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법원의 裁判不能 재론 : 괴델의 不完全性 定理 유추의 한계 = Non Liquet in International Law Revisited : Limitations of Analogy to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suant to Article 38, paragraph 1(c), of the ICJ Statute, which is a virtual carbon copy of Article 38, paragraph 3, of the PCIJ Statute, the ICJ may apply “general principles of law recognized by civilized nations”, as well as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custom. This clause was inserted in 1920 when the Advisory Committee of Jurists adopted the proposal made by Mr. Root and Lord Phillimore to avoid the “blind alley of non liquet” after some discussion of, for instance, the prohibition of non liquet as a principle of law, the so-called residual negative principle, and the adversarial principle in litigation. There had never been any declaration of non liquet by the PCIJ or the ICJ until the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was given by the ICJ in 1996. On the other hand, some American scholars argued in the early 1990s the incompleteness of law by an analogy to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s, which had seemingly never appeared before in the legal literature. It is attempted in this paper to show that the completeness or incompleteness of law in general as well as that of international law has not been proved yet and the question of non liquet, and the related question of lacunae, in international law remains to be solved.
      번역하기

      Pursuant to Article 38, paragraph 1(c), of the ICJ Statute, which is a virtual carbon copy of Article 38, paragraph 3, of the PCIJ Statute, the ICJ may apply “general principles of law recognized by civilized nations”, as well as international con...

      Pursuant to Article 38, paragraph 1(c), of the ICJ Statute, which is a virtual carbon copy of Article 38, paragraph 3, of the PCIJ Statute, the ICJ may apply “general principles of law recognized by civilized nations”, as well as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custom. This clause was inserted in 1920 when the Advisory Committee of Jurists adopted the proposal made by Mr. Root and Lord Phillimore to avoid the “blind alley of non liquet” after some discussion of, for instance, the prohibition of non liquet as a principle of law, the so-called residual negative principle, and the adversarial principle in litigation. There had never been any declaration of non liquet by the PCIJ or the ICJ until the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was given by the ICJ in 1996. On the other hand, some American scholars argued in the early 1990s the incompleteness of law by an analogy to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s, which had seemingly never appeared before in the legal literature. It is attempted in this paper to show that the completeness or incompleteness of law in general as well as that of international law has not been proved yet and the question of non liquet, and the related question of lacunae, in international law remains to be sol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CJ규정 제38조 제1항 (c)호는 과거 PCIJ규정 제38조 제3항과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서, 이 조항에 따라 ICJ는 국제 협약과 국제 관습뿐만 아니라 ‘문명국들에 의하여 승인된 법의 일반원칙’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조항은 1920년 PCIJ 설립을 위한 법률가 자문위원회가 법의 일반원칙으로서의 재판불능 선언 금지, 이른바 잔여 소극 원칙, 대심 원칙 등을 검토한 후 ‘재판불능이라는 막다른 골목’을 피하기 위한 Root와 Phillimore 두 위원의 공동 제안을 채택함으로써 삽입된 것이다. 1996년 핵무기 사건 권고적 의견이 주목받은 이유도 그것이 PCIJ와 ICJ의 역사상 첫 번째 재판불능 선언으로 볼 수 있는 결정이었다는 데 있다. 한편 이 권고적 의견이 나오기 전인 1990년대 초에 미국에서는 당시까지 법학계에서는 거론되지 않았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원용하여 법 일반의 불완전성을 논증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국제법원의 재판불능 선언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1920년 당시의 논의와 아울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입각한 법의 불완전성 논증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검토하였다. 이로써 종래의 논의는 물론이고 이 새로운 시도에도 불구하고 법의 완전성 여부, 특히 국제법의 완전성 여부와 아울러 국제법원의 재판불능 선언이 허용되는지 여부는 여전히 미해결 문제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ICJ규정 제38조 제1항 (c)호는 과거 PCIJ규정 제38조 제3항과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서, 이 조항에 따라 ICJ는 국제 협약과 국제 관습뿐만 아니라 ‘문명국들에 의하여 승인된 법의 일반원칙’도 ...

