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순원의 단편소설 「그늘」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 Discourse semiotics analysis on Hwang Sun-won’s short novel “Sh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2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st century, French semiologiste A. J. Greimas constructed a theory to scientifically analyze texts thereby founding narrative semiotics, and published the Semiotics of Passions in collaboration with his best pupil J. Fontanille. Narrative semiotics and semiotics of passions are structural semiotics, and both studied static systems and universal and abstract structures. In 1999, Fontanille felt limitations in regarding discourses as being static and stationary and considered discourses as being dynamic and active to present discourse semiotics. This semiotics again studied utterance that had been excluded thus far and attached importance to locutionary acts and enunciation. From the viewpoint of active discourses, all studies of semantic actions can be said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with utterance.
      At the phenomenological level, discourse instances carry out activities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discourses, including a few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field, and actants. The first activity is the positioning of the body and is used as the sourse of all actions. The second activity is reference, dissociation and interlocking action. When positioning has been performed in the first stage, the reference acts. The dissociation has the orientation of disjunction while the interlocking action has the orientation of connection. At the rhetorical level, the subject refers to a subject that has with judgment and abstractive power, while the non-subject refers to a subject who cannot act independently. Position actants refer to the source and the target of an action before it becomes a subject or an object, and provides the initial rule and orientation that precede the emergence of a semantic action.
      Shade is a work written by Hwang Soon-w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well depicts the lonely figure of human beings that changed in response to the trend of the times in the dark reality of our nation in 1941. This paper examined the psychological novel Shad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semiotics, focusing on phenomenological and rhetorical dimensions to prove the potential and validity of the theory.
      번역하기

      In the last century, French semiologiste A. J. Greimas constructed a theory to scientifically analyze texts thereby founding narrative semiotics, and published the Semiotics of Passions in collaboration with his best pupil J. Fontanille. Narrative sem...

      In the last century, French semiologiste A. J. Greimas constructed a theory to scientifically analyze texts thereby founding narrative semiotics, and published the Semiotics of Passions in collaboration with his best pupil J. Fontanille. Narrative semiotics and semiotics of passions are structural semiotics, and both studied static systems and universal and abstract structures. In 1999, Fontanille felt limitations in regarding discourses as being static and stationary and considered discourses as being dynamic and active to present discourse semiotics. This semiotics again studied utterance that had been excluded thus far and attached importance to locutionary acts and enunciation. From the viewpoint of active discourses, all studies of semantic actions can be said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with utterance.
      At the phenomenological level, discourse instances carry out activities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discourses, including a few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field, and actants. The first activity is the positioning of the body and is used as the sourse of all actions. The second activity is reference, dissociation and interlocking action. When positioning has been performed in the first stage, the reference acts. The dissociation has the orientation of disjunction while the interlocking action has the orientation of connection. At the rhetorical level, the subject refers to a subject that has with judgment and abstractive power, while the non-subject refers to a subject who cannot act independently. Position actants refer to the source and the target of an action before it becomes a subject or an object, and provides the initial rule and orientation that precede the emergence of a semantic action.
      Shade is a work written by Hwang Soon-w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well depicts the lonely figure of human beings that changed in response to the trend of the times in the dark reality of our nation in 1941. This paper examined the psychological novel Shad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semiotics, focusing on phenomenological and rhetorical dimensions to prove the potential and validity of the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세기에 프랑스의 기호학자 그레마스는 텍스트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을 구축하여 서사 기호학을 창시하였고, 수제자 퐁타닐과 공저로 『정념의 기호학』 을 발간하였다. 서사 기호학과 정념 기호학은 구조 기호학으로 모두 정적인 체계,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구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레마스 사후, 1999년에 퐁타닐은 담화를 정태적이고 고정된 것으로 보는 것에 한계를 느끼고,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것으로 고찰하여 담화 기호학을 발표하였다. 이 기호학은 그동안 배제되었던 발화를 다시연구대상으로 삼고 발화행위와 발화작용에 중요성을 부여하였다. 활동 중인 담화의 관점에서 의미작용의 연구는 모두 발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현상학적 차원에서 담화 현동태는 담화의 실현에 필요한 활동을 수행하는데, 위치, 장, 행위소 등 소수의 특성을 포함한다. 첫 번째 활동은 위치 결정이며, 모든 작용의 기점으로 사용된다. 두 번째 활동은 지시, 분리작용과 연동작용이다. 첫 단계에서 위치 결정이 수행되면 지시가 작동하여 분리작용을 한다. 이 작용은 이접의 방향성을 띠며 연동작용은 연접의 방향성을 띤다. 수사학적 차원에서 주체는 판단력과 추상력을 지닌 주체를 말하며, 비-주체는 자주적 행동을 하지 못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위치 행위소는주체와 대상이 되기 전에 행위의 기점과 목표를 말하는데, 의미작용의 출현에 선행되는 최초의 규칙과 방향을 제공한다. 「그늘」은 황순원이 일제 치하에서 집필한 작품으로, 1941년 우리 민족의 어두운 현실 상황에서 시대의 변화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고독한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담화 기호학 이론이 「그늘」과 같은심리 소설에도 적용가능한지 타진해 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이론의 현상학적 차원과수사학적 차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지난 세기에 프랑스의 기호학자 그레마스는 텍스트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을 구축하여 서사 기호학을 창시하였고, 수제자 퐁타닐과 공저로 『정념의 기호학』 을 발간하였다. 서...

