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쟁양상 변화에 따른 한국군 정신전력 혁신방향 = Reformative Direction of Moral Strength Amidst Changing Proponents of Wa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cent time, Korean Peninsula is facing challenges of unfamiliar crisis brought by North Korean provocation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nuclear and missile weapons. As a response against the threat, Republic of Korea is engaging in various measures, including military options, centralized in the partnership of Republic of Korea-United States Alliance. However, much of the capabilities are utilized to focus on physical targets, and in order to bring about advantage-point of war, deck of cards which efficiently integrate physical and immaterial targets need to be brought to the table. In particular, considering some of the facts such as, proponents of Fourth Generation Warfare, North Korean threats, and internal complications of the nation, one of core factors of immaterial capability is soldiers' moral strength.
      As much as this element cannot be over-emphasized, in 1998, the Korean military de-activated the only institution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soldier morale, Military Institution of Moral & Education Since then, all policy development has been halted. As proponents of warfare and social cultures consistently change, Korean military is over-utilizing concepts developed in 1997. In contrast, the Hermit Kingdom's strategy is to inject its own concrete ideology to the public as a way of strengthening "moral strength" which is ultimately utilized to bring about triumphant of war.
      Looking through these lenses, the study recommends a reformative direction to equipping moral strength of Korea military. Firstly, it re-establishes the concept of moral strength that was instilled for the last twenty years along with suggestion to the necessity in formulating core values that will aim towards boosting moral strength. Secondly, the study suggests a systematic structure of strengthening soldier morale centralizing in public affairs that cross-links with other major immaterial elements, including, military culture improvements, character builds, and mission-command. The outcomes from the suggestions layed out in the study will play a role in bringing higher level of combat strength in the battlefield, building people of higher morale standard, not just as solider, but citizens that safeguard the free democracy of Republic of Korea, and suggesting a new point of aim towards integrated culture of a re-unified peninsula. If North Korean regime's leading physical capability is its asymmetric weapon, then South Korea's flag choice of weapon should be its paramount immaterial capability, the great moral strength of the military. As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become more radical, so should the moral strength of Korean military.
      번역하기

      In the recent time, Korean Peninsula is facing challenges of unfamiliar crisis brought by North Korean provocation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nuclear and missile weapons. As a response against the threat, Republic of Korea is engaging in various me...

