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우치전>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재고찰 = A Review on the Constitution and Meaning of 〈Jeon Uchi 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16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우치전>의 서사적 구성의 특징과 그 구성이 갖는 의미에 대해 분석해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전우치전>은 작품이 가진 여러 가지 성격 때문에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전우치라는 인물이 지배 권력 속으로 진입했다가 다시 나오는 과정 때문에 일관성 없는 인물로도 평가된 면도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전우치의 행동이 이율배반적이거나 철학 없는 인물로서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전우치전>의 구성과 의미를 밝혔다. 작품이 삽화편집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그 삽화 구성이 각기 유사한 사건들이 단계적으로 제시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사 단락을 연결하는 요소가 차원과 공간 이동이라는 삽화로 제시되어 있음도 밝혀내었다. 이러한 작품 내적으로 기획된 유기적 구성은 전우치의 무한 확대 재생산이라는 삽화를 통해 전방위적으로 만연한 사회모순에 대한 비판을 의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모순에 대한 전복의 가능성 또한 담지하고 있는 것임을 밝혀내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전우치전>의 서사적 구성의 특징과 그 구성이 갖는 의미에 대해 분석해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전우치전>은 작품이 가진 여러 가지 성격 때문에 다양하게 해석되어 ...

      이 논문은 <전우치전>의 서사적 구성의 특징과 그 구성이 갖는 의미에 대해 분석해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전우치전>은 작품이 가진 여러 가지 성격 때문에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전우치라는 인물이 지배 권력 속으로 진입했다가 다시 나오는 과정 때문에 일관성 없는 인물로도 평가된 면도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전우치의 행동이 이율배반적이거나 철학 없는 인물로서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전우치전>의 구성과 의미를 밝혔다. 작품이 삽화편집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그 삽화 구성이 각기 유사한 사건들이 단계적으로 제시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사 단락을 연결하는 요소가 차원과 공간 이동이라는 삽화로 제시되어 있음도 밝혀내었다. 이러한 작품 내적으로 기획된 유기적 구성은 전우치의 무한 확대 재생산이라는 삽화를 통해 전방위적으로 만연한 사회모순에 대한 비판을 의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모순에 대한 전복의 가능성 또한 담지하고 있는 것임을 밝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Jeon Uchi cheon〉is equipped with the organic composition. And should you want to understand the hidden meaning behind the completeness of the configuration.
      〈Jeon Uchi cheon〉 is organized as a episodical structure. The episodical story is not listed simply. The cohesive narrative paragraph with the similarity of the case. And there are immanent causation. The episodical story of dimension and space to move the element that connects the narrative paragraphs. Also it has been described that each short narrative is composed of, as shown in the development of causal events. 〈Jeon Uchi cheon〉 is a finespun novel.
      〈Jeon Uchi cheon〉 reporter disclosed the contradictions in the society. Jeon Uchi of configuration means that you can continue the same resistance jeonuchi, that jeonuchi figures such as these can be reproduced infinitely expanded and upset is always possible. For this reason, 〈Jeon Uchi cheon〉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is significant at the present.
      번역하기

      This paper 〈Jeon Uchi cheon〉is equipped with the organic composition. And should you want to understand the hidden meaning behind the completeness of the configuration. 〈Jeon Uchi cheon〉 is organized as a episodical structure. The episodica...

      This paper 〈Jeon Uchi cheon〉is equipped with the organic composition. And should you want to understand the hidden meaning behind the completeness of the configuration.
      〈Jeon Uchi cheon〉 is organized as a episodical structure. The episodical story is not listed simply. The cohesive narrative paragraph with the similarity of the case. And there are immanent causation. The episodical story of dimension and space to move the element that connects the narrative paragraphs. Also it has been described that each short narrative is composed of, as shown in the development of causal events. 〈Jeon Uchi cheon〉 is a finespun novel.
      〈Jeon Uchi cheon〉 reporter disclosed the contradictions in the society. Jeon Uchi of configuration means that you can continue the same resistance jeonuchi, that jeonuchi figures such as these can be reproduced infinitely expanded and upset is always possible. For this reason, 〈Jeon Uchi cheon〉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is significant at the pres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삽화의 단계적 전개와 유기적 구성
      • 3. <전우치전> 구성의 의미
      • 4. 맺는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삽화의 단계적 전개와 유기적 구성
      • 3. <전우치전> 구성의 의미
      • 4. 맺는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태웅,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고려대 2010

