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역관리 기본계획 및 검역조사 알고리즘 개발 = Establishing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and Development of Quarantine Inspection Algorith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1089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20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ㅇ 본 연구는 검역법 개정 후 21년 3월 시행 예정에 따라 우리나라로 들어오거나 외
      국으로 나가는 사람, 운송수단 및 화물을 검역하는 절차와 감염병을 예방하는 조
      치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국내외로 감염병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역관
      리의 목표, 추진 방향 및 업무 등 국가 검역관리 기본계획 마련이 필요하고 효율
      적인 검역업무를 위한 검역현장(공항, 항만)별 입국자 검역조사 알고리즘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과업임

      ㅇ 사회 환경적 변화와 전 세계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변해가는 오늘날, 검역환경도
      항만에서 공항으로, 선박·물류에서 항공기·승객으로, 콜레라 등 세균성 감염병에
      서 최근 발생한 메르스, COVID-19 등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대폭 변화하고 있으므
      로 이러한 시대적 현상에 맞춘 빠른 대처가 필요함

      ㅇ 검역에 대한 WHO 검역 전문가들이 말하는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는 능
      동검역, 사람 및 증상 중심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검역관은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대응 SOP를 적용한 검역조사
      알고리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ㅇ 이러한 배경으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

      1) 국가검역 기본계획안의 수립
      · 비전의 수립 : 검역단계에서 신종감염병, 생물테러 등 잠재적 위협을 조기 탐지
      하여 신속대응을 취할 수 있는 검역역량을 극대화하고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감
      염병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국가를 이룩하는 데 이바지
      하도록 하기 위한 비전으로‘해외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건강사회’를 제시함

      · 목표의 수립 : 해외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ICT를 활용한 스마트
      검역 정보시스템을 확충함으로써 해외여행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해외 감
      염병 발생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검역관이 해외 감염병 대응의 최일선 전
      문가로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수행하고
      우수한 검역 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검역 기본계획의 목표를 ‘검역체계 국민편의·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로 제시함

      · 중점과제 : ① 해외 감염병 위험분석 및 대응체계 선진화, ② 다층적 검역 거버
      넌스 구축 및 운영강화, ③ 검역 인프라 양적, 질적 향상으로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7개의 세부과제와 성과지표를 수립함

      · 세부과제 : ① 해외 감염병 위험분석 역량 강화, ② 운송수단별 표준검역 절차
      마련, ③ 권역별 검역망 구축 및 검역조직 개편, ④ 타 부처 연계 검역 정보 대
      국민 제공 강화, ⑤ 검역 인프라 확충, ⑥ 검역관 현장대응 역량 강화, ⑦ 스마
      트 검역 정보시스템 운영강화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추진계획과 성과지표를 제
      시함으로써 검역 기본계획의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되도록 함

      2) 검역조사 알고리즘의 개발

      · 공항 이용 여행객과 확진자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검역할 수 있는 체계 구축
      을 위한 Digital Health passport 개념 도입
      · 선박의 전자검역 사항을 추가하여 활성화
      · 선종별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둔 차별적 검역조사 방법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비대면 검역 방법 도입

      ㅇ 결론적으로 검역현장에서 검역이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검역관리 기본계획 및
      알고리즘의 개발을 통하여 법정 검역대상 감염병과 신종감염병의 대비·대응에 있
      어 체계적인 국가검역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하고 검역현장에서 유용한 검역조사
      의 알고리즘이 개발됨으로써 체계적인 검역조사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해외 감염병으로 안전한 건강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함
      번역하기

      ㅇ 본 연구는 검역법 개정 후 21년 3월 시행 예정에 따라 우리나라로 들어오거나 외 국으로 나가는 사람, 운송수단 및 화물을 검역하는 절차와 감염병을 예방하는 조 치를 체계적으로 수행하...