      In the recent time, Korean Peninsula is facing challenges of unfamiliar crisis brought by North Korean provocation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nuclear and missile weapons. As a response against the threat, Republic of Korea is engaging in various measures, including military options, centralized in the partnership of Republic of Korea-United States Alliance. However, much of the capabilities are utilized to focus on physical targets, and in order to bring about advantage-point of war, deck of cards which efficiently integrate physical and immaterial targets need to be brought to the table. In particular, considering some of the facts such as, proponents of Fourth Generation Warfare, North Korean threats, and internal complications of the nation, one of core factors of immaterial capability is soldiers' moral strength.
      As much as this element cannot be over-emphasized, in 1998, the Korean military de-activated the only institution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soldier morale, Military Institution of Moral & Education Since then, all policy development has been halted. As proponents of warfare and social cultures consistently change, Korean military is over-utilizing concepts developed in 1997. In contrast, the Hermit Kingdom's strategy is to inject its own concrete ideology to the public as a way of strengthening "moral strength" which is ultimately utilized to bring about triumphant of war.
      Looking through these lenses, the study recommends a reformative direction to equipping moral strength of Korea military. Firstly, it re-establishes the concept of moral strength that was instilled for the last twenty years along with suggestion to the necessity in formulating core values that will aim towards boosting moral strength. Secondly, the study suggests a systematic structure of strengthening soldier morale centralizing in public affairs that cross-links with other major immaterial elements, including, military culture improvements, character builds, and mission-command. The outcomes from the suggestions layed out in the study will play a role in bringing higher level of combat strength in the battlefield, building people of higher morale standard, not just as solider, but citizens that safeguard the free democracy of Republic of Korea, and suggesting a new point of aim towards integrated culture of a re-unified peninsula. If North Korean regime's leading physical capability is its asymmetric weapon, then South Korea's flag choice of weapon should be its paramount immaterial capability, the great moral strength of the military. As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become more radical, so should the moral strength of Korean milit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반도는 김정은 정권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른 도발로 과거 경험하지 못한 위기 상화에 직면해 있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여 우리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군사적 조치를 포함한 다양한 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량과 대비가 북한의 유형전력 위협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전쟁의 대비와 승리는 유형전력과 무형전력이 효율적으로 통합되어야 가능하다. 특히 제4세대전쟁 양상과 북한의 위협, 우리 내부의 사정을 고려할 때 무형전력의 핵심 요소인 우리 군의 정신전력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군은 1998년 국방정신교육원이 해체된 이후 정신전력 정책 발전이 사살상 중단되었다. 전쟁 양상의 변화와 문화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1997년의 개념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북한은 군과 주민의 사상 무장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를 전승의 요체로 인식하고 더욱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군 정신전력 혁신 방향을 제안하였다. 먼저 1997년 이후 20년간 변화지 않은 정신전력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정신전력 지향점이 될 수 있는 핵심가치 제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정훈교육 중심의 정신전력 양성체계를 병영문화 개선, 인성교육, 임무형지휘 등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정신전력 혁신이 전장에서 전투력 발휘의 승수 효과는 물론, 국민의 군대로서 자유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군인과 국민을 양성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나아가 통일 한국군 문화 통합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핵무기가 북한이 보유한 유형적 비대칭전력이라면 정신전력은 한국군이 갖춘 무형적 비대칭전력이 되어야 한다. 남북한의 긴장과 대립이 첨예화되면 될수록 군의 정신전력은 더 강해져야 한다.
      번역하기

      최근 한반도는 김정은 정권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른 도발로 과거 경험하지 못한 위기 상화에 직면해 있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여 우리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군사적 조치를 포함한 다...

      최근 한반도는 김정은 정권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른 도발로 과거 경험하지 못한 위기 상화에 직면해 있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여 우리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군사적 조치를 포함한 다양한 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량과 대비가 북한의 유형전력 위협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전쟁의 대비와 승리는 유형전력과 무형전력이 효율적으로 통합되어야 가능하다. 특히 제4세대전쟁 양상과 북한의 위협, 우리 내부의 사정을 고려할 때 무형전력의 핵심 요소인 우리 군의 정신전력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군은 1998년 국방정신교육원이 해체된 이후 정신전력 정책 발전이 사살상 중단되었다. 전쟁 양상의 변화와 문화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1997년의 개념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북한은 군과 주민의 사상 무장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를 전승의 요체로 인식하고 더욱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군 정신전력 혁신 방향을 제안하였다. 먼저 1997년 이후 20년간 변화지 않은 정신전력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정신전력 지향점이 될 수 있는 핵심가치 제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정훈교육 중심의 정신전력 양성체계를 병영문화 개선, 인성교육, 임무형지휘 등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정신전력 혁신이 전장에서 전투력 발휘의 승수 효과는 물론, 국민의 군대로서 자유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군인과 국민을 양성하는 방안이 될 것이며, 나아가 통일 한국군 문화 통합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핵무기가 북한이 보유한 유형적 비대칭전력이라면 정신전력은 한국군이 갖춘 무형적 비대칭전력이 되어야 한다. 남북한의 긴장과 대립이 첨예화되면 될수록 군의 정신전력은 더 강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명재진, "헌법을 수호하는 제복 입은 민주시민" 국방정신전력원 2017

      2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합동교범 3-0)"

