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미국 육군의 팔굽혀펴기 및 윗몸일으키기 측정형태별 근전도 분석 = E.M.G. Analysis of Korea and U.S. Army Push-up and Sit-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2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electromyographic(E.M.G.) analysis of major muscles and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push-up and sit-up: Korea and U.S. Army.
      Twelve healthy participants performed two types of push-up and sit-up in two days, and eight muscle parts were selected to analyze E.M.G. differences. Paired t-test and effect size(ES) for %RVC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wo types of push-up, but the result showed relatively high effect size on pectoralis (ES=0.55) and tibialis anterior (ES=0.63) for U.S. Army push-up. The U.S. Army type of sit-up provided more stimulation on rectus abdominis than the Korea Army type (P=0.006, ES=0.79).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provided general explanations about which muscles are measured by push-up and sit-up of Korea Arm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S. Army. It also showed the difference of muscle activation between tests with and without additional too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electromyographic(E.M.G.) analysis of major muscles and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push-up and sit-up: Korea and U.S. Army. Twelve healthy participants performed two types of push-up and sit-up...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electromyographic(E.M.G.) analysis of major muscles and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push-up and sit-up: Korea and U.S. Army.
      Twelve healthy participants performed two types of push-up and sit-up in two days, and eight muscle parts were selected to analyze E.M.G. differences. Paired t-test and effect size(ES) for %RVC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wo types of push-up, but the result showed relatively high effect size on pectoralis (ES=0.55) and tibialis anterior (ES=0.63) for U.S. Army push-up. The U.S. Army type of sit-up provided more stimulation on rectus abdominis than the Korea Army type (P=0.006, ES=0.79).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provided general explanations about which muscles are measured by push-up and sit-up of Korea Arm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S. Army. It also showed the difference of muscle activation between tests with and without additional t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팔굽혀펴기와 윗몸일으키기 한·미 육군의 두 측정방법 간 동일근육 내 근전도 차이를 분석비교 하는 것이다. 만약 유의미한 근전도 차이가 없으면 굳이 보조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검정기구에 들어가는 예산을 절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검정 준비소요를 줄일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현재 한국 육군의 방법이 미 육군 방법에 비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관련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실험결과, 팔굽혀펴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근전도 차이는 없었지만, 큰 가슴근에서의 효과크기가 비교적 큰(ES=0.55) 결과를 나타내며 미 육군의 방식이 큰 가슴근을 더욱 많이 동원한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윗몸일으키기의 한국 육군 방법에서 엉덩허리근과 넙다리빗근을 미 육군의 방법에 비해 더 많이 동원한 결과를 통해 한국 육군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조대의 형태가 하체부위의 근육을 추가로 동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팔굽혀펴기와 윗몸일으키기 한·미 육군의 두 측정방법 간 동일근육 내 근전도 차이를 분석비교 하는 것이다. 만약 유의미한 근전도 차이가 없으면 굳이 보조기구를 사용�...

      본 연구의 목적은 팔굽혀펴기와 윗몸일으키기 한·미 육군의 두 측정방법 간 동일근육 내 근전도 차이를 분석비교 하는 것이다. 만약 유의미한 근전도 차이가 없으면 굳이 보조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검정기구에 들어가는 예산을 절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검정 준비소요를 줄일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현재 한국 육군의 방법이 미 육군 방법에 비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관련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실험결과, 팔굽혀펴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근전도 차이는 없었지만, 큰 가슴근에서의 효과크기가 비교적 큰(ES=0.55) 결과를 나타내며 미 육군의 방식이 큰 가슴근을 더욱 많이 동원한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윗몸일으키기의 한국 육군 방법에서 엉덩허리근과 넙다리빗근을 미 육군의 방법에 비해 더 많이 동원한 결과를 통해 한국 육군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조대의 형태가 하체부위의 근육을 추가로 동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덕현, "한국 학생ㆍ군 체력검사 변천과정 의미와 특성 검토" 한국체육학회 55 (55): 455-464, 2016

      2 오현석, "팔굽혀 펴기 운동 시 지지면 간격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1 (1): 25-35, 2013

      3 육군본부, "육규 120 병영생활규정"

      4 이주립, "윗몸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19 (19): 116-127, 2001

      5 박은영, "윗몸 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6 오재섭, "슬링(sling)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펴기동작 시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0 (10): 29-40, 2003

      7 김태완, "근전도 분석(이론 및 적용)" 한미의학 2013

      8 국방부, "국방부 부대관리 훈령 1932호"

      9 Bret Contreras, "The Biomechanics of the Push-up: Implications for Resistance Training Programs" 34 (34): 41-46, 2012

      10 Juker, D., "Quantitative intramuscular myoelectric activity of lumbar portions of psoas and the abdominal wall during a wide variety of tasks" 30 : 301-310, 1998

      1 남덕현, "한국 학생ㆍ군 체력검사 변천과정 의미와 특성 검토" 한국체육학회 55 (55): 455-464, 2016

      2 오현석, "팔굽혀 펴기 운동 시 지지면 간격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1 (1): 25-35, 2013

      3 육군본부, "육규 120 병영생활규정"

      4 이주립, "윗몸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19 (19): 116-127, 2001

      5 박은영, "윗몸 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6 오재섭, "슬링(sling)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펴기동작 시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0 (10): 29-40, 2003

      7 김태완, "근전도 분석(이론 및 적용)" 한미의학 2013

      8 국방부, "국방부 부대관리 훈령 1932호"

      9 Bret Contreras, "The Biomechanics of the Push-up: Implications for Resistance Training Programs" 34 (34): 41-46, 2012

      10 Juker, D., "Quantitative intramuscular myoelectric activity of lumbar portions of psoas and the abdominal wall during a wide variety of tasks" 30 : 301-310, 1998

      11 강경환, "Push-up 운동 시 손목과 주관절 방향에 따른 근활성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69) : 365-373, 2017

      12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Physical Fitness Trainig(FM 21-20)"

      13 Ebben WP, "Kinetic analysis of several variations of push-ups" 25 (25): 2891-2894, 2011

      14 Kelly DL, "Exercise prescription and the kinesiological imperative" 53 : 18-20, 1982

      15 Eric Sternlicht,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Abdominal Muscle Activity Using Portable Abdominal Exercise Devices and a Traditional Crunch" 17 (17): 463-468, 2003

      16 Youdas JW, "Comparison of muscle-activation patterns during the conventional push-up and perfect push up exercises" 24 (24): 3352-3362, 2010

      17 Cogley RM, "Comparison of muscle activation using various hand positions during the push-up exercise" 19 (19): 628-633, 2005

      18 Zernicke, R.F., "Biomechanics of human movement" Univ. of California 1978

      19 De Lacdera F., "Anatomical analysis of basic abdominal exercise" 75 : 114-115, 1978

      20 Flint MM, "Abdominal muscle involvement during the performance of various forms of sit-up exercise an electromyography study" 44 : 224-234,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