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재판소가 인식한 교육법정주의 법리의 비판적 고찰 = Critical Analysi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6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itical Analysi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Sohn, Heekwon(Myongji University)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 critical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court defined this legalism as the stipulation of educational essence in the act and the provision of the state’s power over, duty of, and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democracy. However,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subject of the power and duty should be limited to the state?Second, the court considered the promotion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education, the realiz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principles by education, the effective assurance of the right to ability-based equal education, and the maintenance of the autonomy and neutrality of education as the functions of the legalism of education. It is appropriate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his legalism.Third, the Constitution demands the stipulation of the fundamental part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operation, education finance, and the educator’s status in the act. Also, whether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is controversial. I think that it should be so considering the definition and internal limitations of educational autonomy and for the assurance of educational neutrality. Whether the educator’s rights and dutie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is another issue. I think that they should be so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he educator’s legal status but only within the limit of the effective assurance of the right to education.Last, the court not only gave the congress wide latitude in deciding wha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but also set the certain limits. Also, the court judged these limits differently by the issue, by the case, and even by the Justice.
      번역하기

      Critical Analysi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Sohn, Heekwon(Myongji University)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 critically. The ma...

      Critical Analysi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Sohn, Heekwon(Myongji University)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 critical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court defined this legalism as the stipulation of educational essence in the act and the provision of the state’s power over, duty of, and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democracy. However,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subject of the power and duty should be limited to the state?Second, the court considered the promotion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education, the realiz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principles by education, the effective assurance of the right to ability-based equal education, and the maintenance of the autonomy and neutrality of education as the functions of the legalism of education. It is appropriate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his legalism.Third, the Constitution demands the stipulation of the fundamental part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operation, education finance, and the educator’s status in the act. Also, whether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is controversial. I think that it should be so considering the definition and internal limitations of educational autonomy and for the assurance of educational neutrality. Whether the educator’s rights and dutie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is another issue. I think that they should be so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he educator’s legal status but only within the limit of the effective assurance of the right to education.Last, the court not only gave the congress wide latitude in deciding wha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but also set the certain limits. Also, the court judged these limits differently by the issue, by the case, and even by the Jus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재판소가 인식한 교육법정주의의 법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첫째, 교육법정주의의 개념은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과 형성을 위한 본질적인 사항을 법률로 정하고 교육에 관한 국가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법정주의의 기능은 교육이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의 촉진, 교육을 통한 한국 헌법의 기본원리의 구현, 모든 국민의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효성있는 보장, 그리고 교육의 자주성 및 중립성의 유지이다. 셋째, 헌법은 교육법정주의의 내용으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그리고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있고 교육의 자주성 및 중립성 보장이라는 헌법적 요청 및 교육법정주의의 기능을 고려할 때 교육제도에 교육내용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교원의 지위의 개념을 고려할 때 교원의 지위에 교원의 신분보장 및 의무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나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효성있는 보장이라는 한계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헌법재판소는 쟁점별로 교육법정주의의 한계를 판단하는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재판소가 인식한 교육법정주의의 법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첫째, 교육법정주의의 개념은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과 형성을 위한 본질적인 사항을 법률로...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재판소가 인식한 교육법정주의의 법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첫째, 교육법정주의의 개념은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과 형성을 위한 본질적인 사항을 법률로 정하고 교육에 관한 국가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법정주의의 기능은 교육이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의 촉진, 교육을 통한 한국 헌법의 기본원리의 구현, 모든 국민의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효성있는 보장, 그리고 교육의 자주성 및 중립성의 유지이다. 셋째, 헌법은 교육법정주의의 내용으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그리고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있고 교육의 자주성 및 중립성 보장이라는 헌법적 요청 및 교육법정주의의 기능을 고려할 때 교육제도에 교육내용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교원의 지위의 개념을 고려할 때 교원의 지위에 교원의 신분보장 및 의무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나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효성있는 보장이라는 한계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헌법재판소는 쟁점별로 교육법정주의의 한계를 판단하는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교육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5 2.25 2.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7 1.68 2.64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