      3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합동교범 10-2)" 합동참모본부 2014

      4 양원석, "한국형 임무형지휘척도 개발과 타당성" 육군군사연구소 (143) : 325-354, 2017

      5 박균열, "한국군의 군인정신 덕목 : 평가와 대안" (55) : 179-207, 2002

      6 정상근, "한국군 사회조사(KMGSS)의 이론적·방법론적 틀 구축에 관한 연구" 국방정신전력원 2016

      7 Klaud Schwab,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7

      8 김종형, "제4세대 전쟁 이론에 대한 검토" (85) : 125-148, 2016

      9 국방정신교육원, "정신전력지도 지침서"

      10 Karl Clausewitz, "전쟁론" 병학사 1991

      1 명재진, "헌법을 수호하는 제복 입은 민주시민" 국방정신전력원 2017

      2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합동교범 3-0)"

      3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합동교범 10-2)" 합동참모본부 2014

      4 양원석, "한국형 임무형지휘척도 개발과 타당성" 육군군사연구소 (143) : 325-354, 2017

      5 박균열, "한국군의 군인정신 덕목 : 평가와 대안" (55) : 179-207, 2002

      6 정상근, "한국군 사회조사(KMGSS)의 이론적·방법론적 틀 구축에 관한 연구" 국방정신전력원 2016

      7 Klaud Schwab,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7

      8 김종형, "제4세대 전쟁 이론에 대한 검토" (85) : 125-148, 2016

      9 국방정신교육원, "정신전력지도 지침서"

      10 Karl Clausewitz, "전쟁론" 병학사 1991

      11 박재곤, "장병정신전력이 군사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군 조직특성과 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75-106, 2016

      12 현익제, "장병 행동 및 심리 전문 연구소 설립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016

      13 국방부, "임무형 지휘 사례집"

      14 "육군규정 제801호, 정훈공보업무 규정"

      15 육군본부, "육군 리더십(교육참고 8-1-9)"

      16 김태은, "외국군의 정신전력 개념 및 정신교육 정책 연구" 국방정신전력원 2016

      17 남기덕, "소프트파워 리더십"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07

      18 곽은경, "북한군 현황과 정신교육 체계에 관한 연구" 국방정신전력원 2016

      19 정보사령부, "북한군 군사사상(북한군교리 22-0-1)"

      20 곽은경, "북한 사상무장 수단으로서의 상징전략 : 선군정치를 중심으로" 국방정신전력원 2016

      21 국방부, "병영문화혁신 가이드북"

      22 서경홍, "독일 연방군의 내적지휘와 정치교육" 국방정신전력원 2017

      23 육군본부, "긍정형 리더십" 육군교육사령부 2012

      24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시행령"

      25 합동참모본부, "군사기본교리(합동교범 0)"

      26 윤영돈, "군대윤리의 관점에서 본 정신전력 제고 방안"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5 (55): 73-96, 2012

      27 최병욱, "군 정신교육의패러다임 전환:인성교육 진흥의 방향과 전략" 국방정신전력원 (46) : 2015

      28 하두철, "국방정신전력 전담기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국방정신전력원 (44) : 2013

      29 "국방부훈령 제1909호, 정훈·문화활동 훈령"

      30 김진만, "간부용 군대윤리" 국방부 2016

      31 육군본부 인사기획과, "‘17년 장병 인성 바로세우기 종합추진계획" 2016

      32 Thomas X. Hammes, "21세기 전쟁 : 비대칭의 4세대 전쟁" 한국국방연구원 2010

      33 육군본부 정훈공부참모부, "2017년 정훈공보활동 지시"

      34 국방부 정신전력문화정책과, "2017년 정훈·문화활동 지시"

      35 정상근, "2017 한국군 사회조사를 활용한 장병 행동 및 가치관 연구" 국방정신전력원 2017

      36 국방정신전력원, "2017 한국군 사회조사" 국방정신전력원(리서치 앤 리서치 조사 대행) 2017

      37 권영경, "2017 북한 이해"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