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리 및 논술(교육학) 수업 사례 : FGI, SnowBoard를 활용한 BL 운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7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논리 및 논술(교육학)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주제는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적용한 논리 및 논술(교육학)의 BL 운영이다. 교과 컨텐츠, FGI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활동, 웹기반 학습지원시스템으로서의 SnowBoard에 의한 수업활동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GI 활용은 오프라인 수업에서 밀도·강도가 높은 협력학습을 촉진했다. FGI 적용은 수업시간을 활력 있게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FGI를 하기 전에 온라인상에서 자료를 검색해서 토론할 내용을 숙지했고, 토론을 하면서 서로 간의 생각을 교환·공유·수정함으로써 시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둘째, BL의 순기능 측면은 넓게 보면 학습사회의 이상을 실현한 것이며, 좁게 보면 학습하는 시간을 증가시켰다. 즉 컨텐츠를 상호 교환하는 학습기회를 확대하며, 교육 시간 및 비용의 최적화를 기할 수 있었다. 역기능은 학생들이 이 교과에 투입하는 시간이 많아져서 부담으로 작용한 측면이 있었다. 셋째, SnowBoard 활용시 조회빈도가 높았고, 특히 ContentsMaker에서 만들어 업로드한 영상물 활용이 효과적이었다. 강의자의 영상과 PPT화면이 동시에 제시되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 시청해도 지금 오프라인에서 1:1 수업을 하고 있는 효과를 주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논리 및 논술(교육학)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주제는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적용한 논리 및 논술(교육학)의 BL 운영이다. 교과 컨텐츠, FGI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활동, ...

      이 논문은 논리 및 논술(교육학)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주제는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적용한 논리 및 논술(교육학)의 BL 운영이다. 교과 컨텐츠, FGI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활동, 웹기반 학습지원시스템으로서의 SnowBoard에 의한 수업활동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GI 활용은 오프라인 수업에서 밀도·강도가 높은 협력학습을 촉진했다. FGI 적용은 수업시간을 활력 있게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FGI를 하기 전에 온라인상에서 자료를 검색해서 토론할 내용을 숙지했고, 토론을 하면서 서로 간의 생각을 교환·공유·수정함으로써 시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둘째, BL의 순기능 측면은 넓게 보면 학습사회의 이상을 실현한 것이며, 좁게 보면 학습하는 시간을 증가시켰다. 즉 컨텐츠를 상호 교환하는 학습기회를 확대하며, 교육 시간 및 비용의 최적화를 기할 수 있었다. 역기능은 학생들이 이 교과에 투입하는 시간이 많아져서 부담으로 작용한 측면이 있었다. 셋째, SnowBoard 활용시 조회빈도가 높았고, 특히 ContentsMaker에서 만들어 업로드한 영상물 활용이 효과적이었다. 강의자의 영상과 PPT화면이 동시에 제시되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 시청해도 지금 오프라인에서 1:1 수업을 하고 있는 효과를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with subject cont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web based instruction utilizing SnowBoard as system for supporting learning. Subjects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question is to contemplate how FGI influence to form ideas about each educational issue. Second question is to analyze BL’s strength and weakness. Third question is to describe the practical use of SnowBoard in terms of instrumental aspects.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FGI promoted collaborative learning of off-line class. FGI led off-line class to effectiveness. Because students each other could exchange, share, and adjust their ideas and experiences having discussions. Second, the right function was to realize the ideal of learning society. Also, BL increased the time of each individual’s self-directed learning. The adverse effect was to be felt burden by learners owing to the increase of making time. Third, motion picture learning materials of ContentsMaker being uploaded, represented special effectiveness. These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SnowBoard. Ubiquitous contents access, web top service was beneficial to most students. But homework, examination, and discussion action was somewhat heavy burden to them. Finally, if each student will be gotten the newest personal mobile devices BL’ maximum efficacy turn up.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with subject cont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web based instruction utilizing SnowBoard as system for supporting learning. Subjects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question is...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with subject cont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 to analyze web based instruction utilizing SnowBoard as system for supporting learning. Subjects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question is to contemplate how FGI influence to form ideas about each educational issue. Second question is to analyze BL’s strength and weakness. Third question is to describe the practical use of SnowBoard in terms of instrumental aspects.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FGI promoted collaborative learning of off-line class. FGI led off-line class to effectiveness. Because students each other could exchange, share, and adjust their ideas and experiences having discussions. Second, the right function was to realize the ideal of learning society. Also, BL increased the time of each individual’s self-directed learning. The adverse effect was to be felt burden by learners owing to the increase of making time. Third, motion picture learning materials of ContentsMaker being uploaded, represented special effectiveness. These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SnowBoard. Ubiquitous contents access, web top service was beneficial to most students. But homework, examination, and discussion action was somewhat heavy burden to them. Finally, if each student will be gotten the newest personal mobile devices BL’ maximum efficacy turn 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언
      • Ⅱ. 본론
      • 1. 수업진행과정
      • 2. 교수학습전략
      • 요약
      • Ⅰ. 서언
      • Ⅱ. 본론
      • 1. 수업진행과정
      • 2. 교수학습전략
      • 3. 교수학습내용
      • 4. SnowBoard 사용
      • 5. 적용 및 실습
      • Ⅲ.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orich, G. D., "효과적인 수업관찰" 아카데미프레스 2003

