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가능성 탐색: 리좀 이론과의 융복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2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율주행 시대의 차량 실내공간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차량 실내 공간은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고정된 형식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자율주행 5단계에서는 안전에 대한 개념이 바뀌면서, 실내 공간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수용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리좀 이론은 ‘연계’나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비기하학적 구조로, 최근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려는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좀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의 디자인 가능성 탐색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리좀 이론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 선행연구와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콘셉트 디자인을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을 리좀 이론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에 적용이 가능한지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주행시대의 실내공간은 경험과 관계위주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둘째, 리좀 이론은 연계와 관점으로 해석된 공간디자인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셋째, 자동차 개발 목적에 따라 공간 구성 요소와 리좀 원리를 기반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에서 기능과 사용성에 따라 실내공간을 이루는 다양한 하드웨어와 연계하여 사용자 동선, 경험 그리고 감성이 복합적으로 소통 할 수 있는 공간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미래 자율주행 시대에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내공간 디자인을 ‘연계’와 ‘관계’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5G통신과 같은 첨단기술과의 연결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기반으로 경험과 감성이 고려된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콘셉트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율주행 시대의 차량 실내공간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차량 실내 공간은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고정된 형식의 공간이었다. ...

      본 연구는 ‘자율주행 시대의 차량 실내공간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차량 실내 공간은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고정된 형식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자율주행 5단계에서는 안전에 대한 개념이 바뀌면서, 실내 공간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수용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리좀 이론은 ‘연계’나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비기하학적 구조로, 최근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려는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좀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의 디자인 가능성 탐색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리좀 이론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 선행연구와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콘셉트 디자인을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을 리좀 이론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에 적용이 가능한지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주행시대의 실내공간은 경험과 관계위주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둘째, 리좀 이론은 연계와 관점으로 해석된 공간디자인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셋째, 자동차 개발 목적에 따라 공간 구성 요소와 리좀 원리를 기반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에서 기능과 사용성에 따라 실내공간을 이루는 다양한 하드웨어와 연계하여 사용자 동선, 경험 그리고 감성이 복합적으로 소통 할 수 있는 공간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미래 자율주행 시대에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내공간 디자인을 ‘연계’와 ‘관계’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5G통신과 같은 첨단기술과의 연결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기반으로 경험과 감성이 고려된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콘셉트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question, ‘How will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chang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as a fixed form of space for the safe movement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However, as the concept of safety changes, the autonomous vehicle’s interior space should be designed to accommodate various users and provide better driving experiences.
      Rhizome theory is a non-geometric structure form based on ‘linkage’ or ‘relationship’, and being applied to spatial design in a recent stud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gn possibilities of interior space that can reflect various user experiences by applying the Rhizome theory.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ior spac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needs a design focused on experience and relations. Second, the rhizome theory can be the basis of spatial design interpreted in terms of connection and perspective. Third, if a guideline is proposed based on spatial elements and rhizome principl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vehicle development, user movement, experience, and emotion are complex in connection with various hardware that make up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usability in the indoor space of an autonomous vehic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space where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utonomous vehicle’s interior space design, which is expected to be highlighted in the near future autonomous driving era, will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nection’ and ‘relationship’ to discover design concept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tate of the art technolo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ety.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question, ‘How will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chang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as a fixed form of space for the safe movement of the driver and passe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question, ‘How will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chang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was a fixed form of space for the safe movement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However, as the concept of safety changes, the autonomous vehicle’s interior space should be designed to accommodate various users and provide better driving experiences.
      Rhizome theory is a non-geometric structure form based on ‘linkage’ or ‘relationship’, and being applied to spatial design in a recent stud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gn possibilities of interior space that can reflect various user experiences by applying the Rhizome theory.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ior spac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needs a design focused on experience and relations. Second, the rhizome theory can be the basis of spatial design interpreted in terms of connection and perspective. Third, if a guideline is proposed based on spatial elements and rhizome principl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vehicle development, user movement, experience, and emotion are complex in connection with various hardware that make up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usability in the indoor space of an autonomous vehic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space where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utonomous vehicle’s interior space design, which is expected to be highlighted in the near future autonomous driving era, will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nection’ and ‘relationship’ to discover design concept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tate of the art technolo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리좀 이론의 개념
      • Ⅲ. 자율주행 차량의 실내 디자인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리좀 이론의 개념
      • Ⅲ. 자율주행 차량의 실내 디자인
      • Ⅳ. 자율주행 차량 실내공간과 리좀
      • Ⅴ.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주영,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 설계를 위한 문헌연구 기반의 실내행위 분석 및 유형화"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3 (13): 5-20, 2018

      2 김철중, "문화매개공간으로서 장터의 리좀적 공간특성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1 (11): 29-38, 2016

      3 이원재, "리좀의 6원리를 통해 본 가변적 아이덴티티 디자인"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6 (16): 37-55, 2017

      4 안현정, "리좀 특성이 반영된 하이퍼텍스트스페이스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63-73, 2011

      5 이지희, "리좀 개념에서 본 옥상정원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49-158, 2014

      6 김형자, "공유공간에 나타난 리좀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21-34, 2017

      7 권주영, "감성적 경험을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21 (21): 17-34, 2018

      8 "https://www.theverge.com/2018/9/5/17822398/volvos -360c-concept-autonomous-car-electric-future"

      9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428692/"

      10 "https://www.caradvice.com.au/426185/bentley-previ ews-future-of-luxury-with-2036-interior-design/"

      1 권주영,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 설계를 위한 문헌연구 기반의 실내행위 분석 및 유형화"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3 (13): 5-20, 2018

      2 김철중, "문화매개공간으로서 장터의 리좀적 공간특성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1 (11): 29-38, 2016

      3 이원재, "리좀의 6원리를 통해 본 가변적 아이덴티티 디자인"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6 (16): 37-55, 2017

      4 안현정, "리좀 특성이 반영된 하이퍼텍스트스페이스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63-73, 2011

      5 이지희, "리좀 개념에서 본 옥상정원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49-158, 2014

      6 김형자, "공유공간에 나타난 리좀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21-34, 2017

      7 권주영, "감성적 경험을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21 (21): 17-34, 2018

      8 "https://www.theverge.com/2018/9/5/17822398/volvos -360c-concept-autonomous-car-electric-future"

      9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428692/"

      10 "https://www.caradvice.com.au/426185/bentley-previ ews-future-of-luxury-with-2036-interior-design/"

      11 "https://www.alliedmarketresearch.com/autonomousvehicle-market"

      12 Thrift, Nigel, "Non-representational Theory : Space, Politics, Affect" Nigel Thrift 2007

      13 KPMG Internations, "Mobility 2030: Transforming the Mobility Landscape" 2019

      14 Van Der Beek, Sanne, "From Representation to Rhizome: Open Design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15 (15): 2012

      15 Here, "Consumer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s" 2017

      16 MRCangney, "Autonomous Vehicles : Research Report" 2017

      17 O'Sullivan, S, "Art Encounters Deleuze and Guattari. Renewing Philosophy" Palgrave Macmillan 2005

      18 Deleuze, Gilles, "A Thousand Plateau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