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영조의 세손(정조)에 대한 교육이 전개되는 양상과 의미를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당초 영조는 『소학』과 『동몽선습』을 통해 원손 교육을 세자교육에 연동하였는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03825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1-195(45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영조의 세손(정조)에 대한 교육이 전개되는 양상과 의미를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당초 영조는 『소학』과 『동몽선습』을 통해 원손 교육을 세자교육에 연동하였는데...
본고는 영조의 세손(정조)에 대한 교육이 전개되는 양상과 의미를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당초 영조는 『소학』과 『동몽선습』을 통해 원손 교육을 세자교육에 연동하였는데, 이것은 代理聽政을 시작한 세자의 위상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의소세손의 사후 새로이 태어난 원손(정조)의 교육에도 이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사도세자 사후 세손(정조)이 후계자가 되면서 변화를 보였다. 영조는 대리청정으로 중단한 경연을 동왕 32년 재개하였는데, 이때의 경연에서는 『대학』강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영조는 『대학』의 君師 이념에 주목하고, 그 구체적인 의미를 明德을 갖추고 이를 주도적으로 구현하는 것에서 찾았다.
사도세자의 사후에는 敎化와 安民을 실현하는 군사의 책무를 강조하는 聖學 수련상징으로 『대학』과 『성학집요』의 수련과 연계하였다. 이를 통하여 『성학집요』를 처음으로 진강한 숙종에서 영조-세손으로 이어지는 ‘三代’의 왕통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King Yeongjo educated his own grandson(later Jeongjo), and what was the meaning behind such act, in terms of the teachings of Classical Confucian text Daehak. Yeongjo taught his grandson with Sohak and Dongmong Seonseub...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King Yeongjo educated his own grandson(later Jeongjo), and what was the meaning behind such act, in terms of the teachings of Classical Confucian text Daehak. Yeongjo taught his grandson with Sohak and Dongmong Seonseub, and by doing so he performed the education of the young grandson as he was training his own Crown-prince son. This was to publicly uplift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who just initiated the Overseeing of governance[代理聽政]. After Crown prince Sado died, Yeongj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aehak and declared that he was teaching his grandson the teachings of the sages[聖學], and let the public behold his own efforts as a Master King[君師], trying to enlighten[敎化] and pacify[安民] his subjec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泰鎭, "李晦齋의 思想과 그 世界" 大同文化硏究叢書 1992
2 "列聖朝繼講冊子次第"
3 "列聖御製"
4 윤정, "조선후기 政界의 鄭仁弘인식과 그 정치적 함의" 진단학회 (100) : 53-84, 2005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선왕실의 책" 2002
6 육수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동양고전학회 (44) : 313-350, 2011
7 윤 정, "조선 世祖代『訓辭』편찬의 정치사상적 의미" (108) : 2002
8 金文植, "정조의 제왕학과『大學類義』편찬" (21) : 1998
9 윤정, "정조의 세자 책례(冊禮) 시행에 나타난 ‘군사(君師)’ 이념" 인문학연구원 (57) : 271-298, 2007
10 윤정, "재위 전반기(1725∼1746) 英祖의 군신관계 이해 ―‘君臣分義’論의 적용과 지향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9) : 99-138, 2007
1 李泰鎭, "李晦齋의 思想과 그 世界" 大同文化硏究叢書 1992
2 "列聖朝繼講冊子次第"
3 "列聖御製"
4 윤정, "조선후기 政界의 鄭仁弘인식과 그 정치적 함의" 진단학회 (100) : 53-84, 2005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선왕실의 책" 2002
6 육수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동양고전학회 (44) : 313-350, 2011
7 윤 정, "조선 世祖代『訓辭』편찬의 정치사상적 의미" (108) : 2002
8 金文植, "정조의 제왕학과『大學類義』편찬" (21) : 1998
9 윤정, "정조의 세자 책례(冊禮) 시행에 나타난 ‘군사(君師)’ 이념" 인문학연구원 (57) : 271-298, 2007
10 윤정, "재위 전반기(1725∼1746) 英祖의 군신관계 이해 ―‘君臣分義’論의 적용과 지향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9) : 99-138, 2007
11 윤정, "영조의 慶熙宮改號와 移御의 정치사적 의미 - 思悼世子賜死와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 -" 서울학연구소 (34) : 31-63, 2009
12 윤정, "숙종대 聖學輯要 進講의 경위와 의미- 숙종 정국 운영방식의 일단면 -" 경남문화연구원 (21) : 207-239, 2006
13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2007
14 "顯宗實錄"
15 윤정, "英祖의 三相追復과 ‘善述’이념 : 영조 정치사상의 일 단면" 116 : 2004
16 윤정, "英祖의 『聖學輯要』 이해와 君師 이념" 부산경남사학회 (66) : 55-92, 2008
17 윤정, "英祖의 <聖學輯要> 進講과 정책적 활용 - 蕩平,均役,濬川과의 상관성-"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303-336, 2006
18 鄭景姬, "英祖後半期(1749년~1776년) 經筵과 英祖의 義理論强化" (162) : 1999
19 "英祖實錄"
20 鄭景姬, "英祖前半期(1724~1748년) 중앙학계와 英祖의 性理學이해" (103) : 1998
21 鄭萬祚, "英祖代初半의 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 : 蕩平基盤의 成立에 이르기까지" (56) : 1983
22 鄭萬祚, "英祖代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 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으로의 轉換" (111) : 1986
23 "肅宗實錄"
24 윤 정, "肅宗-英祖代의 세자 교육과 『小學』 : 奎章閣소장 『소학』관련 서적의 분석" (27) : 2004
25 "聖學輯要"
26 "童蒙先習"
27 "王世孫會講"
28 윤정, "正祖의 『大學類義』편찬과 『聖學輯要』" 경남문화연구원 (23) : 343-389, 2007
29 "正祖實錄"
30 金伯哲, "朝鮮後期英祖代蕩平政治의 이념과 周禮" 51 : 2005
31 池斗煥, "朝鮮後期英祖代經筵科目의 變遷: 朝鮮性理學확립과 관련하여" (81) : 1996
32 윤 정, "朝鮮中宗·英祖代『大學衍義補』進講의 의미" (24) : 2001
33 "景宗實錄"
34 손계영, "敎命의 형태 연구 : 藏書閣所藏懿昭世孫琔世孫冊封敎命과 慶嬪金氏揀嬪冊封敎命을 중심으로" 11 : 2004
35 "承政院日記"
36 "御製讀書錄"
37 "御製祖孫同講大學"
38 "御製書示世孫"
39 "小學諸家集註"
40 "實錄形止案"
41 "宮闕志"
42 鄭景姬, "君師英祖의 性理學진흥책" 1999
43 金文植, "君師正祖의 敎育政策硏究" (23) : 2000
44 "世宗實錄"
45 李銀順, "18세기 老論一黨專制의 成立過程: 辛壬士禍와 闡昭義鑑의 論理를 중심으로" (110) : 1986
46 윤정, "16세기 사단칠정 논쟁의 정치사적 함의" 역사실학회 (49) : 51-88, 2012
47 "(正祖)世孫冊封敎命"
48 "(懿昭)世孫冊封敎命"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9 | 1.438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