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질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해 눈덩이 표집선정을 통해 11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연구 참 여자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질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해 눈덩이 표집선정을 통해 11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연구 참 여자들...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질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해 눈덩이 표집선정을 통해 11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연구 참 여자들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감정 노동 경험의 본질과 의미 구조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 자료 분석 결과, 중학교 교사의 감정 노동 경험은 89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추출되었다. 이를 본 연구는 28개의 의미로 형성하고, 7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3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교 사들은 ① 스스로 감정노동자라는 인식을 명확히 하였고, ② 학생 및 학부모와의 교육적·일상 적 관계, 동료 및 학교행정가와의 학교 행정 및 교육 관련 업무 관계 속에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③ 감정노동 상황에서 스트레스, 분노, 괴로움, 불쾌감 등의 부정적 감정 을 억누르고, 의도적으로 “회피” 또는 개인의 성격 탓으로 돌려 “자조적 자세”를 취하거나 학교 내·외의 공간에서 “홀로 자기만의 방식으로 해소”하려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감정노동 과정에서의 부정적 경험이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교 조직과 리더십, 정책 개선 필요 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교 교사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학술적으로 환기함 으로써 학교 조직 문화 개선, 학교행정가 역량 제고, 조직 구성원 간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학교 조직 연구의 이론 개발에 중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a qualitative research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eleven people through snowballing sampling method to analyze the essence and meani...
This study aimed at a qualitative research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eleven people through snowballing sampling method to analyze the essence and meaning structure of middle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experience.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ere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al labor with colleague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relation to the students in the class scene, educational and everyday relationship with parents, schoo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way to liberate emotional labor can be summarized as a process of deliberate "avoidance" of emotional labor situations rather than exchanges with colleagues, school organization, and policy support, or as "self-help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school leadership and policy improvement are necessary in that emotional labor experience can indu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negativity and thus hamper the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길사 2014
3 권향원, "현상학과 사회과학연구 - 정책연구에의 질적방법론적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5 (25): 355-394, 2016
4 김선명, "행정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의 재발견: 체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3 (23): 147-165, 2013
5 김종진, "한국 사회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14
6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53-81, 2014
7 김지은,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장리더십 및 교사의 감정노동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9-18, 2015
8 주영효, "학교 조직 이해의 새로운 틀: 비선형 자기조직화"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275-300, 2017
9 손준종,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안암교육학회 17 (17): 93-127, 2011
10 김보연,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2 (22): 211-232, 2016
1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길사 2014
3 권향원, "현상학과 사회과학연구 - 정책연구에의 질적방법론적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5 (25): 355-394, 2016
4 김선명, "행정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의 재발견: 체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3 (23): 147-165, 2013
5 김종진, "한국 사회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14
6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53-81, 2014
7 김지은,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장리더십 및 교사의 감정노동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9-18, 2015
8 주영효, "학교 조직 이해의 새로운 틀: 비선형 자기조직화"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275-300, 2017
9 손준종,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안암교육학회 17 (17): 93-127, 2011
10 김보연,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2 (22): 211-232, 2016
11 조은영, "초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조절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23, 2015
12 이혁규,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175-210, 2004
13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3
14 배정이,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8 (38): 454-464, 2008
15 김지선, "중학교 내 자생적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요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411-439, 2017
16 김병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8, 2003
17 김도기, "중등학교 학교장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교육연구원 33 (33): 241-262, 2017
18 원효헌, "중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246-259, 2013
19 "정신건강 위기에 내 몰린 교사들, “학부모가 무섭다”"
20 강재남, "우리의 ‘소황제’들 때문에 감정노동자가 되어가는 교사들"
21 황수아, "심층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30 (30): 59-91, 2014
22 김은주, "누가 교단을 떠나고 싶어 하는가? : 교사소진의 원인과 대안 모색"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17
23 주영효, "긍정심리자본 형성을 위한 학교 리더십 개선 방안 탐색" 안암교육학회 21 (21): 27-51, 2015
24 이재규, "교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원의 문제해결능력" 한국교육개발원 (296) : 2018
25 임지윤, "교사의 정서노동이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97-220, 2014
26 이장익, "교사의 비공식조직 참여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3 (13): 71-92, 2006
27 김지연, "교사를 위한 심리적 어려움 및 지원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35-260, 2016
28 "교사도 감정노동자..학교가 무섭습니다"
29 박은종, "교권보호법 개정, 교권 확립과 보호의 새로운 출발점 되길"
30 고전, "교권(敎權) 보호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53-73, 2012
31 이훈구, "감정심리학" 이너북스 2014
32 김왕배,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회 46 (46): 123-149, 2012
33 한상근, "감정노동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32 : 5-27, 2016
34 박은정, "감정노동과 노동법" 한국노동연구원 16 (16): 55-85, 2016
35 고용노동부, "감정노동 종사자 건강보호 핸드북"
36 양경욱, "감정-규칙부조화와 감정-표현부조화의 통합적 연구: 두 감정부조화 개념이 감정노동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9 (39): 87-110, 2015
37 "“나는 샌드백 같다” “학부모도 무섭다”..죽음에 내몰리는 교사들 최근 4년간 73명 자살"
38 "[신나는 공부] 교권추락… 교사 명예퇴직 ‘전쟁’"
39 Hochschild, A.,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0 Winograd, K., "The functions of teacher emotions : The good, the bad, the ugly" 105 (105): 1641-1673, 2003
41 Sutton, R. E.,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15 (15): 327-358, 2003
42 Fried, L., "Teacher emotion research : Introducing a conceptual model to guide future research" 25 (25): 415-441, 2015
43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Loutledge 2016
44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07
45 Moustakas, C. 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46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47 유은혜 국회의원, "MB정부, 교육 역주행 5년"
48 Colaizzi, P.,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49 Hargreaves, A., "Emotional geographies of teaching" 103 (103): 1056-1080, 2001
50 Ashforth, B. E., "Emotional Labou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 88-115, 1993
51 Hoy, W. K.,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McGraw-Hill 2013
52 Kemper, T. D., "A social interactional theory of emotions" John Wiley 1978
53 "'중2병' 어른들의 이야기. "첫 담임이 중2, 두려웠고 상처도 받았지만""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경기도 내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및 혁신공감학교와의 효과비교를 중심으로-
사립대학 등록금․비등록금 요인이 학생 교육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2 | 2.06 | 1.84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