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발해 유물 중 고누판 및 고누알을 통해 동아시아 교류상을 확인하고 나아가 발해의 ‘고누 길’(Gonu-road) 상정을 위한 접근이다. 우선 몽골의 거란 도성인 ‘친톨고이’(Chintolgoi)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63070
2014
Korean
고누길 ; 고누판 ; 고누알 ; 渤海 ; 염주성(크라스키노성) ; 하르-발가스 유적 ; 남북국사 ; Gonu Road ; Gonu board ; Gonu pieces ; Balhae Dynasty(渤海) ; Kraskino castle(鹽州城) ; Xara-balgas(Mongolia) ; A history of Nambukguk(南北國史)
380
KCI등재
학술저널
7-39(33쪽)
8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발해 유물 중 고누판 및 고누알을 통해 동아시아 교류상을 확인하고 나아가 발해의 ‘고누 길’(Gonu-road) 상정을 위한 접근이다. 우선 몽골의 거란 도성인 ‘친톨고이’(Chintolgoi) ...
이 논문은 발해 유물 중 고누판 및 고누알을 통해 동아시아 교류상을 확인하고 나아가 발해의 ‘고누 길’(Gonu-road) 상정을 위한 접근이다. 우선 몽골의 거란 도성인 ‘친톨고이’(Chintolgoi) 유적과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발해 ‘鹽州’(Kraskino) 성 발굴 비교를 통해 발해유민이 연계가되어 발해문화의 파급을 상정할 수 있었다. 이들 비교 연구에서 주목한 것이 2004년 염주성에서 발굴된 고누판이었다. 이 고누판의 사용 시기는 그 하한이 9세기 초였다.
고누판의 분석을 통해 염주성 출토 고누판은 역시 한국의 전통적인 ‘참고누판’으로 그 분포는 제주도에서부터 개성 만월대, 그리고 황해남도를 거쳐, 두만강 건너에 위치한 발해 염주성(크라스키노 성)에까지 이른 것을 확인하였다. 발해 염주성의 고누판은 한국의 유물로는 현재 신라의 고누판과 더불어 시기가 가장 올라가는 것이다. 최근의 발굴 성과를 통해 이러한 고누판은 제주도의 ‘항파두리’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는데 그 편년은 13세기경이다. 이외에도 현재 중원 지역과 몽골국 내에서도 다수 출토되었으며 특히 몽골국의 거란 도성인 ‘하르-발가스’ 성의 고누판은 중원의 것과 더불어 10세기 이후의 편년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누와 고누판의 성격을 반영한 ‘고누 길’(Gonu-road) 설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누길’의 설정은 이른바 ‘남북국사’(南北國史)의 새로운 연구 주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사에서 7세기부터 10세기는 신라와 발해가 남과 북의 두 나라 형세로 발전하였던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로 명명하지만, 이에 걸맞은 실증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번에 분석한 연해주 염주성 출토 ‘(참)고누판’은 남북국사의 고리를 이어주는 실물자료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Gonu-Road” of Balhae Dinasty and to verify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and Balhae Dinasty. By comparing the Khitan Chintolgoi castle site in Mongolia and Balhae Kraskino cast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Gonu-Road” of Balhae Dinasty and to verify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and Balhae Dinasty.
By comparing the Khitan Chintolgoi castle site in Mongolia and Balhae Kraskino castle site (鹽州) in Russian territory,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Balhae Diaspora is coherently linked to the spread of Balhae culture. Thus,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Gonu board from the excavation at Kraskino castle (鹽州) in 2004. And the time limit is the early 9th century.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nu board in Kraskino castle (鹽州) region, the Gonu board of Kraskino castle (鹽州) are just the same as the antiqu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game ‘Cham-Gonu board’, which was a popular game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e distribution ranges from Jeju Island, South Hwanghae Province to Kraskino castle (鹽州). Kraskino castle (鹽州)’s Gonu board was the oldest Gonu board, along with the Silla Dynasty’s Gonu board. The recently excavated Hangpaduri in Jeju Island remains is around the 13th century. Both of the Gonu boards from the ancient castle in China province and ‘Xara-balgas’ castle in Mongolia may had been used since the 10th century.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and introduces a concept of ‘Gonu-Road’ which reflects the features of Gonu and Gonu board.
