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아동그룹홈 종사자의 업무량과 슈퍼비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Workload and Supervis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Child Car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6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load and supervision among child care workers in Child Group Homes(CGH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specific, the study set up an integrative model with the perceived workload and supervision of the child care workers as independent variable, their perceived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s mediato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Both job demands-resources(JD-R) model and social exchange theory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revealed that out of the hypothesized causal paths, workload and supervision were found to directly and indirectl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at is to say, the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via mediating variables such as burnout or job satisfaction. In specific, workers’higher perception of workload wa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Also, workers’s perception of supervision was found to indirectly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via dual mediators such a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o improve workers’retention, a variety of measures such as building both a supportive assisting organization and a quality supervision system which effectively reduce burnout and enhance job satisfaction to the broader organizations can be pursued.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load and supervision among child care workers in Child Group Homes(CGH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specific, the study set up an integrative model with the perceived workload and supervision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load and supervision among child care workers in Child Group Homes(CGH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specific, the study set up an integrative model with the perceived workload and supervision of the child care workers as independent variable, their perceived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s mediato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Both job demands-resources(JD-R) model and social exchange theory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revealed that out of the hypothesized causal paths, workload and supervision were found to directly and indirectl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at is to say, the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via mediating variables such as burnout or job satisfaction. In specific, workers’higher perception of workload wa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Also, workers’s perception of supervision was found to indirectly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via dual mediators such a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o improve workers’retention, a variety of measures such as building both a supportive assisting organization and a quality supervision system which effectively reduce burnout and enhance job satisfaction to the broader organizations can be pursu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과 직무요구-자원모델에 근거하여 아동그룹홈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간의 영향경로를 탐색한 것이다. 본연구를 위해 전국아동 그룹홈 169개소 284명의 종사자로부터 업무환경과 직무태도 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종사자가 각시설에서 지각하는 업무량과 슈퍼비전수준 등으로 측정된 업무환경요인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사자가 지각하는 업무량은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소진은 다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비전은 직접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종사자의 소진과 직무만족과 같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그룹홈 종사자의 이직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과 직무요구-자원모델에 근거하여 아동그룹홈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간의 영향경로를 탐색한 것이다. 본연구를 위해 전국아동 그룹홈 169개...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과 직무요구-자원모델에 근거하여 아동그룹홈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간의 영향경로를 탐색한 것이다. 본연구를 위해 전국아동 그룹홈 169개소 284명의 종사자로부터 업무환경과 직무태도 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종사자가 각시설에서 지각하는 업무량과 슈퍼비전수준 등으로 측정된 업무환경요인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사자가 지각하는 업무량은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소진은 다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비전은 직접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종사자의 소진과 직무만족과 같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그룹홈 종사자의 이직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포용국가의 주춧돌인 아동에 대한 국가 책임을 더욱 확대한다"

      2 문호영,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조직 발전가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19-133, 2015

      3 최인화,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자원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157-177, 2015

      4 양계민,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도자의 직무만족, 스트레스요인 및 이에 따른 참여청소년의 방과후아카데미 만족도 및 심리사회적응의 차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189-218, 2012

      5 최한나, "청소년동반자의 직무요구,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91-207, 2013

      6 이랑,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573-596, 2006

      7 김인선, "직무요구- 자원 이론에서의 감정노동전략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32-444, 2015

      8 김용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6) : 47-72, 2016

      9 정익중,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소진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1) : 205-234, 2010

      10 김원형, "조직 몰입 3요소의 탐색적 인과 관계 모형"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55-91, 2005

      1 보건복지부, "포용국가의 주춧돌인 아동에 대한 국가 책임을 더욱 확대한다"

      2 문호영, "청소년지도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조직 발전가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19-133, 2015

      3 최인화,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자원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157-177, 2015

      4 양계민,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도자의 직무만족, 스트레스요인 및 이에 따른 참여청소년의 방과후아카데미 만족도 및 심리사회적응의 차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189-218, 2012

      5 최한나, "청소년동반자의 직무요구,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91-207, 2013

      6 이랑,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573-596, 2006

      7 김인선, "직무요구- 자원 이론에서의 감정노동전략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32-444, 2015

