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년 관점의 ‘젠더 갈등’ 진단과 포용국가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36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의 사회·정치의식과 새롭게 부상한 ‘젠더 갈등’ 현상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고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청년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패러 다임의 청년정책에 한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세는 우리사회에 오랫동안 내재화되어 왔던 뿌리 깊은 문제에 해 기성세 와 비판적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불공정 문제는 그간의 통념과 달리 청년세 보다 기성세가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청년세의 특징으로서 능력주의에 기반한 공 정성 개념이 부각되어 왔는데, 이는 청년세 내에서 성별, 계층별 차이를 간과한 것이라 는 사실도 밝혀냈다. 결과적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 구조 속에서 경쟁을 통한 생존에 유 리한 위치에 있는 남성, 고학력, 중상층 이상 계층의 청년들의 목소리가 과장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젠더 이슈를 둘러싼 인식의 성별 격차가 상적으로 강조되었으나 이처럼 성별화, 계층화된 사회·정치 의식의 특성은 주목받지 못했고 주변화된 청년들의 목소리는 간과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둘째, 온라인 공간에서는 페미니즘에 한 부정적 담론이 ‘보편’의 지위를 획득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공간을 지배하는 담론에서 페미니즘은 여성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사로운 주장으로, 페미니스트는 반사회적인 집단으로,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것은 돈이나 표를 얻기 위해 여성의 편을 드는 부적절한 행위로 평가절하되고 있었다. 남 초/여초 커뮤니티에서 남성과 여성에 한 논의는 립적 양상을 띠고 있지만, 표면적 립을 걷어내고 그 이면에 있는 젠더 관계 인식을 들여다 보면 젠더 질서의 전환기를 갈등 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청년세 남녀의 곤란을 읽어낼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를 통해 청년세 내에서 성차별, 젠더 이슈, 페미니즘을 둘러싼 성별 인 식의 격차가 기성세에서 비해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격차는 서 로 장단점을 가진 양립하기 어려운 가치관의 무조건적 립으로서 ‘젠더 갈등’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 모두의 삶을 제약하고 구속해 왔던 견고한 가부장적 사회질서의 균열의 징 후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청년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성별화 된 규범과 느리게 변화하는 가부장적 사회 질서의 불일치가 청년 여성과 남성의 갈등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청년 남성의 반페미니즘 정서가 지배적이지만, 적지 않은 청년 여성들, 소수의 청 년 남성들이 페미니즘에 한 지식을 축적하며 일상에서의 실천을 통해 사회 전반의 가 부장적 문화와 의식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청년들은 자 신의 선택과 자질, 취향에 부합하는 삶을 제약하는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언어를 페미니 즘을 통해 습득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불가역적인 변 화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이는 청년세 남성과 여성이 가부장적 사회 질서로부터 서 로 다른 방식으로 구속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는 제로 된 페미니즘 교육의 필요 성을 보여준다.

      <이하 원문 확인>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의 사회·정치의식과 새롭게 부상한 ‘젠더 갈등’ 현상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고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청년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패러 다임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의 사회·정치의식과 새롭게 부상한 ‘젠더 갈등’ 현상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고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청년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패러 다임의 청년정책에 한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세는 우리사회에 오랫동안 내재화되어 왔던 뿌리 깊은 문제에 해 기성세 와 비판적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불공정 문제는 그간의 통념과 달리 청년세 보다 기성세가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청년세의 특징으로서 능력주의에 기반한 공 정성 개념이 부각되어 왔는데, 이는 청년세 내에서 성별, 계층별 차이를 간과한 것이라 는 사실도 밝혀냈다. 결과적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 구조 속에서 경쟁을 통한 생존에 유 리한 위치에 있는 남성, 고학력, 중상층 이상 계층의 청년들의 목소리가 과장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젠더 이슈를 둘러싼 인식의 성별 격차가 상적으로 강조되었으나 이처럼 성별화, 계층화된 사회·정치 의식의 특성은 주목받지 못했고 주변화된 청년들의 목소리는 간과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둘째, 온라인 공간에서는 페미니즘에 한 부정적 담론이 ‘보편’의 지위를 획득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공간을 지배하는 담론에서 페미니즘은 여성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사로운 주장으로, 페미니스트는 반사회적인 집단으로,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것은 돈이나 표를 얻기 위해 여성의 편을 드는 부적절한 행위로 평가절하되고 있었다. 남 초/여초 커뮤니티에서 남성과 여성에 한 논의는 립적 양상을 띠고 있지만, 표면적 립을 걷어내고 그 이면에 있는 젠더 관계 인식을 들여다 보면 젠더 질서의 전환기를 갈등 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청년세 남녀의 곤란을 읽어낼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를 통해 청년세 내에서 성차별, 젠더 이슈, 페미니즘을 둘러싼 성별 인 식의 격차가 기성세에서 비해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격차는 서 로 장단점을 가진 양립하기 어려운 가치관의 무조건적 립으로서 ‘젠더 갈등’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 모두의 삶을 제약하고 구속해 왔던 견고한 가부장적 사회질서의 균열의 징 후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청년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성별화 된 규범과 느리게 변화하는 가부장적 사회 질서의 불일치가 청년 여성과 남성의 갈등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청년 남성의 반페미니즘 정서가 지배적이지만, 적지 않은 청년 여성들, 소수의 청 년 남성들이 페미니즘에 한 지식을 축적하며 일상에서의 실천을 통해 사회 전반의 가 부장적 문화와 의식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청년들은 자 신의 선택과 자질, 취향에 부합하는 삶을 제약하는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언어를 페미니 즘을 통해 습득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불가역적인 변 화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이는 청년세 남성과 여성이 가부장적 사회 질서로부터 서 로 다른 방식으로 구속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는 제로 된 페미니즘 교육의 필요 성을 보여준다.