      지난 세기에 프랑스의 기호학자 그레마스는 텍스트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을 구축하여 서사 기호학을 창시하였고, 수제자 퐁타닐과 공저로 『정념의 기호학』 을 발간하였다. 서사 기호학과 정념 기호학은 구조 기호학으로 모두 정적인 체계,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구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레마스 사후, 1999년에 퐁타닐은 담화를 정태적이고 고정된 것으로 보는 것에 한계를 느끼고,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것으로 고찰하여 담화 기호학을 발표하였다. 이 기호학은 그동안 배제되었던 발화를 다시연구대상으로 삼고 발화행위와 발화작용에 중요성을 부여하였다. 활동 중인 담화의 관점에서 의미작용의 연구는 모두 발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현상학적 차원에서 담화 현동태는 담화의 실현에 필요한 활동을 수행하는데, 위치, 장, 행위소 등 소수의 특성을 포함한다. 첫 번째 활동은 위치 결정이며, 모든 작용의 기점으로 사용된다. 두 번째 활동은 지시, 분리작용과 연동작용이다. 첫 단계에서 위치 결정이 수행되면 지시가 작동하여 분리작용을 한다. 이 작용은 이접의 방향성을 띠며 연동작용은 연접의 방향성을 띤다. 수사학적 차원에서 주체는 판단력과 추상력을 지닌 주체를 말하며, 비-주체는 자주적 행동을 하지 못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위치 행위소는주체와 대상이 되기 전에 행위의 기점과 목표를 말하는데, 의미작용의 출현에 선행되는 최초의 규칙과 방향을 제공한다. 「그늘」은 황순원이 일제 치하에서 집필한 작품으로, 1941년 우리 민족의 어두운 현실 상황에서 시대의 변화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고독한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담화 기호학 이론이 「그늘」과 같은심리 소설에도 적용가능한지 타진해 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이론의 현상학적 차원과수사학적 차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순원, "황순원 전집 1" 문학과 지성사 2014

      2 정수현, "황순원 소설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3 장현숙, "황순원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05

      4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 책들 2005

      5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6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7 한국기호학회, "정념의 세계와 기호학" 2010

      8 홍정표, "정념의 기호학과 담화 기호학의 상호보완적 고찰 - 박경리의 『재귀열』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28 : 283-319, 2010