This concept itself could become a new position of a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History of Nambukguk(南北國史). And that repers to a view that considers Balhae Dynasty as a part of Korean history. Korean History considers the period from the 7th century to 10th century as North South States Period, which refers to the situation where Balhae Dynasty and Silla Dynasty developed respectively in north and south.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data to demonstrate this view. Therefore, Gonu board of Kraskino castle (鹽州) should be reevaluated as a substantial data that can fill in gaps in South-North Korean hist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제일성에 새겨진 고누판" 전라금석문연구회 (6) : 2006
2 송기호, "해외 유적과 연해주 조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3 장장식, "한국과 몽골의 판놀이 연구-고누형 판놀이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38 (38): 205-240, 2009
4 박원길, "한국 몽골 교류사 연구"
5 S.Choluun, "한․몽관계의 어제와 오늘" 동북아역사재단 2010
6 김은국, "한․몽 발해유적과 고누 길" 동북아역사재단 2014
7 장장식, "한․몽 민속문화의 비교" 민속원 2002
8 체벤도르지, "한․몽 관계의 어제와 오늘"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장장식, "한·몽 ‘고누’놀이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회 22 : 2002
10 В. Болдин, "크라스키노 성터에서 발견된 기와 벽실 유적" 3 : 2005
1 "호남제일성에 새겨진 고누판" 전라금석문연구회 (6) : 2006
2 송기호, "해외 유적과 연해주 조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3 장장식, "한국과 몽골의 판놀이 연구-고누형 판놀이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38 (38): 205-240, 2009
4 박원길, "한국 몽골 교류사 연구"
5 S.Choluun, "한․몽관계의 어제와 오늘" 동북아역사재단 2010
6 김은국, "한․몽 발해유적과 고누 길" 동북아역사재단 2014
7 장장식, "한․몽 민속문화의 비교" 민속원 2002
8 체벤도르지, "한․몽 관계의 어제와 오늘"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장장식, "한·몽 ‘고누’놀이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회 22 : 2002
10 В. Болдин, "크라스키노 성터에서 발견된 기와 벽실 유적" 3 : 2005
11 V.I. 볼딘, "크라스키노 성터 연구사" 고구려연구재단 2005
12 E.I.겔만, "크라스키노 성의 성격과 조사의 역사,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3
13 김은국, "크라스키노 발해성 발굴조사 성과"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14 장장식, "참고누 도판의 현존 상황과 의미" 한국암각화학회 16 : 2012
15 濟州考古學硏究所,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2차) 보고서" 제주고고학연구소 2013
16 동북아역사재단,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3년도 발굴조사" 2014
17 동북아역사재단,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2013
18 정석배,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고구려발해학회 40 : 109-157, 2011
19 名古屋市,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푸른역사 2005
20 장장식, "비교문화사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몽골의 민속" 한국몽골학회 (30) : 88-118, 2011
21 김은국, "발해의 환동해 교류와 연해주" 백산학회 (97) : 203-236, 2013
22 N. N. Kradin, "몽골지역 거란 유적 조사현황"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23 G. 에렉젠, "몽골의 역사와 문화" 서경문화사 2006
24 A. Enkhtur, "몽골국내 거란시대 城市의 典型性에 대하여, 거란 연구의 현황과 연구 방향" 2009
25 A. 오치르, "몽골국 내 발해 고고유적" 동북아역사재단 (31) : 321-344, 2011
26 A. Ochir, "몽골과 동아시아의 교류(10-11세기), 발해와 동아시아" 2008
27 울란바토르, "몽골 친톨고이 유적 발굴 보고서(2004-2007)" 동북아역사재단 2009
28 장장식, "몽골 유목민의 삶과 민속" 민속원 2005
29 고구려연구재단,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사원지 발굴보고서" 2004
30 대륙연구소,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31 김은국, "동아시아의 발해와 일본" 경인문화사 2008
32 김위현, "금대 발해인의 향방(向方)" 한국민족학회 (7) : 2009
33 "고려궁성지-고누판발견" 전라금석문연구회 (9) : 2007
34 장장식, "고려 만월대 출토 참고누판 연구" 한국암각화학회 11.12 : 2008
35 김은국, "고대 환동해교류사 (2부 발해와 일본)" 동북아역사재단 2010
36 베스손노바 E.A․, "고고학 과제들의 해결을 위한 크라스키노 성에서의 지질-지구물리학적 및 지구화학적 방법의 적용, 발해 :역사와 고고학" 2010
37 劉浦江, "遼代の渤海遺民について" 河合文化敎育硏究所 1 :
38 龜井明德, "遼․金代土城出土の陶瓷器の組成 付․農安遼塔出土絞胎盒" 勉誠出版 (107) : 2008
39 何明, "记塔虎城出土的辽金文物" 7 : 1982
40 김은국, "記錄과 遺物로 본 渤海滅亡의 이해" 2014
41 李成浩, "渭堂申採湜敎授停年紀念宋代史硏究論叢" 三知院 2000
42 木山克彦, "契丹[遼]と10-12世紀の東ユーラシア(アジア遊学) 160" 勉誠出版 2013
43 劉浦江, "契丹開國年代問題-立足于史源學的考察" 4 : 2009
44 郭珉, "塔虎城州治再议" 4 : 2004
45 李健才, "吉林他虎城調查簡記" 1 : 1964
46 김은국,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고구려발해학회 40 : 159-194, 2011
47 臼杵勲, "モンゴル国における中世都市遺跡の保護" 82 : 119-140, 2007
48 淸水奈都紀, "ハル․ブフ城址とトル川流域の契丹都市․集落, 內陸アジア諸言語資料の解讀によるモンゴルの都市發展と交通に關する綜合硏究(平成17年度-19年度科學硏究費補助金基盤硏究(B)"
49 "チントルゴイ城址の硏究1-2006-2008年度モンゴル日本共同調査の成果" モンゴル科學アカデミ考古學硏究所, 札幌學院大學總合硏究所 2009
50 "Некоторые результаты исследования уйгурской столицы Хара-Балгасун в 2010" 6 (6): 2010
51 E.I.GELMAN,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e excavations of Balhae Sites in Russian Primorye" 고구려발해학회 38 : 233-254, 2010
52 Nikolay N. Kradin, "Deported Nation: the fate of the Bohai people in Mongolia" 82 : 438-445, 2008
53 N.N.Kradin, "BOHAI POPULATION IN MONGOLIAN EXILE" 동북아세아문화학회 2008
54 동북아역사재단, "2011년도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 발굴보고서" 2012
55 濟州考古學硏究所, "2011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시굴조사" 제주고고학연구소 2011
56 동북아역사재단, "2010년도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 발굴보고서" 2011
57 동북아역사재단, "2009년도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 발굴보고서" 2011
58 동북아역사재단, "2008년도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 발굴보고서" 2009
59 동북아역사재단, "2007년도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 발굴보고서" 2008
60 동북아역사재단, "2006년도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 발굴보고서" 2007
61 고구려연구재단, "2005 크라스키노 발해성터 발굴보고서" 2006
62 고구려연구재단, "2004년도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발굴보고서" 2005
춤무덤(舞踊塚)의 사신도와 조우관(鳥羽冠)에 대한 재검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