      <이하 원문 확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 gender analysis of social and political consciousness and ‘gender conflict’, within young generation. Through this, it aims to derive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youth's policy of the new paradigm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youth in all areas of socie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characteristic of the youth generation, the concept of fairness based on competency has been emphasized, which has overlooked gender and class differences within the young generation. As a result, voices of the youth who have a favorable survival in the competition have been overrepresen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der gap in perception around gender issues has been relatively emphasized, but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ed and stratified social and political consciousness have not been noticed, and the voices of marginalized youth have been overlooked.
      Second, feminism in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online space was devalued as a private claim for women's own interests, feminists as an antisocial group, and support for feminism as an improper act to side with women for money or votes.
      Controversies over gender issues in female majority or male majority communities seem to be in opposition. However, taking away the surface confrontation and looking at the gender relations perceptions of the female dominant or male dominant communities. we can read the difficulties of young men and women who are experiencing conflict in the transition of gender order.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gender gap in percep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gender issues, and feminism within young generations was greater than in older generations. However, this gap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ncompatible values
      with pros and cons, as a 'gender conflict' but as a sign of a strong patriarchal social order that has constrained and constrained the lives of both women and men.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norms that young people want to escape and the slowly changing patriarchal social order is expressed as a conflict between young women and men. Rather than exaggerating and encouraging surface confrontation, a policy approach is needed to fundamentally reshape the patriarchal gender order.
      Fourth, although anti-feminist sentiment of young men dominates, it should be noted that many young women and a few young men accumulate knowledge of feminism and change patriarchal culture and consciousness throughout society through their daily practice. These young people are leading the flow of irreversible change by acquiring language through feminism and shar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online and offline to explain the reality of limiting life to their own choices, qualities and tastes. It shows the necessity of a proper feminist education to recognize that young men and women are bound in different ways from patriarchal social order.

      <이하 원문 확인>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s a gender analysis of social and political consciousness and ‘gender conflict’, within young generation. Through this, it aims to derive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youth's policy of the new paradigm aimed at im...

      This study conducts a gender analysis of social and political consciousness and ‘gender conflict’, within young generation. Through this, it aims to derive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youth's policy of the new paradigm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youth in all areas of socie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characteristic of the youth generation, the concept of fairness based on competency has been emphasized, which has overlooked gender and class differences within the young generation. As a result, voices of the youth who have a favorable survival in the competition have been overrepresen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der gap in perception around gender issues has been relatively emphasized, but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ed and stratified social and political consciousness have not been noticed, and the voices of marginalized youth have been overlooked.
      Second, feminism in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online space was devalued as a private claim for women's own interests, feminists as an antisocial group, and support for feminism as an improper act to side with women for money or votes.
      Controversies over gender issues in female majority or male majority communities seem to be in opposition. However, taking away the surface confrontation and looking at the gender relations perceptions of the female dominant or male dominant communities. we can read the difficulties of young men and women who are experiencing conflict in the transition of gender order.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gender gap in percep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gender issues, and feminism within young generations was greater than in older generations. However, this gap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ncompatible values
      with pros and cons, as a 'gender conflict' but as a sign of a strong patriarchal social order that has constrained and constrained the lives of both women and men.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norms that young people want to escape and the slowly changing patriarchal social order is expressed as a conflict between young women and men. Rather than exaggerating and encouraging surface confrontation, a policy approach is needed to fundamentally reshape the patriarchal gender order.
      Fourth, although anti-feminist sentiment of young men dominates, it should be noted that many young women and a few young men accumulate knowledge of feminism and change patriarchal culture and consciousness throughout society through their daily practice. These young people are leading the flow of irreversible change by acquiring language through feminism and shar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online and offline to explain the reality of limiting life to their own choices, qualities and tastes. It shows the necessity of a proper feminist education to recognize that young men and women are bound in different ways from patriarchal social order.

      <이하 원문 확인>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부 서론 및 선행연구 검토
      • 2부 청년세대 사회·정치 의식의 집단별 차이
      • 3부 젠더 인식 격차와 변화하는 젠더 관계
      • 4부 포용국가를 위한 청년정책의 방향과 과제
      • 1부 서론 및 선행연구 검토
      • 2부 청년세대 사회·정치 의식의 집단별 차이
      • 3부 젠더 인식 격차와 변화하는 젠더 관계
      • 4부 포용국가를 위한 청년정책의 방향과 과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