      9 Greimas, A. -J., "정념의 기호학" 도서출판 강 2014

      10 홍정표, "정념 기호학-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희로애락-"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4

      1 황순원, "황순원 전집 1" 문학과 지성사 2014

      2 정수현, "황순원 소설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3 장현숙, "황순원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05

      4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 책들 2005

      5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6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7 한국기호학회, "정념의 세계와 기호학" 2010

      8 홍정표, "정념의 기호학과 담화 기호학의 상호보완적 고찰 - 박경리의 『재귀열』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28 : 283-319, 2010

      9 Greimas, A. -J., "정념의 기호학" 도서출판 강 2014

      10 홍정표, "정념 기호학-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희로애락-"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4

      11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II" 민음사 1992

      12 Benveniste, 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I" 한불문화출판 1988

      13 홍정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60 : 165-188, 2019

      14 Greimas, A. -J.,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15 Arrivé, M., "언어학과정신분석학" 인간사랑 1992

      16 한국기호학회, "신체 인문학의 새로운 지형 : 몸, 감각, 미디어" 2013

      17 송치만, "신뢰의 계약이 서사적 변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영화 〈마스터〉에서 나타난 계약과 양태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44 : 149-175, 2015

      18 박일우, "시각기호학" 북코리아 2019

      19 한국기호학회, "소쉬르 사상의 인문학적 유산" 2013

      20 Hénault, A., "서사, 일반 기호학" 문학과지성사 2003

      21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4

      22 김형효, "메를로 뽕띠와 애매성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6

      23 홍정표, "담화 기호학 연구-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37 : 303-336, 2013

      24 홍정표, "김승옥의 『서울의 달빛 0장』 대한 담화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48 : 225-248, 2016

      25 Hénault, A., "기호학으로의 초대" 어문학사 1997

      26 Hénault, A., "기호학사" 한길사 2000

      27 Fontanille, J., "기호학과 문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28 서정철, "기호에서 텍스트로" 민음사 1998

      29 김성도, "기호, 리듬, 우주" 인간사랑 2007

      30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31 Yong Ho Choi, "Three models on the actantial structure : with special regard to Greimas, Coquet and Fontanille"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52 : 161-189, 2017

      32 Jeong-Pyo Hong, "Tensive structure of discourse semiotics : mainly on Sunwoo Hwi’s Flames"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52 : 191-216, 2017

      33 Fontanille, J., "Tension et signification" Mardaga 1998

      34 Greimas, A.–J., "Sémiotique, Dictionnaire raisonné de la théorie du langage" Hachette 1979

      35 Fontanille, J., "Sémiotique du visible" P. U. F 1995

      36 Fontanille, J., "Sémiotique du discours" PULIM 1999

      37 Greimas, A. -J., "Sémantique Structurale" Larousse 1966

      38 Fontanille, J., "Soma et Séma, figures du corps" Maisonneuve & Larose

      39 Fontanille, J., "Questions de sémiotique" PUF 2002

      40 Hjelmslev, L., "Prolégomènes à une théorie du langage" Editions de Minuit 1971

      41 Fontanille, J., "Pratiques sémiotiques" PUF 2008

      42 Fontanille, J., "Les objets au quotodien" PULIM 2005

      43 Fontanille, J., "Les espaces subjectifs introduction à la sémiotique de l’observateur" Hachette 1989

      44 Géninasca, J., "La parole littéraire" PHF 1999

      45 Hébert, L., "Dispositifs pour l’analyse des textes et des images" PULIM 2009

      46 Greimas, A. -J., "De l’imperfection" Panlac 1987

      47 Fontanille, J., "Corps et sens" PUF 2011

      48 Jeongpyo Hong, "A discourse semiotics analysis on Hwang Sun-won’s short story "Bulls"" Korean Association for Semiotic Studies 56 : 137-15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miotic inquiry -> Semiotic Inquir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1.3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