      ICJ규정 제38조 제1항 (c)호는 과거 PCIJ규정 제38조 제3항과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서, 이 조항에 따라 ICJ는 국제 협약과 국제 관습뿐만 아니라 ‘문명국들에 의하여 승인된 법의 일반원칙’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조항은 1920년 PCIJ 설립을 위한 법률가 자문위원회가 법의 일반원칙으로서의 재판불능 선언 금지, 이른바 잔여 소극 원칙, 대심 원칙 등을 검토한 후 ‘재판불능이라는 막다른 골목’을 피하기 위한 Root와 Phillimore 두 위원의 공동 제안을 채택함으로써 삽입된 것이다. 1996년 핵무기 사건 권고적 의견이 주목받은 이유도 그것이 PCIJ와 ICJ의 역사상 첫 번째 재판불능 선언으로 볼 수 있는 결정이었다는 데 있다. 한편 이 권고적 의견이 나오기 전인 1990년대 초에 미국에서는 당시까지 법학계에서는 거론되지 않았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원용하여 법 일반의 불완전성을 논증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국제법원의 재판불능 선언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1920년 당시의 논의와 아울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입각한 법의 불완전성 논증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검토하였다. 이로써 종래의 논의는 물론이고 이 새로운 시도에도 불구하고 법의 완전성 여부, 특히 국제법의 완전성 여부와 아울러 국제법원의 재판불능 선언이 허용되는지 여부는 여전히 미해결 문제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덕, "코소보의 일방적 독립 선언의 국제법상 허용 가능성에 관한 ICJ 권고적 의견에 대한 검토" 중앙법학회 12 (12): 243-278, 2010

      2 안성조, "괴델정리의 법이론적 함의" 법학연구소 49 (49): 683-731, 2008

      3 朴培根, "國際法規則의 不存在—核武器使用 違法性 事件을 계기로" 41 (41): 65-83, 1997

      4 K. Gödel, "Über formal unendscheidbare Sätze der Principia Mathematica und verwandter Systeme I" 38 : 173-198, 1931

      5 G. I. Hernandez,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nd the Judicial Fun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6 H. Lauterpacht, "The Function of Law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larendon Press 1933

      7 P. Weil, "The Court Cannot Conclude Definitively …” Non Liquet Revisited" 36 : 109-119, 1998

      8 I. F. Dekker, "The Completeness of International Law and Hamlet’s Dilemma— Non Liquet, The Nuclear Weapons Case and Legal Theory" 68 : 225-247, 1999

      9 M. J. Aznar-Gomez, "The 1996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and Non Liquet in International Law" 48 : 3-19, 1996

      10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Advisory Committee of Jurists" 1920

      1 이성덕, "코소보의 일방적 독립 선언의 국제법상 허용 가능성에 관한 ICJ 권고적 의견에 대한 검토" 중앙법학회 12 (12): 243-278, 2010

      2 안성조, "괴델정리의 법이론적 함의" 법학연구소 49 (49): 683-731, 2008

      3 朴培根, "國際法規則의 不存在—核武器使用 違法性 事件을 계기로" 41 (41): 65-83, 1997

      4 K. Gödel, "Über formal unendscheidbare Sätze der Principia Mathematica und verwandter Systeme I" 38 : 173-198, 1931

      5 G. I. Hernandez,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nd the Judicial Fun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6 H. Lauterpacht, "The Function of Law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larendon Press 1933

      7 P. Weil, "The Court Cannot Conclude Definitively …” Non Liquet Revisited" 36 : 109-119, 1998

      8 I. F. Dekker, "The Completeness of International Law and Hamlet’s Dilemma— Non Liquet, The Nuclear Weapons Case and Legal Theory" 68 : 225-247, 1999

      9 M. J. Aznar-Gomez, "The 1996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and Non Liquet in International Law" 48 : 3-19, 1996

      10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Advisory Committee of Jurists" 1920

      11 I. Tammelo, "On the Logical Openness of Legal Orders: A Modal Analysis of Law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ogical Status of Non Liquet in International Law" 8 : 187-203, 1959

      12 M. R. Brown, "On Formally Undecidable Propositions of Law: Legal Indeterminacy and the Implications of Mathematics" 43 : 1439-1488, 1992

      13 L. Condorelli, "Nuclear weapons: a weighty matter for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Jura Non Novit Curia?" (316) : 9-20, 1997

      14 J. Stone, "Non Liquet and the Function of Law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35 : 124-161, 1959

      15 "Legality of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I.C.J. Reports" 1996

      16 T. Franzén, "Gödel’s Theorem: An Incomplete Guide to Its Use and Abuse" A K Peters 2005

      17 E. Nagel, "Gödel’s Proof"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1

      18 R. M. Smullyan,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19 J. Kammerhoffer, "Gaps, the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and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Legal Argument between Theory and Practice" 80 : 333-360, 2009

      20 G. Melling, "Conceiving international law’s normative order beyond the ‘residual negative principle’" 87 : 466-484, 2018

      21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respect of Kosovo, Advisory Opinion, I.C.J. Report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69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