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시대,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실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7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시대에 교육적 흡수력과 탄력성이 가장 큰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일반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다문화교육을 받으면서 친구가 되는 인격의 통합을 이루어, 미래의 한국사회에 함께 주류문화를 형성하고 세계평화를 주도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C. I. Bennett이 제안한 다문화 교육과정 내용 개발모형을, 한국이라는 역사적 맥락과 홍익인간이라는 교육이념에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자부심으로 다른 민족과 문화를 포용한다”는 핵심 가치를 이루기 위하여 “나와 다른 사람이 하나 되어, 모두가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 간다”는 한국적 홀리스틱 다문화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초등학교에서의 학년군별 교육과정을 인격교육→열린 민족교육→세계시민교육에 중점을 두고, 여기에 Bennett의 각 단계별 목표를 두 단계씩 배열하여, 홍익인간교육의 개인 차원의 감성교육→국가 차원의 지성교육→세계 차원의 영성교육으로 수준을 높여 가도록 구성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문화시대에 교육적 흡수력과 탄력성이 가장 큰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일반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다문화교육을 받으면서 친구가 되는 인격의 통합...

      이 연구는 다문화시대에 교육적 흡수력과 탄력성이 가장 큰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일반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다문화교육을 받으면서 친구가 되는 인격의 통합을 이루어, 미래의 한국사회에 함께 주류문화를 형성하고 세계평화를 주도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C. I. Bennett이 제안한 다문화 교육과정 내용 개발모형을, 한국이라는 역사적 맥락과 홍익인간이라는 교육이념에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자부심으로 다른 민족과 문화를 포용한다”는 핵심 가치를 이루기 위하여 “나와 다른 사람이 하나 되어, 모두가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 간다”는 한국적 홀리스틱 다문화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초등학교에서의 학년군별 교육과정을 인격교육→열린 민족교육→세계시민교육에 중점을 두고, 여기에 Bennett의 각 단계별 목표를 두 단계씩 배열하여, 홍익인간교육의 개인 차원의 감성교육→국가 차원의 지성교육→세계 차원의 영성교육으로 수준을 높여 가도록 구성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multi-cultural elementary pupils who were more absorptive and flexible than the other grades of education, and tried to make Korean holistic curriculum for integrating their characters, forming their future mainstream of culture, and unfolding the peace of the world more subjective. To lay out Korean holistic curriculum, I have applied C. I. Bennett’s multi-cultural development model of education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 and the educational ideology of Hongikinghan. Therefore, I extracted the core value: “With the self-esteem of Hongihinghan which makes human beings more beneficial, we must tolerate another nation and culture.” And to accomplish this core value, Korean holistic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set the goal at “Be integrated in one, I and other people will make happy together the world, in there we feel sympathy.” According to these focuses, I have constructed Korean holistic multi-cultural curricula for elementary pupils by the level of their grades. By the level of their grades, the aims of the curricula are concentrated on character building → opened national →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nd following these concentrations, I have arranged two by two goals of Bennett’s multi- cultural development model of education. Thus, ultimately, I want to realize the world of Hongikinghan by upgrading the level of education: emotion education in individual dimension → wisdom education in a nation dimension → spirit education in world dimens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multi-cultural elementary pupils who were more absorptive and flexible than the other grades of education, and tried to make Korean holistic curriculum for integrating their characters, forming their future mainstream of c...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multi-cultural elementary pupils who were more absorptive and flexible than the other grades of education, and tried to make Korean holistic curriculum for integrating their characters, forming their future mainstream of culture, and unfolding the peace of the world more subjective. To lay out Korean holistic curriculum, I have applied C. I. Bennett’s multi-cultural development model of education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 and the educational ideology of Hongikinghan. Therefore, I extracted the core value: “With the self-esteem of Hongihinghan which makes human beings more beneficial, we must tolerate another nation and culture.” And to accomplish this core value, Korean holistic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set the goal at “Be integrated in one, I and other people will make happy together the world, in there we feel sympathy.” According to these focuses, I have constructed Korean holistic multi-cultural curricula for elementary pupils by the level of their grades. By the level of their grades, the aims of the curricula are concentrated on character building → opened national →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nd following these concentrations, I have arranged two by two goals of Bennett’s multi- cultural development model of education. Thus, ultimately, I want to realize the world of Hongikinghan by upgrading the level of education: emotion education in individual dimension → wisdom education in a nation dimension → spirit education in world dimen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목적
      • Ⅱ. 다문화시대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필요
      •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목적
      • Ⅱ. 다문화시대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필요
      • 1. 다문화시대 홀리스틱 교육의 필요성
      • 2.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모색
      • Ⅲ.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다문화적 실천방안
      • 1. 다문화교육의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에의 적용
      • 2.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적 홀리스틱 다문화교육의 실천
      • Ⅳ.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성아, "홍익인간사상과 통일교육" 집문당 1999