      ㅇ 본 연구는 검역법 개정 후 21년 3월 시행 예정에 따라 우리나라로 들어오거나 외
      국으로 나가는 사람, 운송수단 및 화물을 검역하는 절차와 감염병을 예방하는 조
      치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국내외로 감염병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검역관
      리의 목표, 추진 방향 및 업무 등 국가 검역관리 기본계획 마련이 필요하고 효율
      적인 검역업무를 위한 검역현장(공항, 항만)별 입국자 검역조사 알고리즘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과업임

      ㅇ 사회 환경적 변화와 전 세계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변해가는 오늘날, 검역환경도
      항만에서 공항으로, 선박·물류에서 항공기·승객으로, 콜레라 등 세균성 감염병에
      서 최근 발생한 메르스, COVID-19 등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대폭 변화하고 있으므
      로 이러한 시대적 현상에 맞춘 빠른 대처가 필요함

      ㅇ 검역에 대한 WHO 검역 전문가들이 말하는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는 능
      동검역, 사람 및 증상 중심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검역관은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대응 SOP를 적용한 검역조사
      알고리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ㅇ 이러한 배경으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

      1) 국가검역 기본계획안의 수립
      · 비전의 수립 : 검역단계에서 신종감염병, 생물테러 등 잠재적 위협을 조기 탐지
      하여 신속대응을 취할 수 있는 검역역량을 극대화하고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감
      염병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국가를 이룩하는 데 이바지
      하도록 하기 위한 비전으로‘해외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건강사회’를 제시함

      · 목표의 수립 : 해외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ICT를 활용한 스마트
      검역 정보시스템을 확충함으로써 해외여행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해외 감
      염병 발생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검역관이 해외 감염병 대응의 최일선 전
      문가로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수행하고
      우수한 검역 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검역 기본계획의 목표를 ‘검역체계 국민편의·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로 제시함

      · 중점과제 : ① 해외 감염병 위험분석 및 대응체계 선진화, ② 다층적 검역 거버
      넌스 구축 및 운영강화, ③ 검역 인프라 양적, 질적 향상으로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7개의 세부과제와 성과지표를 수립함

      · 세부과제 : ① 해외 감염병 위험분석 역량 강화, ② 운송수단별 표준검역 절차
      마련, ③ 권역별 검역망 구축 및 검역조직 개편, ④ 타 부처 연계 검역 정보 대
      국민 제공 강화, ⑤ 검역 인프라 확충, ⑥ 검역관 현장대응 역량 강화, ⑦ 스마
      트 검역 정보시스템 운영강화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추진계획과 성과지표를 제
      시함으로써 검역 기본계획의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되도록 함

      2) 검역조사 알고리즘의 개발

      · 공항 이용 여행객과 확진자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검역할 수 있는 체계 구축
      을 위한 Digital Health passport 개념 도입
      · 선박의 전자검역 사항을 추가하여 활성화
      · 선종별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둔 차별적 검역조사 방법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비대면 검역 방법 도입

      ㅇ 결론적으로 검역현장에서 검역이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검역관리 기본계획 및
      알고리즘의 개발을 통하여 법정 검역대상 감염병과 신종감염병의 대비·대응에 있
      어 체계적인 국가검역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하고 검역현장에서 유용한 검역조사
      의 알고리즘이 개발됨으로써 체계적인 검역조사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해외 감염병으로 안전한 건강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함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 in
      accordance with the law's scheduled enforcement in March 21 after the quarantine law was revised in March 2020.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includes procedures for quarantine of people, the types of transport, and cargo, and measur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rom spreading to Korea by systematically carrying out a quarantin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this way, the development of algorithms for quarantine inspection of inbound travelers is very important in airport and seaport quarantine, which can be a very useful tools for effective quarantine work.

      ㅇ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the 21st century, as the whole world is getting closer like a neighbor like one world, the quarantine paradigm is also from seaports to airports, ships to aircraft, and viral infections such as MERS and COVID-19 that have recently been pandemic from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holera. As it is changing drastically, rapid quarantine measures ar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se times.

      ㅇ WHO suggests changes based on active quarantine, people, and symptoms as a paradigm shift in quarantine. Therefore, quarantine officers are required to develop a quarantine inspection algorithm applying a response-SOP(standard of procedure) based on expertise so that they can actively respond to these changes.

      ㅇ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stablishing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 Establishment of vision : Safe and healthy society against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Establish a vision to contribute to achieving a healthy and safe country by
      strengthening the national quarantine capacity and effectively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from abroad.

      · Establishment of goals : Provide convenience to the public in the quarantine system and strengthen the capacity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from abroad.

      · Focused tasks : ① advanced risk analysis and response system for overseas infections, ②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ulti-layered quarantine governance, and ③ quality improvement of quarantine infrastructure, and 7 detailed tasks and performance indicators are established for each.