      2 이상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35-159, 2007

      3 신희선,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여대생 스피치 교육의 사례연구" 한국소통학회 6 (6): 71-103, 2006

      4 김미량, "웹 활용 수업 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16 (16): 47-67, 2000

      5 김세리, "외국대학 이러닝 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161-194, 2007

      6 차미양, "온·오프라인 병행수업의 대학영어강좌에의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7 (7): 182-205, 2006

      7 이인회, "액션러닝 기반 교양수업 운영 사례 분석 및 수업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07-252, 2013

      8 조벽, "수업컨설팅" 해냄 2014

      9 변영계, "수업장학과 수업분석" 학지사 2005

      10 김현섭, "수업을 바꾸다" 한국협동학습센터 2013

      1 Borich, G. D., "효과적인 수업관찰" 아카데미프레스 2003

      2 이상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35-159, 2007

      3 신희선,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여대생 스피치 교육의 사례연구" 한국소통학회 6 (6): 71-103, 2006

      4 김미량, "웹 활용 수업 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16 (16): 47-67, 2000

      5 김세리, "외국대학 이러닝 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161-194, 2007

      6 차미양, "온·오프라인 병행수업의 대학영어강좌에의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7 (7): 182-205, 2006

      7 이인회, "액션러닝 기반 교양수업 운영 사례 분석 및 수업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07-252, 2013

      8 조벽, "수업컨설팅" 해냄 2014

      9 변영계, "수업장학과 수업분석" 학지사 2005

      10 김현섭, "수업을 바꾸다" 한국협동학습센터 2013

      11 권낙원, "수업모형" 아카데미프레스 2010

      12 조인수, "수업개선 방법과 지도실제"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9

      13 주정흔, "대학교육에서의 blended learning수업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199-226, 2005

      14 이영민, "대학교육에서 유비쿼터스 기반수업(UBL)에 관한 교수자의 인식 분석" 14 (14): 241-246, 2010

      15 엄우용, "대학교수자의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 활용도 사례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09-128, 2008

      16 이지은, "대학 교수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성찰"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127-146, 2013

      17 홍성연,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97-127, 2010

      18 Bergmann, J., "당신의 수업을 뒤집어라" 시공미디어 2013

      19 Eggen, P. D., "교사를 위한 수업전략" 시그마프레스 2014

      20 유정아, "U-러닝 환경에서의 통합적 수업 전략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127-134, 2009

      21 Littlejohn, A., "Preparing for blended e-learning" Routledge 2007

      22 Carvalho, A. A., "Integrating new technologies into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09

      23 진선미, "Blended-Learning 기반 학습모형 및 시스템 설계" 31 (31): 259-261, 2004

      24 Garrison, D. R.,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ossey-Bass A Wiley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