      8 김용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6) : 47-72, 2016

      9 정익중,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소진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1) : 205-234, 2010

      10 김원형, "조직 몰입 3요소의 탐색적 인과 관계 모형"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55-91, 2005

      11 임창희, "정서고갈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직컴미트먼트와 조직시민행동의 매개역할"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1-26, 2014

      12 이종운,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코디네이터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9 : 29-60, 2012

      13 이채식,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223-248, 2010

      14 김현숙, "일개병원의 특수부서 간호사에서 언어폭력,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연관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1 (21): 388-395, 2009

      15 김기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 성과로서 종업원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6 (16): 115-157, 2008

      16 박동건, "이직 모형 비교 연구 Mobley의 모형을 중심으로" 14 (14): 1-22, 2001

      17 이화랑, "엄마니까 버틸 수 있습니다...낮은 임금과 고된 업무에 짓눌린 ‘아동그룹홈’활동가들" 조선일보

      18 공계순,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9) : 7-36, 2005

      19 윤혜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79-301, 2004

      20 김아래미, "아동청소년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시간과 임금이 소진 및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1)" 대한아동복지학회 13 (13): 55-75, 2015

      21 황정하, "아동청소년 그룹홈 생활지도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91-220, 2017

      22 국가인원위원회, "아동양육시설과 공동생활가정 종사자간 상이한 인건비 기준 적용은 차별"

      23 김미숙, "아동복지지출실태 및 적정 아동복지지출규모 추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4 이재영, "아동복지시설에 종사하는 교사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남도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79-95, 2011

      25 이봉주,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방안-아동그룹홈과 지역아동센터 중심으로" 2018

      26 임동호, "아동복지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 7 (7): 1-15, 2009

      27 강현아, "아동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직과 조직구성원과의 상호교환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69-89, 2010

      28 이은영, "아동 공동생활가정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69-93, 2011

      29 이태수, "소규모 아동복지시설 연구" 인간과 복지 1997

      30 강철희,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89-213, 2015

      31 윤혜미,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Burnout 에 관한 연구" 18 : 83-116, 1991

      32 김교정, "사회복지실무자의 이직의도 대한 연구: 부산 사회복지기관의 실무자를 중심으로" 19 (19): 65-93, 2003

      33 남선이,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요인별 직무만족이 전반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5-222, 2006

      34 배의식,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시설과 생활시설 사회복지사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59-81, 2013

      35 강제상, "사회복지사의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0 (10): 85-117, 2011

      36 손영은, "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 및 훈련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5

      37 이주희, "사회복지사의 개인 및 환경특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283-308, 2007

      38 남희은,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045-1053, 2015

      39 송정희, "보건의료인의 이직의도 경로모형 분석"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9 (19): 142-151, 2012

      40 남정민, "다수준 접근을 통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규명 -" 한국노동연구원 12 (12): 57-85, 2012

      41 정익중, "그룹홈과 아동양육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Blinder-Oaxaca 분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3 (33): 107-127, 2012

      42 이상정,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보호의 비교-"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97-119, 2017

      43 金成漢, "社會福祉士의 離職意圖 決定要因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44 Vroom, V. H, "Work and Motivation" Wiley 1964

      45 Bakker, A. B., "Us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o predict burnout and performance" 43 (43): 83-104, 2004

      46 Bakker, A. B., "Us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o predict burnout and performance" 43 (43): 83-104, 2004

      47 Benton, A. D., "Understanding the diverging paths of stayers and leavers : An examination of factors predicting worker retention" 65 : 70-77, 2016

      48 Lewis, G. B, "Turnover and the quiet crisis in the federal civil service" 145-155, 1991

      49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86): 499-, 2001

      50 Hakanen, J. J.,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A three-year cross-lagged study of burnout, depression, commitment, and work engagement" 22 : 224-241, 2008

      51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52 Bransen, R. H., "Testing a multiple mediator model of the effect of childhood sexual abuse on adolescent sexual victimization" 83 (83): 47-54, 2013

