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치수,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82
2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 편 2권" 인물과사상사 2004
3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 1960년대 편 3권" 인물과사상사 2004
4 김태길, "파이오니어로서의 姿勢-大學生과 모랄의 改造" 1962
5 박대현,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419-444, 2012
6 황호덕, "청년, 그 이상의 이념을 생각한다:超世代論序說" 235-249, 2003
7 최현, "시장인간의 형성: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저항"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1) : 157-195, 2011
8 이상록, "산업화시기 ‘출세’·‘성공’ 스토리와 발전주의적 주체 만들기- 박정희 체제에서 탄생한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28 : 43-93, 2017
9 김주연, "변동사회와 작가" 문학과지성사 1979
10 최진석, "무용지물(無用之物): 쓸모없음의 쓸모" 180-186, 2017
1 김치수,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82
2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 편 2권" 인물과사상사 2004
3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 1960년대 편 3권" 인물과사상사 2004
4 김태길, "파이오니어로서의 姿勢-大學生과 모랄의 改造" 1962
5 박대현,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419-444, 2012
6 황호덕, "청년, 그 이상의 이념을 생각한다:超世代論序說" 235-249, 2003
7 최현, "시장인간의 형성: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저항"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1) : 157-195, 2011
8 이상록, "산업화시기 ‘출세’·‘성공’ 스토리와 발전주의적 주체 만들기- 박정희 체제에서 탄생한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28 : 43-93, 2017
9 김주연, "변동사회와 작가" 문학과지성사 1979
10 최진석, "무용지물(無用之物): 쓸모없음의 쓸모" 180-186, 2017
11 송태욱, "르네상스인 김승옥" 앨피 2005
12 노지승, "대학생과 건달, 김승옥 소설과 청춘 영화에 나타난 1960년대 청년 표상" 한국현대문학회 (22) : 387-443, 2007
13 진고응, "노장신론" 소나무 1997
14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문학동네 2004
15 이상록,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그린비 2006
16 장이욱, "권두언:청년의 정열" 1960
17 이상록,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 만들기 ― 4·19~5·16시기 혁명의 전유를 둘러싼 경합과 전략들"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15-158, 2011
18 이택용, "『노자』의 無爲에 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회 (72) : 127-166, 2012
19 소영현, "4.19와 모더니티" 문학과지성사 2010
20 김경민, "1970-80년대 서발턴의 자전적 글쓰기 연구 - 노동자 농민 수기의 서사구조와 욕망의 메커니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17): 1-34, 2016
21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 천년의 상상 2012
22 김영삼, "1960년대 소설의 정치철학적 연구" 전남대 2015
23 이호규, "1960년대 서사에 나타나는 ‘청년’ 표상의 조건과 선택" 대중서사학회 23 (23): 453-486,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