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man(1975:1-2)은 음성학의 목표는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자기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speaker가 배워야만 하거나 내재화 시켜 버려야 할 음성체계의 속성들을 연구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Hyman(1975:1-2)은 음성학의 목표는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자기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speaker가 배워야만 하거나 내재화 시켜 버려야 할 음성체계의 속성들을 연구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래...
Hyman(1975:1-2)은 음성학의 목표는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자기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speaker가 배워야만 하거나 내재화 시켜 버려야 할 음성체계의 속성들을 연구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래서 어떤 언어의 음운체계에 접근해 갈 때는 그 음성들의 물리적 속성들, 즉 이 음성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리고 이들의 음향적인 상호관계들은 어떠한 것들인가. 뿐만 아니라, 또한 이들 음들의 문법적인 속성들도 연구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조음음성학적인 측면에서만 발음지도방법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품사론, 문장론과 함께 음운론이 문법의 일부가 되어 있으므로, 특히 생성음운론에 이제 그 방향을 돌려서 실제 발음지도상의 문제해결점을 모색해 나가도록 해야 할 단계에 이르는 것이라 생각된다.
오늘날 중․고교 영어 교육의 성패는 대학 입시에서 판가름 되고 지도교사의 학습지도 평가는 그 입시 결과로 채점되어 지고 있다는 극단적인 견해가 일부에서 나오고 있는 실정 하에서, 문제는 현장교육에 임하고 있는 영어교사들의 발음지도에 임하는 실지 행동이 문제인 것으로, 그들이 과연 새 교과서의 편집의도를 충분히 납득하고 있으며 또 그 편집의도대로 학습지도를 잘 해 나가고 있는가에 따라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있어서 발음지도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보겠다.
그러므로 현시점에서 무엇보다도 요청되어 지고 있는 점은 영어교사들이 본론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잘 이해하고 또 이것을 그들의 발음지도에 점차 반영해 나가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외국어 교육이라는 그 특성 때문에 중․고교 영어 교육과 대학에서의 영어교육과의 계속 되어져야 하는 일관성으로 말미암아 이러한 발음지도상의 문제는 비단 중․교교측만의 것이 아니며 대학측과의 공동의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선 현실적인 문제로 대학입시 문제의 출제경향을 통해서 다소나마 위에서 언급한 발음지도상의 문제점을 유도해 나갈 수도 있겠으나 이것은 극히 소극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결국 중ㆍ교교측과 대학측의 영어교육상의 유대를 강화해 나가는 방법을 모색해 내어, 중학교부터 대학까지 영어발음지도 문제뿐만이 아니고 전반적인 영어교육에 일관성 있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노력해야 할 시기가 이제는 온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