      2 명지원, "홀리스틱교육 시각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방향"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 (15): 49-66, 2011

      3 권성아, "홀리스틱 생태교육에 대한 이해. 한면희 외. 환경의 학제적 이해: 초록 눈으로 세상 읽기" 도서출판 한울 121-154, 2007

      4 김복영,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엘리트 150-194, 2002

      5 명지원, "홀리스틱 교육의 개념 설계의 틀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23-40, 2012

      6 박영만, "홀리스틱 교육과정의 패러다임" 4 (4): 49-77, 2000

      7 Miller, J. P., "홀리스틱 교육과정" 도서출판 책사랑 2000

      8 정영훈, "한민족의 정체성과 단군민족주의" 1-18, 2013

      9 김완진,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10 강경구, "한국 성씨의 뿌리를 찾아서" 기린원 1991

      1 권성아, "홍익인간사상과 통일교육" 집문당 1999

      2 명지원, "홀리스틱교육 시각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방향"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 (15): 49-66, 2011

      3 권성아, "홀리스틱 생태교육에 대한 이해. 한면희 외. 환경의 학제적 이해: 초록 눈으로 세상 읽기" 도서출판 한울 121-154, 2007

      4 김복영,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엘리트 150-194, 2002

      5 명지원, "홀리스틱 교육의 개념 설계의 틀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23-40, 2012

      6 박영만, "홀리스틱 교육과정의 패러다임" 4 (4): 49-77, 2000

      7 Miller, J. P., "홀리스틱 교육과정" 도서출판 책사랑 2000

      8 정영훈, "한민족의 정체성과 단군민족주의" 1-18, 2013

      9 김완진,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10 강경구, "한국 성씨의 뿌리를 찾아서" 기린원 1991

      11 이돈희, "한국 교육이념의 어제와 오늘" 33 (33): 1-9, 1995

      12 박영만, "통합교육과정과 전인교육: 21세기 교육의 홀리스틱 패러다임" 학지사 2003

      13 명지원, "총체적 인간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향 탐색" 7 (7): 45-62, 2003

      14 한미희, "청소년을 위한 홀리스틱 접근의 영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151-171, 2012

      15 손진태, "조선민족사개론" 을유문화사 1948

      16 윤석빈, "입말과 글말 그리고 인간의 실존" 충북대학교출판부 2012

      17 배기동, "일본인의 기원" 학연 문화사 115-128, 1992

      18 김현재, "우리교육문화 : 신홍익인간 교육으로서의 의식개혁" 3 (3): 5-26, 1999

      19 이희근, "우리 안의 그들 : 섞임과 넘나듦 그 공존의 민족사" 너머북스 2008

      20 고대혁, "신홍익인간 교육의 교육사상 의식" 3 (3): 27-44, 1999

      21 김복영, "신홍익인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탐색" 3 (3): 45-53, 1999

      22 김현수, "신홍익인간 교육과 홀리스틱 교육의 실천 방안. 단군학회. 홍익인간 이념과 21세기 한국, 2부"

      23 한태동, "세종대의 음성학" 연세대학교출판부 1998

      24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3, 2006

      25 윤이흠,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26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2012

      27 이경윤, "다문화시대 문화를 넘어서 그리고 한국" 아담북스 2012

      28 장인,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29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담론과 함의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40 (40): 155-181, 2013

      30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2006

      31 구정화, "다문화 시민성을 위한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18, 2012

      32 최용규, "다문화 시대의 어린이 역사교육" 대교 2011

      33 추병완, "다문화 사회와 글로벌 리더" 대교출판 2011

      34 김기봉,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교육" 도서출판동녘 39-61, 2008

      35 추병완,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한국인의 새로운 가치관"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4 (24): 117-140, 2007

      36 이인제, "글로벌시대의 다문화교육" 사회평론 2010

      37 김지하, "교육이념, 홍익인간의 재음미" 한국교육개발원 1-32, 1999

      38 傳斯年, "고대 동북아시아의 민족과 문화" 여강출판사 68-130, 1994

      39 Miller, R., "What are schools for?: Holistic education in American culture" Holistic Education Press 1992

      40 Clark, J. P., "Holistic education: A Search for wholeness. New directions in education: Selections from holistic education review" Holistic Education Press 53-62, 1990

      41 Banks, J. A.,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ssey- Bass Publishers 2001

      42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Inc 2007

      43 권성아, "21세기 한국의 문화정체성과 홍익인간 교육" 5 : 153-184, 2001

      44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도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계획"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