      · Detailed tasks : ① strengthening capabilities for risk assessment analysis of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② Establish standard of procedures for quarantine by types of transport, ③ Strengthening of quarantine information network with local government and reorganization of quarantine organizations, ④ strengthening provision of quarantine information for the people linked to multi-ministries, ⑤ Expansion of infrastructure for quarantine required at the point of entry, ⑥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quarantine officers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 at the point of entry, ⑦ Strengthen the smart quarantine information system,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and performance indicators are present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of the basic quarantine plan.

      2) Development of Quarantine Inspection Algorithm

      · Efficiently verify the confirmed cases of infectious disease during the quarantine
      inspection process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digital health passport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ravelers

      · Strengthen information quarantine system in ship quarantine

      · Depending on the types of ship, a differential quarantine inspection procedure is
      proposed based on the risk assessment for infectious diseases. ·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untact(non-face-to-face) information quarantine by using
      ICT and smart devices in airport and port quarantine

      ㅇ In conclus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effectiveness of quarantine at point of entry by utilizing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and quarantine algorithm, national quarantine standards of a quarantine inspection are established so that new infectious diseases can be prepared and respond well.

      ㅇ The development of useful quarantine investigation algorithms at international seaport & airport enables systematic quarantine investigations and rapid response, ultimately contributing to creating a safe and healthy society with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번역하기

      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 in accordance with the law's scheduled enforcement in March 21 after the quarantine law was revised in March 2020.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includes procedures...

      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 in
      accordance with the law's scheduled enforcement in March 21 after the quarantine law was revised in March 2020.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includes procedures for quarantine of people, the types of transport, and cargo, and measur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rom spreading to Korea by systematically carrying out a quarantin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this way, the development of algorithms for quarantine inspection of inbound travelers is very important in airport and seaport quarantine, which can be a very useful tools for effective quarantine work.

      ㅇ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the 21st century, as the whole world is getting closer like a neighbor like one world, the quarantine paradigm is also from seaports to airports, ships to aircraft, and viral infections such as MERS and COVID-19 that have recently been pandemic from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holera. As it is changing drastically, rapid quarantine measures ar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se times.

      ㅇ WHO suggests changes based on active quarantine, people, and symptoms as a paradigm shift in quarantine. Therefore, quarantine officers are required to develop a quarantine inspection algorithm applying a response-SOP(standard of procedure) based on expertise so that they can actively respond to these changes.

      ㅇ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stablishing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 Establishment of vision : Safe and healthy society against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Establish a vision to contribute to achieving a healthy and safe country by
      strengthening the national quarantine capacity and effectively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from abroad.

      · Establishment of goals : Provide convenience to the public in the quarantine system and strengthen the capacity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from abroad.

      · Focused tasks : ① advanced risk analysis and response system for overseas infections, ②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ulti-layered quarantine governance, and ③ quality improvement of quarantine infrastructure, and 7 detailed tasks and performance indicators are established for each.

      · Detailed tasks : ① strengthening capabilities for risk assessment analysis of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② Establish standard of procedures for quarantine by types of transport, ③ Strengthening of quarantine information network with local government and reorganization of quarantine organizations, ④ strengthening provision of quarantine information for the people linked to multi-ministries, ⑤ Expansion of infrastructure for quarantine required at the point of entry, ⑥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quarantine officers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 at the point of entry, ⑦ Strengthen the smart quarantine information system,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and performance indicators are present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of the basic quarantine plan.

      2) Development of Quarantine Inspection Algorithm

      · Efficiently verify the confirmed cases of infectious disease during the quarantine
      inspection process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digital health passport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ravelers

      · Strengthen information quarantine system in ship quarantine

      · Depending on the types of ship, a differential quarantine inspection procedure is
      proposed based on the risk assessment for infectious diseases. ·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untact(non-face-to-face) information quarantine by using
      ICT and smart devices in airport and port quarantine

      ㅇ In conclus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effectiveness of quarantine at point of entry by utilizing The Quarantine Control Master Plans and quarantine algorithm, national quarantine standards of a quarantine inspection are established so that new infectious diseases can be prepared and respond well.

      ㅇ The development of useful quarantine investigation algorithms at international seaport & airport enables systematic quarantine investigations and rapid response, ultimately contributing to creating a safe and healthy society with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