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군사 박물관의 성격 변천에 관한 연구 = Eine Forschung zur Funktionen des Deutschen Militärhistorischen Muse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연방군 군사사 박물관은 유럽의 대표적인 군사 박물관이자 군사 유물을 비롯하여 각종 예술품을 전시하는 문화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 건물은 1873년부터 1877년까지 무기고였으며, 그 이후 작센의 무기 전시 공간으로 이용되다가 1897년 대중에게 공개되면서 명실상부한 박물관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곳은 1914년에 작센 육군박물관으로 개칭되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박물관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23년에 다시 개장한 작센 육군박물관은 제3제국 시기에 육군 소속 기관인 드레스덴 육군박물관과 드레스덴 군사박물관으로 개칭되어 무기 보관 및 연구를 담당하는 관제기관으로 변모하였다.
      냉전시기 이 박물관은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는 ‘준 교육기관’이었다가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독일 연방군 소속의 전문 군사사 박물관으로 도약하였다. 독일 연방군 군사사 박물관은 리베스킨트의 설계로 현대적, 민주적 건물로 재건축되었고 2011년 재개장 이후 전문 군사 유물의 전시와 지역사회와의 협업 활동으로 그 영역을 넓혔다. 이제 군사사 박물관은 보고, 체험하는 전시장을 넘어서 폭력의 문화사를 교육하고 과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사회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번역하기

      독일 연방군 군사사 박물관은 유럽의 대표적인 군사 박물관이자 군사 유물을 비롯하여 각종 예술품을 전시하는 문화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 건물은 1873년부터 1877년까지 무기고였으며, 그 ...

      독일 연방군 군사사 박물관은 유럽의 대표적인 군사 박물관이자 군사 유물을 비롯하여 각종 예술품을 전시하는 문화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 건물은 1873년부터 1877년까지 무기고였으며, 그 이후 작센의 무기 전시 공간으로 이용되다가 1897년 대중에게 공개되면서 명실상부한 박물관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곳은 1914년에 작센 육군박물관으로 개칭되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박물관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23년에 다시 개장한 작센 육군박물관은 제3제국 시기에 육군 소속 기관인 드레스덴 육군박물관과 드레스덴 군사박물관으로 개칭되어 무기 보관 및 연구를 담당하는 관제기관으로 변모하였다.
      냉전시기 이 박물관은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는 ‘준 교육기관’이었다가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독일 연방군 소속의 전문 군사사 박물관으로 도약하였다. 독일 연방군 군사사 박물관은 리베스킨트의 설계로 현대적, 민주적 건물로 재건축되었고 2011년 재개장 이후 전문 군사 유물의 전시와 지역사회와의 협업 활동으로 그 영역을 넓혔다. 이제 군사사 박물관은 보고, 체험하는 전시장을 넘어서 폭력의 문화사를 교육하고 과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사회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Militarhistorische Museum der Bundeswehr(MHM) ist Das Militarhistorische Museum der Bundeswehr(MHM) ist eines der größten militarhistorischen Museen weltweit. Von 1873 bis 1877 entstand es als Arsenal und danach als Ausstellugsraum des Königreichs Sachsen. Es wurde in 'sächsisches Armeemuseum' am 18. Mai 1914, in 'Heeresmuseum Dresden' und 'Dresden Armeemusuem' während des 1, 2 Weltkreiges, 'Armeemuseum der DDR' während des Kalten Kreiges umbenannt und spielte die Rolle als propagandistische Regierungsorganisation. 1990 übernahm das Bundesverteidigungsministerium es unter dem Namen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as nach Plänen von Daniel Libeskind umgebaut und 2011 wiedereröffnet wurde. Es ist ein Ort individueller Bildung und Forum der öffentlichen Auseinandersetzung mit Militärgeschichte und bietet wissenschaftliche Praktika in verschiedenen Forschungsbereichen an. Das MHM zeigt Bausteine einer Kulturgeschichte der Gewalt.
      번역하기

      Das Militarhistorische Museum der Bundeswehr(MHM) ist Das Militarhistorische Museum der Bundeswehr(MHM) ist eines der größten militarhistorischen Museen weltweit. Von 1873 bis 1877 entstand es als Arsenal und danach als Ausstellugsraum des Königrei...

