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개의 액자--이야기로 들어가는 현실, 현실로 걸어나오는 이야기 불경의 액자는 그 틀을 이루는 외부이야기가 내부 이야기에 흡수되는 불경고사의 경우 발화가 이루어지는 지금, 이곳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0407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두개의 액자--이야기로 들어가는 현실, 현실로 걸어나오는 이야기 불경의 액자는 그 틀을 이루는 외부이야기가 내부 이야기에 흡수되는 불경고사의 경우 발화가 이루어지는 지금, 이곳에 ...
1) 두개의 액자--이야기로 들어가는 현실, 현실로 걸어나오는 이야기
불경의 액자는 그 틀을 이루는 외부이야기가 내부 이야기에 흡수되는 불경고사의 경우 발화가 이루어지는 지금, 이곳에 비해 내부 이야기가 더욱 분명한 현실성을 갖게 된다. 그것은 지금이 자리의 탐욕, 분노, 어리석음과 그것을 극복한 옛날 이야기를 대비시킴으로써 이것을 버리고 저것을 취하도록 하라는 애초의 설법취지를 잘 구현한 구조가 된다.
이에 비해 이야기의 앞과 뒤로 두꺼운 액자의 틀이 둘러쳐진 <월하소경>의 경우 내부 이야기는 외부로 흘러나와 현실에 흡수된다. 과거 어느 곳에서 분명히 있던 이야기이지만 그로 인해 지금 이곳의 현실이 부정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작가의 다양한 서사전략에 의해 과거의 이야기는 지금의 현실이 되는 것이다. 중국과 중국인의 오늘을 이야기해야 하는 현대작가로서 심종문에게 가치있는 것은 현실로 가져올 수 있는(拿來) 것들이었다. 공간적으로 벽지 묘족의 삶이 그것이었고, 시간적으로 불경고사들의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었다. 현재의 중국에 구원의 계기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색하던 심종문에게 이러한 구조는 적절한 것이었음에 틀림없다.
2) 주제의식의 변화--부정의 出世와 긍정의 入世
심종문의 불경고사 개작의 핵심에는 주제의식의 변화가 들어있다. 불경의 고사는 탐진치를 극복하거나 수행주제를 충실히 완수한 예등을 들어 청중을 변화시키는 목적으로 설해졌다. 따라서 그 주제의식은 현재를 부정함으로써 세간의 얽매임으로부터 벗어나는데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세상에 대한 염오심과 이를 통한 세간으로부터의 벗어남이라는 불경의 주제는 심종문의 손을 거쳐 어떠한 이상의 추구도 생명력 넘치는 삶에 비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완전히 바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