      53 Homans, G. C.,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Harcout, Brace, Jovanovich 1961

      54 Hobfoll, S. E.,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nd adaptation" 6 : 307-324, 2002

      55 Schelbe, L., "Satisfactions and stressors experienced by recently-hired frontline child welfare workers" 78 : 56-63, 2017

      56 Mobley, W. H.,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86 (86): 493-522, 1979

      57 DePanfilis, D., "Retention of front-line staff in child welfare :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30 (30): 995-1008, 2008

      58 DePanfilis, D., "Retention of front-line staff in child welfare :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30 (30): 995-1008, 2008

      59 Choi, J. I., "Relations of job stress, burnout, mindfulness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7 (7): 121-128, 2015

      60 Levinson, H., "Reciprocation :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organization" 9 : 370-390, 1965

      61 Blau, F. D., "Race and sex differences in quits by young workers" 34 (34): 563-577, 1981

      6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ldford Press 2011

      63 Eisenberger, 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71 (71): 500-507, 1986

      64 Vanya, H., "Pediatric psychotropic medication initiation and adherence :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23 (23): 151-172, 2010

      65 Porter, L. W.,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80 (80): 151-, 1973

      66 Van Dyen, 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contingent workers in Singapore" 41 (41): 692-703, 1998

      67 Martin, U.,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mental health workers" 28 (28): 51-62, 1998

      68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gy Press 1996

      69 Whitener, E. M., "Managers as initiators of trust : An exchange relationship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anagerial trustworthy behavior" 23 (23): 513-530, 1998

      70 Porter, L. W., "Managerial Attitudes and Performance" Irwin-Dorsey 1968

      71 Lee, R., "Kinship foster care and school adjustment : Evidence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in South Korea" 46 (46): 335-356, 2017

      72 McClelland, J., "Jon satisfaction of child care workers : A review" 15 (15): 82-89, 1986

      73 Tett, R. 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46 (46): 259-293, 1993

      74 Jayaratne, 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 Is there a difference?" 15 : 245-262, 1991

      75 Griffin, M. L., "Job involvemen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burnout of correctional staff" 37 (37): 239-255, 2010

      76 Schaufeli, W.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 A multi-sample study" 25 (25): 293-315, 2004

      77 Kim, H., "Job conditions, unmet expectations, and burnout in public child welfare workers : How different from other social workers?" 33 (33): 358-367, 2011

      78 Lizano, E. L., "Job burnout and affective welling : A longitudinal study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child welfare workers" 55 : 18-23, 2015

      79 Fakunmoju, S., "Intention to leave a job : The role of individual factors, job tension, and supervisory support" 34 (34): 313-328, 2010

      80 Podsakoff, P. M., "Impa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organization performance : A review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10 (10): 133-153, 1997

      81 Zlotnik, J. L.,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of child welfare staff: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Social Work Research 2005

      82 Cotton, J. L., "Employee turnover : A meta-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11 (11): 55-70, 1986

      83 Iverson, R. D., "Employe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7 (7): 122-149, 1996

      84 Bakker, A. B., "Dual process at work in a call centre : An application of job demands-resources model" 12 : 393-417, 2003

      85 Cho, Y. J.,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trust" 46 (46): 41-65, 2017

      86 Kellough, J. E., "Cross-agency comparisons of quit rates in the federal service: Another look at the evidence" 15 (15): 58-68, 1995

      87 Meyer, J. P.,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78 (78): 538-, 1993

      88 Landsman, M., "Commitment in public child welfare" 75 (75): 386-419, 2001

      89 Kadushin, A., "Child Welfare Services" MacMilan Publishing Company 1998

      90 Korunka, C., "Burnout and work engagement : Do age, gender, or occupation level matter? Testing the robustness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4 : 243-255, 2009

      91 Kim, 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 Effects of role stress, job autonomy and social support" 32 (32): 5-25, 2008

      92 Mor Barak, M. E., "Antecedents to retention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and meta-analysis" 75 (75): 625-661, 2001

      93 Drake, B.,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burnout and job exit among child protective services workers" 20 (20): 179-187, 1996

      94 보건복지부, "2018년도 공동생활가정(그룹홈) 현황"

      95 정익중, "2014년 아동청소년 그룹홈의 실태"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7 2.08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