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성복, "현실주의 시각에서 본 미 동북아정책의 딜레마: 북핵해결과 중국견제"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179-206, 2014
2 Vipin Narang, "현대 핵 전략"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3 박휘락, "핵억제이론에 입각한 한국의 대북 핵억제태세 평가와 핵억제전략 모색"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147-180, 2013
4 김재엽, "한반도 군사안보와 핵(核)전략: 북한 핵무장 위협에의 대응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27-55, 2016
5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년감" 조선로동당출판사 1961
6 김태현, "억지의 실패와 강압외교: 쿠바의 미사일과 북한의 핵"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57-83, 2012
7 임수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외교(1989~2006)"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8 노동신문, "선제타격은 미국의 독점물이 아니며 강력한 핵타격 수단을 통해 미국을 선제타격할 수 있다"
9 이인호,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강압외교 분석과 개선방안"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2 (22): 91-118, 2015
10 박휘락, "북한핵에 대한 한국 억제전략의 분석: “거부적 억제” 개념에 의한 방어노력의 재조명"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293-319, 2015
1 조성복, "현실주의 시각에서 본 미 동북아정책의 딜레마: 북핵해결과 중국견제"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179-206, 2014
2 Vipin Narang, "현대 핵 전략"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3 박휘락, "핵억제이론에 입각한 한국의 대북 핵억제태세 평가와 핵억제전략 모색"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147-180, 2013
4 김재엽, "한반도 군사안보와 핵(核)전략: 북한 핵무장 위협에의 대응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27-55, 2016
5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년감" 조선로동당출판사 1961
6 김태현, "억지의 실패와 강압외교: 쿠바의 미사일과 북한의 핵"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57-83, 2012
7 임수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외교(1989~2006)"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8 노동신문, "선제타격은 미국의 독점물이 아니며 강력한 핵타격 수단을 통해 미국을 선제타격할 수 있다"
9 이인호,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강압외교 분석과 개선방안"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2 (22): 91-118, 2015
10 박휘락, "북한핵에 대한 한국 억제전략의 분석: “거부적 억제” 개념에 의한 방어노력의 재조명"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293-319, 2015
11 이용준, "북한핵 새로운 게임의 법칙" 조선일보사 2004
12 정영태, "북한의 핵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2014
13 김태현, "북한의 핵전략 : 적극적 실존억제" 세종연구소 22 (22): 5-36, 2016
14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 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 전략" 2014
15 최용환, "북한의 핵개발 전략 분석 및 향후 대응 방향" 2010
16 미치시타 나루시게, "북한의 벼랑끝 외교사" 한울 아카데미 2014
17 임수호, "북한의 대미 실존적 억지-강제의 이론적 기반"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4 (14): 123-165, 2007
18 김수정, "북한의 6차 핵실험 게임의 룰이 바뀌었다"
19 김진무, "북한과 중국: 의존과 영향력" KIDA Press 2011
20 김현기, "북한, 핵포기 가능성 없어...핵능력 제한이 최선"
21 권태영, "북한 핵보유 상황 대비 자위적 선제공격론의 개념과 전략적 선택방향"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8 (18): 7-47, 2011
22 김민석, "북한 핵무기 개발현황" 3 (3): 42-44, 1992
23 함형필,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의 실체와 동맹협력 방안" 국방연구원 2013
24 김민상, "북한 조선중앙통신, 주일미군기지 타격 탄도로켓발사훈련했다"
25 전성훈, "북한 비핵화와 핵우산 강화를 위한 이중경로정책" 세종연구소 16 (16): 61-88, 2010
26 황부연, "북미 핵협상의 전략적 분석: 협상전략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5 (35): 189-217, 2017
27 박종철, "북ㆍ미 미사일 협상과 한국의 대책" 통일연구원 2001
28 이상숙, "북-미-중 전략적 삼각관계와 제2차 북핵위기: 북한의 위기조성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129-148, 2009
29 김진명, "북, 핵공격할 뜻 없다 해도 핵사고 가능성 우려된다"
30 정효식, "볼턴, 북 군사공격할 때 온다"
31 평양과학백과 사전출판사, "백과전서" 평양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32 한용섭, "미국의 맞춤형 억제전략과 북한의 핵위협 해소방안"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3-22, 2007
33 전성훈, "미국과 북한의 핵 억지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3 (13): 146-183, 2006
34 채병건, "메티스 국방, 러시아 아닌 북한이 미국의 최고 위협"
35 후나바시 요이치, "김정일 최후의 도박: 북한 핵실험 막전막후 풀스토리" 중앙일보미디어 2007
36 한영혜, "김정은, 핵단추가 내 책상위에 있다"
37 문병주, "김정은 괌 미사일 공격게획 보고받자 미 국방장관 공격시 전쟁 치달을 것"
38 김영삼, "김영삼 대통령 회고록: 민주주의를 위한 나의 투쟁 상권" 조선일보사 2001
39 Graham Allison, "결정의 엣센스: 쿠바미사일 사태와 세계핵전쟁의 위기" 모음북스 2005
40 Don Oberdorfer, "Two Koreas" 길산 2002
41 Robert Harkavy, "Triangular or Indirect Deterrence/Compellence: Something New in Deterrence Theory" 17 : 63-81, 1998
42 McGeorge Bundy, "To Cap the Vocano" 48 (48): 1969
43 Albert Wohlstetter, "The delicate balace of terror" 1959
44 McGeorge Bundy, "The Unimpressive Record of Atomic Diplomacy" Random House 1989
45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The U.S Nuclear War Plan: A Time for Change" Natural Resource Defense Council Press 2001
46 Don Oberdorfer,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Addison-Wesley 1997
47 Scott D. Sagan,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Renewed" W. W. Norton & Company 2003
48 Kenneth Waltz,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Renewed" W. W. Norton & Company 2003
49 McGeorge Bundy, "The Security Gamble: Deterrence Dilemmas in the Nuclear Age" Rowman & Allanheld 1984
50 Richard Haass, "The Opportunity: America's Moment to Alter History's Course" Public Affairs 2005
51 Marc Trachtenberg, "The Influence of Nuclear Weapons in the Cuban Missile Crisis" 10 (10): 137-163, 1985
52 Lawrence Freedman, "The Evolution of Nuclear Strategy" St. Martin's Press 1981
53 Rajesh Rajagopalan, "Nuclear Strategy and Small Nuclear Gorce: The Conceptual Component" 23 (23): 1117-1131, 1999
54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White House 2002
55 Antony Clark Arend, "International Law and the Preemptive Use of Military Force" (Spring) : 89-103, 2003
56 박상욱, "ICBM급 미사일 발사한 북한, 미 전역 핵탄두 타격 가능"
57 Joel S.Wit, "Going Critical: The First North Korea Nuclear Crisi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58 Henry Sokolsky, "Getting MAD: Nuclear Mutual Assured Destruction, Its Origins and Practice" Unted Studies Army War College Press 2004
59 Glen H. Snyder, "Deterrence and Defense: Toward a Theory of National Secur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60 Lawrence Freedman, "Deterrence" Polity Press 2004
61 Thomas Schelling, "Arms and Influence" Yale University Press 1966
62 Henry A. Kissinger, "American Foreign Policy" Norkton Press 1977
63 남광규, "4차 핵실험 이후 북핵문제의 전개와 국제사회의 대응" 한국통일전략학회 16 (16): 77-111, 2016
64 김재천, "4차 북한 핵실험과 전략적 인내의 종언: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 분석" 통일연구원 25 (25): 1-2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