • Ⅲ. 철도여행의 경로와 경성관광의 行程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채성, "중일전쟁과 화북교통" 일조각 2012

      2 孫科志, "중국인 여행자의 시각으로 본 식민통치하의 경성 -조선을 여행한 중국인의 시각으로-" 서울학연구소 50 (50): 1-28, 2013

      3 정재정, "조선총독부철도국장 大村卓一과 朝滿鐵道連結政策" 역사교육연구회 104 (104): 83-117, 2007

      4 서기재,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소명출판 2011

      5 이군호, "일본의 중국 및 만주침략과 남만주철도 : 만주사변(1931) 이전까지를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12 (12): 2004

      6 정재정, "역사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철도연결의 국제적 성격" 국학연구원 (129) : 233-279, 2005

      7 조성운, "식민지 근대관광과 일본시찰" 경인문화사 2011

      8 최영호, "부관연락선과 부산" 논형 2007

      9 진시원, "동아시아 철도 네트워크의 기원과 역사: 청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까지"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125-149, 2004

      10 박경석, "동아시아 역사 속의 여행." 산처럼 2008

      1 임채성, "중일전쟁과 화북교통" 일조각 2012

      2 孫科志, "중국인 여행자의 시각으로 본 식민통치하의 경성 -조선을 여행한 중국인의 시각으로-" 서울학연구소 50 (50): 1-28, 2013

      3 정재정, "조선총독부철도국장 大村卓一과 朝滿鐵道連結政策" 역사교육연구회 104 (104): 83-117, 2007

      4 서기재,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소명출판 2011

      5 이군호, "일본의 중국 및 만주침략과 남만주철도 : 만주사변(1931) 이전까지를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12 (12): 2004

      6 정재정, "역사적 관점에서 본 남북한 철도연결의 국제적 성격" 국학연구원 (129) : 233-279, 2005

      7 조성운, "식민지 근대관광과 일본시찰" 경인문화사 2011

      8 최영호, "부관연락선과 부산" 논형 2007

      9 진시원, "동아시아 철도 네트워크의 기원과 역사: 청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까지"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125-149, 2004

      10 박경석, "동아시아 역사 속의 여행." 산처럼 2008

      11 임성모, "동아시아 역사 속의 여행 1: 경계, 정보, 교류" 산처럼 2008

      12 滿鐵鮮滿案內所, "鮮滿支邦旅程と費用槪算"

      13 日本國有鐵道廣島鐵道管理局, "關釜連絡船史" 1979

      14 "鐵道省編纂汽車時間表"

      15 Kenneth J. Ruoff, "紀元二千六百年ー消費と観光の ナショナルリズム" 朝日新聞出版 2010

      16 旅行案內社, "汽車汽船旅行案內"

      17 정재정, "植民都市와 帝國日本의 視線 -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生徒의 朝鮮‧滿洲 修學旅行(1939년) -" 일본연구소 (45) : 69-93, 2010

      18 高成鳳, "植民地の鐵道" 日本經濟評論社 2006

      19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列車時刻表満" 1938

      20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旅行案內"

      21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鐵道論纂" 1930

      22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鐵道狀況, 29" 1938

      23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鐵道時間表 內地·満支連絡時間表" (秋季) : 1941

      24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鐵道時間表 內地·満支連絡時間表" (秋季) : 1941

      25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鐵道四十年略史" 1940

      26 橋谷弘, "朝鮮鐵道の滿洲への委託經營をめぐって" 19 : 1982

      27 賀田直治, "朝鮮産業政策硏究要綱" 1927

      28 鮮交會, "朝鮮交通史/資料編" 東京 1986

      29 鮮交會, "朝鮮交通史" 東京 1986

      30 "朝鮮中央日報"

      31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昭和十四年度大陸旅行"

      32 다카사키 소지, "日本知識人의 朝鮮紀行"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4

      33 老川慶喜, "日本史小百科-近代-鐵道" 東京堂出版 1996

      34 임채성, "戰時經濟と鐵道運營" 東京大學出版會(日本) 2005

      35 関谷次博, "戰前期中国朝朝鮮への旅行と鉄道ー1929~35年の旧制浪速高等学校 修学旅行の記録よりー" (24) : 1997

      36 荒山允彦, "戦前期における朝鮮·満州へのツーリズム:植民地視察の記録 『鮮満 の旅』から" 26 : 1999

      37 寺本光照, "國鐵·JR列車名大事典" 中央書院 2002

      38 南滿洲鐵道株式會社, "南滿洲鐵道株式會社第三次十年史"

      39 鈴本武雄, "北鮮ル一ト論, 大陸ル一ト論" 3 : 1938

      40 京城府, "內地都市産業視察報告" 1938

      41 鄭在貞, "京釜鐵道의 敷設에 나타난 日本의 韓國侵略政策의 性格" 44 : 1984

      42 鄭在貞, "京義鐵道의 敷設과 日本의 韓國縱貫鐵道支配政策, In 韓國放送通信大學 論文集 3" 1984

      43 京城府 京城觀光協會, "京城案內"

      44 朝鮮總督府鐵道局, "京城" 1935

      45 임성모, "1930년대 일번인의 만주 수학여행-네트워크와 제국의식-" (31)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