      Das Militarhistorische Museum der Bundeswehr(MHM) ist Das Militarhistorische Museum der Bundeswehr(MHM) ist eines der größten militarhistorischen Museen weltweit. Von 1873 bis 1877 entstand es als Arsenal und danach als Ausstellugsraum des Königreichs Sachsen. Es wurde in 'sächsisches Armeemuseum' am 18. Mai 1914, in 'Heeresmuseum Dresden' und 'Dresden Armeemusuem' während des 1, 2 Weltkreiges, 'Armeemuseum der DDR' während des Kalten Kreiges umbenannt und spielte die Rolle als propagandistische Regierungsorganisation. 1990 übernahm das Bundesverteidigungsministerium es unter dem Namen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as nach Plänen von Daniel Libeskind umgebaut und 2011 wiedereröffnet wurde. Es ist ein Ort individueller Bildung und Forum der öffentlichen Auseinandersetzung mit Militärgeschichte und bietet wissenschaftliche Praktika in verschiedenen Forschungsbereichen an. Das MHM zeigt Bausteine einer Kulturgeschichte der Gewal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주, "한국 군사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40·41 : 143-152, 1992

      2 나애리, "프랑스 박물관의 디지털화" 한국프랑스학회 78 : 53-75, 2012

      3 이은봉, "전쟁기념관 개관의 역사적 의의" 28 : 306-327, 1994

      4 강선주, "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7-36, 2012

      5 이재진,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박물관의 역할과 발전방안" 56-72, 2014

      6 방선희,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교육공학연구소 6 (6): 45-64, 2012

      7 나애리, "디지털시대 박물관의 교육적 역할 - 루브르 박물관 사례 연구 -" 한국프랑스학회 74 : 283-304, 2011

      8 채현석, "대학박물관의 사회교육 활동" 29-36, 2012

      9 정명아, "공립박물관과 청소년 교육: 서울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55-71, 2007

      10 이세영, "‘사건’개념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유대인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58-66, 2012

      1 김영주, "한국 군사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40·41 : 143-152, 1992

      2 나애리, "프랑스 박물관의 디지털화" 한국프랑스학회 78 : 53-75, 2012

      3 이은봉, "전쟁기념관 개관의 역사적 의의" 28 : 306-327, 1994

      4 강선주, "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7-36, 2012

      5 이재진,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박물관의 역할과 발전방안" 56-72, 2014

      6 방선희,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교육공학연구소 6 (6): 45-64, 2012

      7 나애리, "디지털시대 박물관의 교육적 역할 - 루브르 박물관 사례 연구 -" 한국프랑스학회 74 : 283-304, 2011

      8 채현석, "대학박물관의 사회교육 활동" 29-36, 2012

      9 정명아, "공립박물관과 청소년 교육: 서울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55-71, 2007

      10 이세영, "‘사건’개념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유대인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58-66, 2012

      11 Pieken, Gorch,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er Bundeswehr" Sandstein 2012

      12 Libeskind, Daniel, "Military History Museum"

      13 Thiemeyer, Thomas, "Fortsetzung des Krieges mit anderen Miltteln: Die beiden Weltkriege im Museum(=Krieg in der Geschichte, Band: 62)" Schöningh 2010

      14 Pieken, Gorch, "Does War Belong in Museums? 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Exhibitions" Transcript 2013

      15 Heuser, Franz-Josef, "Deutsche Militärgeschichte 1945 - 1970: Ausstellungsstücke" Militärhistorisches Museum 2007

      16 Wehler, Hans-Ulrich, "Deutsche Gesellschafts-Geschichte 1849-1914" C.H.Beck 1995

      17 Kunz, Manfred, "Arsenal und Museum, Vergangenheit-Gegenwart-Zukunft"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er Bundeswehr 5-16, 2003

      18 Konzeptgruppe, "Arsenal und Museum, Vergangenheit-Gegenwart-Zukunft"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er Bundeswehr 28-44, 2003

      19 Beßer, Klaus Udo, "Arsenal und Museum, Vergangenheit-Gegenwart-Zukunft"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er Bundeswehr 45-51, 2003

      20 Beßer, Klaus Udo, "Arsenal und Museum, Vergangenheit-Gegenwart-Zukunft" Militärhistorisches Museum der Bundeswehr 17-20, 2003

      21 나애리, "1980년대 이후 프랑스 박물관의 변화와 문화정책"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8 : 69-89, 2006

      22 Kunz, Manfred, "100 Jahre Museum im Dresdner Arsenal (1897 - 1997): eine Schrift zum Jubiläum" Militärhistorisches Museum 1997

      23 Lisewski, Eugen, "100 Jahre Museum im Dresdner Arsenal (1897 - 1997): eine Schrift zum Jubiläum" Militärhistorisches Museum 1997

      24 권태일, "'근원적 다양성'으로 본 '접힘(Fold)의 건축' -피터 아이젠만, 그렉 린,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이론과 작품 비교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 (20): 195-206, 2004

      25 Buder, Erik, ""Beyond the Arsenal" - Das militärhistorische Museum in Dresden" GRIN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