      2 김일렬,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의 비교고찰" 한국어문학회 30 : 1974

      3 박진영, "창립 무렵의 신문관(新文館)"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7) : 9-46, 2009

      4 "젼운치뎐 경판 37장본"

      5 이현국, "전우치전의 형성과정과 이본간의 변모 양상" 문학과 언어학회 7 : 1996

      6 정상진, "전우치전의 현실저항과 그 한계" 한국문학회 10 : 1989

      7 최광석, "전우치전의 설화 수용과 지평전환" 국어교육학회 28 : 1996

      8 최삼룡, "전우치전의 도교사상 연구" 도교문화학회 2 : 1988

      9 김정문, "전우치전의 개작 연구;목판본과 구활자본의 대비를 통하여" 배달말학회 19 : 1994

      10 박일용, "전우치전과 전우치 설화" 국어국문학회 92 : 1984

      1 엄태웅,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고려대 2010

      2 김일렬,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의 비교고찰" 한국어문학회 30 : 1974

      3 박진영, "창립 무렵의 신문관(新文館)"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7) : 9-46, 2009

      4 "젼운치뎐 경판 37장본"

      5 이현국, "전우치전의 형성과정과 이본간의 변모 양상" 문학과 언어학회 7 : 1996

      6 정상진, "전우치전의 현실저항과 그 한계" 한국문학회 10 : 1989

      7 최광석, "전우치전의 설화 수용과 지평전환" 국어교육학회 28 : 1996

      8 최삼룡, "전우치전의 도교사상 연구" 도교문화학회 2 : 1988

      9 김정문, "전우치전의 개작 연구;목판본과 구활자본의 대비를 통하여" 배달말학회 19 : 1994

      10 박일용, "전우치전과 전우치 설화" 국어국문학회 92 : 1984

      11 조동일, "전우치전" 시인사 1983

      12 정환국, "전우치(田禹治) 전승의 굴절과 반향" 민족문학사학회 (41) : 213-239, 2009

      13 변우복, "일사본 뎐운치전의 도술적 성격" 한국어문교육연구소 5 : 1996

      14 김성철, "육당문고 소장 조선광문회본 고소설에서 드러나는 초창기 검열 양상과 검열 우회의 징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6 : 7-28, 2014

      15 변우복, "신문관본 전우치전의 개작 양상과 개작가" 국제어문학회 18 : 1997

      16 최혜진, "신문관본 <전우치전>의 성격과 문학교육적 의의" 숙명어문학회 5 : 2003

      17 최호석, "신문관 간행 육전소설에 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57) : 131-160, 2010

      18 조혜란, "민중적 환상성의 한 유형-일사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5) : 3-82, 2003

      19 이지영, "도술담에 대한 아동독자의 재미 연구 -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77-111, 2015

      20 "교뎡 전우치뎐 활자본"

      21 이상구, "광양 태인도의 <전우치전설>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4) : 353-394, 2009

      22 尹在根, "田禹治 傳說과 『田禹治傳』"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2

      23 兪祺暎, "洪吉童傳과 田禹治傳의 比較 硏究"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6

      24 邊宇福, "《전우치전》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25 설중환, "<전우치전>의 한사상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55 : 319-348, 2007

      26 문범두, "<전우치전>의 이본 연구-형성과정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18 : 1990

      27 안창수, "<전우치전>으로 살펴본 영웅소설의 변화" 한국문학회 (59) : 73-116, 2011

      28 이경현, "1910년대 신문관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