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순원, "황순원 전집 1" 문학과 지성사 2014
2 정수현, "황순원 소설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3 장현숙, "황순원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05
4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 책들 2005
5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6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7 한국기호학회, "정념의 세계와 기호학" 2010
8 홍정표, "정념의 기호학과 담화 기호학의 상호보완적 고찰 - 박경리의 『재귀열』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28 : 283-319, 2010
9 Greimas, A. -J., "정념의 기호학" 도서출판 강 2014
10 홍정표, "정념 기호학-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희로애락-"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4
1 황순원, "황순원 전집 1" 문학과 지성사 2014
2 정수현, "황순원 소설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3 장현숙, "황순원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05
4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 책들 2005
5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6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7 한국기호학회, "정념의 세계와 기호학" 2010
8 홍정표, "정념의 기호학과 담화 기호학의 상호보완적 고찰 - 박경리의 『재귀열』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28 : 283-319, 2010
9 Greimas, A. -J., "정념의 기호학" 도서출판 강 2014
10 홍정표, "정념 기호학-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희로애락-"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4
11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II" 민음사 1992
12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I" 한불문화출판 1988
13 홍정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60 : 165-188, 2019
14 Greimas, A. -J.,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15 Arrivé, M., "언어학과정신분석학" 인간사랑 1992
16 한국기호학회, "신체 인문학의 새로운 지형 : 몸, 감각, 미디어" 2013
17 송치만, "신뢰의 계약이 서사적 변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영화 〈마스터〉에서 나타난 계약과 양태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44 : 149-175, 2015
18 박일우, "시각기호학" 북코리아 2019
19 한국기호학회, "소쉬르 사상의 인문학적 유산" 2013
20 Hénault, A., "서사, 일반 기호학" 문학과지성사 2003
21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22 김형효, "메를로 뽕띠와 애매성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6
23 홍정표, "담화 기호학 연구-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37 : 303-336, 2013
24 홍정표, "김승옥의 『서울의 달빛 0장』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48 : 225-248, 2016
25 Hénault, A., "기호학으로의 초대" 어문학사 1997
26 Hénault, A., "기호학사" 한길사 2000
27 Fontanille, J., "기호학과 문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28 서정철, "기호에서 텍스트로" 민음사 1998
29 김성도, "기호, 리듬, 우주" 인간사랑 2007
30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31 Yong Ho Choi, "Three models on the actantial structure : with special regard to Greimas, Coquet and Fontanille"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52 : 161-189, 2017
32 Jeong-Pyo Hong, "Tensive structure of discourse semiotics : mainly on Sunwoo Hwi’s Flames"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52 : 191-216, 2017
33 Fontanille, J., "Tension et signification" Mardaga 1998
34 Greimas, A.–J., "Sémiotique, Dictionnaire raisonné de la théorie du langage" Hachette 1979
35 Fontanille, J., "Sémiotique du visible" P. U. F 1995
36 Fontanille, J., "Sémiotique du discours" PULIM 1999
37 Greimas, A. -J., "Sémantique Structurale" Larousse 1966
38 Fontanille, J., "Soma et Séma, figures du corps" Maisonneuve & Larose
39 Fontanille, J., "Questions de sémiotique" PUF 2002
40 Hjelmslev, L., "Prolégomènes à une théorie du langage" Editions de Minuit 1971
41 Fontanille, J., "Pratiques sémiotiques" PUF 2008
42 Fontanille, J., "Les objets au quotodien" PULIM 2005
43 Fontanille, J., "Les espaces subjectifs introduction à la sémiotique de l’observateur" Hachette 1989
44 Géninasca, J., "La parole littéraire" PHF 1999
45 Hébert, L., "Dispositifs pour l’analyse des textes et des images" PULIM 2009
46 Greimas, A. -J., "De l’imperfection" Panlac 1987
47 Fontanille, J., "Corps et sens" PUF 2011
48 Jeongpyo Hong, "A discourse semiotics analysis on Hwang Sun-won’s short story "Bulls""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56 : 137-15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